OS/SOLARIS2007. 8. 21. 20:35
반응형
솔라리스 10 U3에는 여러 가지 기능이 좋아졌습니다만, 그 중에서 가장 독특한 기능의 변화는 Trusted Extension이라는 보안 강화 기능인데 , 이는 미군에서 요구하는 보안 등급을 준수하게 해주는 보안 강화 기능으로 매우 강력한 보안 구성 환경으로써, 실제로 이 기능을 구성하여 가동할 수 있다면, 웬만한 보안 소프트웨어는 거의 살 필요가 없을 정도입니다. 이 기능은 다소 복잡한 구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니 별도로 소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솔10 U3는 보안을 위해서 "Secure By Default"라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름 자체에서 언급하는 의미 그대로를 해석하면, "기본적으로 보안이 강화된" 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최근에 솔라리스는 소스가 공개되었고, 이에 따른 솔라리스 소스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킹을 시도하는 사례가 증가될 수 있다는 판단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리눅스가 오픈 소스하에서 이런 문제때문에 상당히 괴롭힘을 당해왔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솔라리스10 U3(11/2006) 설치 과정중에는 Secure By Default를 하겠냐고 물어보는 과정이 있습니다. 이 과정에 동의를 하고, 구성을 사용하게 되면 솔라리스는 외부 접속을 위해서 ssh를 제외한 모든 원격 접속 서비스인 telnet, XDMCP 서비스등을 모두 disable 되거나 localhost에게만 허용하도록. 때문에, 그 이전 버젼을 사용하던 사용자들은 이런 내용의 사전 습득이 없으면 다소 당황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 모드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관련 네트웍 서비스를 모두 오픈(사용할 수 있도 하거나) 혹은 '제한'을 두는 두가지의 명령만 있습니다. 사용법은

#/usr/sbin/netservices open
혹은
#/usr/sbin/netservices limited

입니다.

솔라리스10을 정상 설치후 telnet 서비스나 혹은 X-window 관련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지 않는다면 위의 명령어로 서비스를 오픈한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안정적인 보안환경을 유지 및 사용하기 위해서는 ssh를 사용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합니다.
ssh와 함께 제공되는 데이타 암호화 툴을 이용함으로써 tcp spoofing이나 암호 데이타의 snooping등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됩니다.

복수개의 노드를 관리하기 위해서 rlogin, rsh, rcp등을 사용하던 사용자들도 ssh기반의 환경으로 옮겨서 사용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합니다.

기능
unsecured 방법
Secured 방법

터미널 접속 서비스
telnet
ssh

원격 실행
rsh,rexec
ssh

화일 전송
rcp,ftp
scp, sftp

X Window 접속 및 Display
XDMCP
ssh -X


솔라리스의 ssh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사용자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솔라리스10 Update3에서 설치과정중 "Secure By Default"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하게 되면, 서버는 telnet으로 접속할 수 없게 되어 ssh를 사용해야 하는데, 솔라리스 개발자가 잠깐 졸았는지(?) ssh 서버가 root access를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root로 접속할 수 없게 되는 것이죠. 때문에, 설치를 정상적으로 한후, console(콘솔)에서 ssh 서버가 root로 로그인하는 것을 하용하도록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있습니다. 구성하는 법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cp /etc/default/login /etc/default/login.backup
#sed 's/CONSOLE=/#CONSOLE=/g' /etc/default/login > /tmp/login
#cp /tmp/login /etc/default/login

#cp /etc/ssh/sshd_config /etc/ssh/sshd_config.backup
#sed 's/PermitRootLogin no/PermitRootLogin yes/g' /etc/ssh/sshd_config > /tmp/sshd_config
#cp /tmp/sshd_config /etc/ssh/sshd_config
#svcadm restart ssh

와 같이 실행함으로써 ssh가 root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X-window 로그인이나 애플리케이션 화면출력(Display)를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쪽(PC나 노트북등)에 X server를 지원하는 운영체제(solaris, linux)를 사용한다면 ssh -X를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windows나 Mac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ssh -X를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X server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반응형

'OS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pe 디바이스 명령어  (0) 2007.08.22
솔라리스에서 NFS 마운트시 vfstab 설정법  (0) 2007.08.22
[보안] rlogin 설정  (0) 2007.08.21
solaris 솔라리스 svcadm 설정 rsh  (0) 2007.08.21
솔라리스 10에서 nfs 설정하기  (0) 2007.08.17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7. 8. 21. 20:30
반응형

ID  000095
제목  password 확인 없이 Remote system으로 rlogin 또는 rsh 실행하기
분류  네트워크
Product  
O/S  Solaris 2.x 

--------------------------------------------------------------------------------

 

1. 사용자가 개인별로 정의 할 경우

    home directory에 .rhosts 화일을 만들어 그 안에 rlogin또는 rsh 명령을
    실행 할 시스템의 이름과 userid를 넣어 놓는다.
      
 예1) host "cat"의 kildong 이라는 사용자가 remote host "dog"의 같은
      userid로 R-명령을 실행할 경우
  
             %hostname
             dog
             %whoami
             kildong
             % vi ~/.rhosts
             cat    
 
 예2) host "cat"의 kildong 이라는 사용자가 remote host "dog"의 "jjkim"
      이라는 사용자로 R-명령을 실행할 경우
     
      %hostname
             dog
             %whoami
             jjkim
             % vi ~/.rhosts
             cat kildong
            
        예3) host "cat"의 모든 사용자가 remote host "dog"의 "jjkim" 이라는 사용
             자로 R-명령을 실행할 경우
     
      %hostname
             dog
             %whoami
             jjkim
             % vi ~/.rhosts
             cat +
            
        예4) 모든 host의 "kildong" 이라는 사용자가 remote host "dog"의 "jjkim"
             이라는 사용자로 R-명령을 실행할 경우
     
      %hostname
             dog
             %whoami
             jjkim
             % vi ~/.rhosts
             + kildong
            
        예5) 모든 host의 어떤 사용자든지 remote host "dog"의 "jjkim" 이라는
             사용자로 R-명령을 실행할 경우
            
             %hostname
             dog
             %whoami
             jjkim
             % vi ~/.rhosts
             + +
                        
2. 시스템 admin이 /etc/hosts.equiv 화일에 지정하는 경우      
 
    root로 login하여 /etc/hosts.equiv 화일을 만들어 그 안에 rlogin또는 rsh
    명령을 실행 할 시스템의 이름과 userid를 넣어 놓는다.
   
    예1) /etc/hosts.equiv 화일에 remote hostname 만을 넣어 놓은 경우
   
     %hostname
     dog
     %vi /etc/hosts.equiv
     cat
     
     위와 같이 지정하면 remote host, "cat" 의 모든 사용자들이 dog 시스템의
     같은 userid로 R-명령여를 수행할 수 있다.
     
    예2) /etc/hosts.equiv 화일에 remote hostname과 userid를 지정한 경우
   
     %hostname
     dog
     %vi /etc/hosts.equiv
     cat kildong
     
     위와 같이 지정하면 remote host, "cat" 의 kildong이라는 사용자는 dog
     시스템의 root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로 R-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예3) /etc/hosts.equiv 화일에 "+"를 넣어 놓은 경우
   
     %hostname
     dog
     %vi /etc/hosts.equiv
     +
     
     위와 같이 하면 어떤 시스템에서든지 "dog" 시스템의 같은 userid에 대하여
     (root 제외) R-명령을 실행 할 수 있다.
     
   예4) /etc/hosts.equiv 화일에 "+ userid"를 넣어 놓은 경우
  
    %hostname
     dog
     %vi /etc/hosts.equiv
     + kildong
     
     위와 같이 하면 어떤 시스템에서든지 "kildong"이라는 사용자로 부터 "dog"
     시스템의 root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로 R-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예5) /etc/hosts.equiv 화일에 remote hostname과 "+"를 넣어 놓은 경우
  
    %hostname
     dog
     %vi /etc/hosts.equiv
     cat +
     
     위와 같이 지정하면 remote host, "cat" 으로부터 dog" 시스템의 root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R-명령을 실행 할 수 있다.
     
    예6) /etc/hosts.equiv 화일에 "+ +"를 넣어 놓은 경우
   
     %hostname
     dog
     %vi /etc/hosts.equiv
     + +
 
  위와 같이 지정하면 모든 remote host로 부터 dog 시스템의 root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R-명령을 실행 할 수 있다.
  
3. 예외사항

    /etc/hosts.equiv화일은 "root" 에게는 적용이 않되기 때문에 root에 대하여
    R-명령이 password를 물어 보지 않고 실행 되게 하려면 root의 home directory에
    .rhosts 화일을 만들어 permission을 열어줄 remote host와 userid를 각각
    등록해야 한다.
   
    시스템에 /etc/hosts.equiv 화일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home directory에 .rhosts
    화일을 가지고 있으면 ?R-명령어 실행시 .rhosts화일의 내용이 적용된다.
   

반응형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7. 8. 21. 20:27
반응형

Hi,
I m trying to execute some command on my Solaris 10 box from Windows
machine. But i m getting the message


rsh {servername} -l username comamnd
{Servername}: permission denied
rsh: can't establish connection


I have done changes in /etc/hosts and /.rhosts but still i m not able
to connect.
all these services are enabled.
svcadm enable svc:/network/login:rlogin
svcadm enable svc:/network/shell:default
svcadm enable svc:/network/login:rlogin


ssh is working but it is asking for password on each attempt of
execution of command.
May be this problem due to since in Solaris 10 inetd.conf is useless
and all the services are controlled by svcadm or inetadm.
Please let me know how can i overcome this problem.

기용:

svcadm restart svc:/network/login:rlogin

svcadm restart svc:/network/shell:default

 

해야지..적용..^^



반응형

'OS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aris 10 Update 3의 새로운 기능 "Secure by Default"  (0) 2007.08.21
[보안] rlogin 설정  (0) 2007.08.21
솔라리스 10에서 nfs 설정하기  (0) 2007.08.17
SSH  (0) 2007.08.02
Solaris Resource Manager (SRM)  (0) 2007.08.02
Posted by [PineTree]
PineTree/Financial-T2007. 8. 21. 17:20
반응형
 

1.1년3개월만에 재현된 국제투기자금의 폭투- 폭락의 공포와 학습효과...

 

 

   -나는 이번 조정의 지수저점을 1800p전후로 판단했으나

    보기좋게 크게 빗나가고 말았다....

    나역시 개인적으로 큰 쇼크를 받았다

 

  -예상을 크게 빗나가며 어이없이 연속폭등하거나 반대로

   모든 전문가들의 예상을 크게 뒤엎고 어이없이 크게 폭락하는

   것은 '주가의 무서운 속성'중의 하나지만...

 

   아래분석에서 보듯이 내가 개인적으로 큰 쇼크를 받은것은 주가가

   폭락하는 날의 하루 하락률이 과거에 비해 어이없이..마치 한반도에서

   제3차 세계대전이 벌어진듯 너무나 큰데 충격을 받았다

 

 

        (1)작년 5월~6월의 폭락조정때

 

           1)고점대비 하락률과 하락기간

 

             -1년 3개월전인 작년 5월12일~6월14일까지 주가는 고점 1464p에서

               저점 1192p까지 22일간 (-)18.5%가 수직으로 폭락했다...

 

           2)그때 큰폭으로 폭락한 날들의 하락률

 

               -5월16일;(-)2.2%폭락

 

               -5월22일;(-)2.5%폭락

 

               -5월25일;(-)2.8%폭락

 

               -6월7일;(-)2.7%폭락(코스피종가 1266p로 셀클라이 막스로 향해 치달았다..)

 

               -6월8일;(-)3.5%(코스피 종가1223p로 연속 이틀째 더욱 큰폭 하락률로

                                       셀 클라이믹스 완성...)

 

 

 

      (2)최근 7월~8월의 폭락조정 모습은...

 

 

               (하락률과 하락기간)

 

              1)고점;2015p

              2)주말 저점;1626p

              3)하락폭;(-)389p

              4)하락률;(-)19.3%폭락

              5)하락기간;16일(영업일수 기준)

 

               -보다시피 작년의 수직폭락조정때도 (-)18.5%폭락하는데 22일이

                소요되었는데...최근 폭락은 불과 16일만에 작년보다 더 큰폭으로

                하락했다..

 

                이의 주된원인은,

 

                     첫째;외국인들의 사상최대 무차별 폭투...

 

                     둘째;증권사들의 강도높은..최단기간 신용융자 축소정책...

                            이로인한 담보비율130% 부족분에 대한 신용반대매물 연속출회

 

                     셋째;한국의 선물.옵션 투기시장의 비정상적인 발달

 

                    넷째;국내기관들의 고점이익실현및 저점매수전략..에 기인된바

                           크다고 분석된다

 

                             (최근 크게 폭락한 날들의 하락률)

 

                    -7월27일;(-)4.1%폭락

                    -8월1일;(-)4%폭락

                    -8월10일;(-)4.2%폭락

 

                    -8월16일:(-)6.9%처절한 대폭락...(셀 클라이 막스..?)

                    -8월17일;(-)3.2%폭락..(주말 이틀연속폭락으로 셀클라이막스 완성..?)

 

 

2.폭락의 학습효과가 있다면...대부분의 경우 주가는 시간이 흐르면 폭락전의 수준을

   반드시 회복했을 뿐만 아니라 더 크게 상승했다는 '대세상승의 학습효과'도 차분히

   생각해 볼때다...

 

    -현재 코스피 지수는 대부분의 비관적인 전문가들의 예상 조정저점인 1700p를 훨씬

      하회한 상태고...지나친 과매도 상태로 판단된다

 

 

3.파동분석에 의한 기술적 지지선 판단

 

 

    (1)올해 저점1345p를 저점으로 볼경우,

 

         -상승폭;(2015-1345)=(+)670p

 

         1)1차 지지선;1791p~1760p(상승폭의 1/3~38.2%조정지수)

         2)2차 지지선;1680p(상승폭의 1/2조정지수)

         3)3차 지지선;1569p(?)    - 상승폭의 2/3조정?

 

 

    (2)작년 6월16일 저점 1192p를 2차강세파동 저점으로 볼경우,

 

         -상승폭;(2015-1192)=(+)823p

 

         1)1차지지선;1741p~1701p(상승폭의 1/3~38.2%조정)

 

         2)2차지지선;1604p(상승폭의 1/2조정지수)

 

 

 

    (3)분석-'파동 분석상으론 현지수대는 지나친 과매도 상태다..'

 

       -기술적 파동분석상으론 상승폭의 1/3~38.2%이상 정정파(조정)가

         발생하는 경우가 매우 드믈다...

         위의 분석에서 보듯이 현지수대는 올해 상승폭의 1/2지수인 1680p보다

         훨씬 하락해 있는 집단 공포심리 확산에 따른 과매도 상태로 분석된다...

 

 

 

3.미국의 재할인률 전격인하는 지수바닥확인및 급반등의 신호탄...

 

 

 

4.향후 코스피 반등의 목표치

 

 

    '일정폭 급반등후...꾸역꾸역 저점높이는 장세흐름 예상'

 

 

      1)1차 반등목표;1840p~1850p전후...

                           

                            -단기 1~2개월 매물분석상 위의 지수대까지는

                              매물공백 상태로 대기매물 밀집대가 거의 없다...

 

                            -지수1840p는 주봉분석상 2차 폭락이 시작되는 지수다...

                              주가는 급반등 형태로 2차폭락전의 수준까지 빠르게 회복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2)2차 반등 목표;1885p~1900p

 

 

     3)3차 상승목표(중기);2015p돌파 ~2300p..

 

                                   -새로운 신고가 강세파동 기대..

 

 

 

5.단기최대 낙폭과대주와 향후 강력한 재상승 주도주를 노린다...

 

 

    -현재는 단기에 너무나 급락해서 단중기로 가격매력이 충분한 성장주식군들이

      너무 많다

 

         (최대 낙폭과대주중 예상 주도주 재부상가능성 높은 핵심 낙폭과대 관찰주식군)

 

 

     구분     종목명                  최고점  최근저점    하락폭        하락률            비고

 

      1        삼성중공업            57200    35600       (-)21600      (-)37.7%  46000원수준까지 매물공백

 

      2        대우조선해양         64000    40150       (-)23850      (-)37.2%  55000~56000수준까지매물공백

                                                                                                            최근의 환율상승 우호적

 

      3.       현대미포조선         331000  197000     (-)134000     (-)40.4%

 

      4        현대중공업            403500   273000    (-)130500     (-)32.3%

 

      5        우리투자증권         35450    21950      (-)13500       (-)38%

 

      6        대우증권               37950     24900      (-)13050      (-)34.3%    업종대표 최고성장 실적주

 

      7        삼성증권               94500     64000      (-)30500      (-)32.2%

 

      8        대우증권(우)         21350     12900      (-)8450        (-)39.5%    지나친 폭락..

 

      9        우리투자증권(우)   19450     13500      (-)5950        (-)30.5%    올해 전혀 오르지 못했다

 

     10        두산인프라코어     41600     26450      (-)15150      (-)36.4      초호황세 지속,글로벌 성장주

 

     11        STX엔진               72600     42250      (-)30350      (-)41.8%   업황 호조세 지속

 

     12        에버다임              9300       5730        (-)3570        (-)38.3%   초호황세 지속, 절대저평가

                                                                                                            최근의 환율상승 우호적

 

     13        현대건설              84600     59800      (-)24800      (-)29.3%    하반기 최고 선도주 부상예상

 

     14        대우건설              30200     23350      (-)6850        (-)22.6%    하반기 최고선도주 부상 예상

 

     15        GS건설                148500   107000    (-)41000       (-)27.7%    대규모 수주호재 기대..

 

     16        삼성화재              206500    167000   (-)39500       (-)19.1%    보험주..최고주도주 부상예상

 

     17        동부화재              40900     32300     (-)8600         (-)21%       최고 주도주 부상예상

 

     18        현대해상              19750     15650     (-)4100         (-)20.7%     최고주도주 부상 예상

 

     19        LIG손해보험         27300     19250     (-)8050         (-)29.4        최고주도주 부상 예상

 

     20        한화손해보험        21450     14800    (-)6650          (-)31%       최고의 턴어라운드핵심주

 

     21         한화                    64700     49100    (-)15600        (-)24%       향후 생보사 상장 수혜주

 

     22         대성산업             284000    173000  (-)111000      (-)39%       기업대변신 최고성장가치주

 

 

6.종합-향후 핵심주및 주도주에 대한 시각...

 

 

    '인생살이가 고달프듯이...대세가 가는길에도 굴곡이 많기 마련이다..'

 

    '새로 시작한다는 자세로 마음을 다잡아 먹자..'

 

    '시세는 단기적으론 타이밍의 예술이기도 하지만,중장기적으론 시간싸움, 세월싸움

     실적과 가치의 싸움인 것이다...

     지금은 시간싸움과 인내의 싸움에서 기어이 이겨내야 한다...'

 

     

 

 

     첫째;국내기관들에게 드리는 고언...

 

            -작년 한해 꼬박..전세계 증시중 최악의 어려운 조정국면과 올해 연초부터 수개월간

              지속된 대규모 펀드환매사태때의 최악의 수급상황을 잊으면 안될것 같다..

 

              지난 6월중순경 코스피가 1800p를 돌파하자...시중의 부동자금들이 물밀듯이

              밀려왔다...

 

            -기관들은 불과 2개월~3개월전부터 강화된 엄청난 실탄을 무기로 용기백배하여

              외국인들이 가장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는 IT,자동차,업종대표주 중심으로 정면승부

              를 보겠다는 심산으로 단숨에 2000p를 돌파시켰으나...

 

            -최근에 보다시피 외국인들로 부터 엄청난 규모의 매물폭탄 세례를 정면으로

              받고있다...

 

              현실적으로는 외국인들의 블루칩 보유비중이 여전히 막대하기 때문에 정면승부를

              지속하기 보다는 '측면돌파 전략'과 '파상공세' 전략으로 새롭게 전열을 재정비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둘째;위의 분석에서 보듯이 조선,증권,기계는 최대 낙폭과대 업종이 되어있다

                 반등을 노릴경우 낙폭과대주가 최고의 탄력을 보인다...

 

                 -중장기로 볼때 위의 세 업종은 기술적 조정이 지나칠 정도의 하락률로

                   마무리 되었다고 판단된다

 

17일 증권사 추정치 평균(컨센서스)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주수 고점 당시 15.2배던 PER가 현재 12배, 대우조선해양은 18.3배에서 12.8배로 낮아졌다.

 

                 -조선,증권,기계업종은 올해는 물론이고 내년이후에도 최고의 실적모멘텀이 지속될

                   것이다...

 

 

          둘째;넘쳐나는 오일달러및 자원부국들의 원자재 판매달러로 인해 이들국가들이 사회

                  기반시설 재정비및 확충에 대규모 투자를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즉,전세계 건설경기및 플랜트경기는 사상최고의 업황호조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따라 핵심대형 해외건설주는 최고의 주도주 에너지를 지속 발산할 것으로

                    예상되고...중국,러시아 인도,베트남,동유럽등 국가들의 건설및 플랜트 투자확대로

                    인해 건설장비및 기계업종의 수출호조세도 구조적으로 더욱 확장국면을 맞게될

                    것이다

 

                  -핵심 성장건설및 플랜트업종과 건설장비및 건설기계 전문업체를 지속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한편 성장대형 건설및 건설기계업종경우 경우,남북정상회담및 남북경제협력의

                   진정한 최대수혜주가 될수있다...

 

                 -새로운 정부가 등장해도 남북경제 협력을 통한 북한경제 회생은 시대의 대세가

                   될 것으로 본다...

 

                   야당의 대통령후보도 북한국민들의 1인당소득을 3000불 수준으로 끌어

                   올리겠다고 공약하고 있다...

 

                   '독일 통일후 건설주가 10배 폭등을 했다..'

 

                 -성장 대형 건설주는 중기적으로 최소한 제2의 주도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보험주 전반은 하반기이후 내년까지...새롭고 강력한 주도주로 서서히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에 생보사 상장이 스타트를 할 경우...생보사의 주가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증폭될 것은 자명하다..

                   이경우,손해보험사들의 상대적인 저평가 밸류에이션 매력이 새롭게 인식될 것이다...

 

                 -시세에는 6개월~1년정도 선행하는 무서운 속성이 있다

 

 

          넷째;대형 기술주는 완만하게 종합주가 상승율 수준으로 저점을 높일것으로 기대되기는

                 하나...최근 외국인들의 완강하고 엄청난 대규모 매물공세와 업황예측의 불확실성

                 으로 인해...일각에서 예상하는 하반기 주도주 부상은...

                 현재로선 매우 회의적인 시각을 고수하고 싶다...

반응형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7. 8. 17. 02:16
반응형

root@unknown # more dfstab

#       Place share(1M) commands here for automatic execution
#       on entering init state 3.
#
#       Issue the command 'svcadm enable network/nfs/server' to
#       run the NFS daemon processes and the share commands, after adding
#       the very first entry to this file.
#
#       share [-F fstype] [ -o options] [-d "<text>"] <pathname> [resource]
#       .e.g,
#       share  -F nfs  -o rw=engineering  -d "home dirs"  /export/home2

root@unknown # more /etc/default/nfs
# ident "@(#)nfs        1.10    04/09/01 SMI"
#
# Copyright 2004 Sun Microsystems, Inc.  All rights reserved.
# Use is subject to license terms.
#

# Sets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connection oriented connections.
# Default is unlimited and is obtained by not setting NFSD_MAX_CONNECTIONS.
# Equivalent to -c.
#NFSD_MAX_CONNECTIONS=

# Set connection queue length for the NFS over a connection-oriented
# transport. The default value is 32 entries.
# Equivalent to -l.
NFSD_LISTEN_BACKLOG=32

# Start NFS daemon over the specified protocol only.
# Equivalent to -p, ALL is equivalent to -a on the nfsd command line.
# Mutually exclusive with NFSD_DEVICE.
NFSD_PROTOCOL=ALL

# Start NFS daemon for the transport specified by the given device only.
# Equivalent to -t.
# Mutually exclusive with setting NFSD_PROTOCOL.
#NFSD_DEVICE=

#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NFS requests.
# Equivalent to last numeric argument on nfsd command line.
NFSD_SERVERS=16

# Set connection queue length for lockd over a connection-oriented transport.
# Default and minimum value is 32.
LOCKD_LISTEN_BACKLOG=32

#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lockd requests.
# Default is 20.
LOCKD_SERVERS=20

# Retransmit Timeout before lockd tries again.
# Default is 5.
LOCKD_RETRANSMIT_TIMEOUT=5

# Grace period in seconds that all clients (both NLM & NFSv4) have to
# reclaim locks after a server reboot. Also controls the NFSv4 lease
# interval.
# Overrides the deprecated setting LOCKD_GRACE_PERIOD.
# Default is 90 seconds.
GRACE_PERIOD=90

# Deprecated.
# As for GRACE_PERIOD, above.
# Default is 90 seconds.
#LOCKD_GRACE_PERIOD=90

# Sets the minimum version of the NFS protocol that will be registered
# and offered by the server.  The default is 2.
NFS_SERVER_VERSMIN=2

# Sets the maximum version of the NFS protocol that will be registered
# and offered by the server.  The default is 4.
NFS_SERVER_VERSMAX=4

# Sets the minimum version of the NFS protocol that will be used by
# the NFS client.  Can be overridden by the "vers=" NFS mount option.
# The default is 2.
#NFS_CLIENT_VERSMIN=2

# Sets the maximum version of the NFS protocol that will be used by
# the NFS client.  Can be overridden by the "vers=" NFS mount option.
# If "vers=" is not specified for an NFS mount, this is the version
# that will be attempted first.  The default is 4.
#NFS_CLIENT_VERSMAX=4

# Determines if the NFS version 4 delegation feature will be enabled
# for the server.  If it is enabled, the server will attempt to
# provide delegations to the NFS version 4 client. The default is on.
#NFS_SERVER_DELEGATION=on

# Specifies to nfsmapid daemon that it is to override its default
# behavior of using the DNS domain, and that it is to use 'domain' as
# the domain to append to outbound attribute strings, and that it is to
# use 'domain' to compare against inbound attribute strings.
NFSMAPID_DOMAIN=domain

#vi /etc/dfs/dfstab

----------------------

share -o rw /export/home/data1

share -o rw /export/home/data2

 

#svsc svc:/network/fs/server

STATE             STIME             FMRI

disabled           00:00"00         svs:/network/nfs/server:default

 

#svcadm enable svc:/network/nfs/server

 

#svsc svc:/network/fs/server

STATE             STIME             FMRI

online              00:00"00         svs:/network/nfs/server:default

 

#share

-              /export/home/data1         rw   ""

-              /export/home/data2         rw   ""

 

#svcs svc:/nework/nfs/mapid:default

STATE             STIME             FMRI

disabled           00:00"00         svs:/network/nfs/mapid:default

 

#svcadm restart svc:/network/nfs/mapid:default

 

#svcs svc:/nework/nfs/mapid:default

STATE             STIME             FMRI

online              00:00"00         svs:/network/nfs/mapid:default

 

================================================================

 

[client 설정]

#vi /etc/default/nfs

# ident "@(#)nfs        1.10    04/09/01 SMI"
#
# Copyright 2004 Sun Microsystems, Inc.  All rights reserved.
# Use is subject to license terms.
#

# Sets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connection oriented connections.
# Default is unlimited and is obtained by not setting NFSD_MAX_CONNECTIONS.
# Equivalent to -c.
#NFSD_MAX_CONNECTIONS=

# Set connection queue length for the NFS over a connection-oriented
# transport. The default value is 32 entries.
# Equivalent to -l.
NFSD_LISTEN_BACKLOG=32

# Start NFS daemon over the specified protocol only.
# Equivalent to -p, ALL is equivalent to -a on the nfsd command line.
# Mutually exclusive with NFSD_DEVICE.
NFSD_PROTOCOL=ALL

# Start NFS daemon for the transport specified by the given device only.
# Equivalent to -t.
# Mutually exclusive with setting NFSD_PROTOCOL.
#NFSD_DEVICE=

#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NFS requests.
# Equivalent to last numeric argument on nfsd command line.
NFSD_SERVERS=16

# Set connection queue length for lockd over a connection-oriented transport.
# Default and minimum value is 32.
LOCKD_LISTEN_BACKLOG=32

#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lockd requests.
# Default is 20.
LOCKD_SERVERS=20

# Retransmit Timeout before lockd tries again.
# Default is 5.
LOCKD_RETRANSMIT_TIMEOUT=5

# Grace period in seconds that all clients (both NLM & NFSv4) have to
# reclaim locks after a server reboot. Also controls the NFSv4 lease
# interval.
# Overrides the deprecated setting LOCKD_GRACE_PERIOD.
# Default is 90 seconds.
GRACE_PERIOD=90

# Deprecated.
# As for GRACE_PERIOD, above.
# Default is 90 seconds.
#LOCKD_GRACE_PERIOD=90

# Sets the minimum version of the NFS protocol that will be registered
# and offered by the server.  The default is 2.
#NFS_SERVER_VERSMIN=2

# Sets the maximum version of the NFS protocol that will be registered
# and offered by the server.  The default is 4.
#NFS_SERVER_VERSMAX=4

# Sets the minimum version of the NFS protocol that will be used by
# the NFS client.  Can be overridden by the "vers=" NFS mount option.
# The default is 2.
NFS_CLIENT_VERSMIN=2

# Sets the maximum version of the NFS protocol that will be used by
# the NFS client.  Can be overridden by the "vers=" NFS mount option.
# If "vers=" is not specified for an NFS mount, this is the version
# that will be attempted first.  The default is 4.
NFS_CLIENT_VERSMAX=4

# Determines if the NFS version 4 delegation feature will be enabled
# for the server.  If it is enabled, the server will attempt to
# provide delegations to the NFS version 4 client. The default is on.
#NFS_SERVER_DELEGATION=on

# Specifies to nfsmapid daemon that it is to override its default
# behavior of using the DNS domain, and that it is to use 'domain' as
# the domain to append to outbound attribute strings, and that it is to
# use 'domain' to compare against inbound attribute strings.
NFSMAPID_DOMAIN=domain

 

#svcadm restart svc:/network/nfs/client:default

 

#svcadm enable svc:/network/nfs/mapid:default

 

#mount 서버IP:/ /mnt

 

#ls -al /mnt

 

 

#netstat -an | egrep '2049'

반응형

'OS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rlogin 설정  (0) 2007.08.21
solaris 솔라리스 svcadm 설정 rsh  (0) 2007.08.21
SSH  (0) 2007.08.02
Solaris Resource Manager (SRM)  (0) 2007.08.02
dumpadm  (0) 2007.08.02
Posted by [PineTree]
ORACLE/ADMIN2007. 8. 14. 00:17
반응형

< oracle lock 걸린것 확인 하는 방법 >

select  username un, osuser ou, s.sid sid , s.serial# ser, l.type ty,
        decode(lmode,1,'NONE',2,'RS',3,'RX',4,'S',5,'RSX',6,'X') mh,
        o.name ob, id1,
        decode(request,1,'NONE',2,'RS',3,'RX',4,'S',5,'RSX',6,'X') mr
from    v$lock l, v$session s, sys.obj$ o
where   l.sid = s.sid
and     l.id1 = o.obj#(+)
and     username is not null
order by sid

************** 또 다른 방법 **************

oracle home/rdbms/admin/catblock.sql
                        utilblock.sql

 

 

===============================================================================================

* 다음 Query는 Lock과 관련된 transaction을 출력해준다.

  column username format a10
  column sid format 999
  column lock_type format a15
  column MODE_HELD format a11
  column MODE_REQUESTED format a10
  column LOCK_ID1 format a8
  column LOCK_ID2 format a8
  select a.sid,
    decode(a.type,
   'MR', 'Media Recovery',
   'RT', 'Redo Thread',
   'UN', 'User Name',
   'TX', 'Transaction',
   'TM', 'DML',
   'UL', 'PL/SQL User Lock',
   'DX', 'Distributed Xaction',
   'CF', 'Control File',
   'IS', 'Instance State',
   'FS', 'File Set',
   'IR', 'Instance Recovery',
   'ST', 'Disk Space Transaction',
   'IR', 'Instance Recovery',
   'ST', 'Disk Space Transaction',
   'TS', 'Temp Segment',
   'IV', 'Library Cache Invalidation',
   'LS', 'Log Start or Switch',
   'RW', 'Row Wait',
   'SQ', 'Sequence Number',
   'TE', 'Extend Table',
   'TT', 'Temp Table',
   a.type) lock_type,
   decode(a.lmode,
   0, 'None',            /* Mon Lock equivalent */
   1, 'Null',            /* N */
   2, 'Row-S (SS)',     /* L */
   3, 'Row-X (SX)',     /* R */
   3, 'Row-X (SX)',     /* R */
   4, 'Share',           /* S */
   5, 'S/Row-X (SSX)', /* C */
   6, 'Exclusive',      /* X */
   to_char(a.lmode)) mode_held,
   decode(a.request,
   0, 'None',            /* Mon Lock equivalent */
   1, 'Null',            /* N */
   2, 'Row-S (SS)',     /* L */
   3, 'Row-X (SX)',     /* R */
   4, 'Share',           /* S */
   5, 'S/Row-X (SSX)', /* C */
   6, 'Exclusive',      /* X */
   to_char(a.request)) mode_requested,
   to_char(a.id1) lock_id1, to_char(a.id2) lock_id2
  from v$lock a
  where (id1,id2) in
      (select b.id1, b.id2 from v$lock b where b.id1=a.id1 and
              b.id2=a.id2 and b.request>0);


  ( 위의 Query를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력된다.

 SID LOCK_TYPE         MODE_HELD   MODE_REQUE   LOCK_ID1   LOCK_ID2
 --- ---------------   ----------  ----------   --------   --------
   5  Transaction       Exclusive    None        262172     90
   6  Transaction       None         Exclusive   262172     90
   9  Transaction       None         Exclusive   262172     90

  SID 6과 9는 SID 5가 걸고 있는 Lock이 풀리기를 기다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다음 Query는 Lock과 관련된 테이블을 출력해 준다.

  column username format a10
  column lockwait format a10
  column sql_text format a80
  column object_owner format a14
  column object format a15
  select b.username username, c.sid sid, c.owner object_owner,
     c.object object, b.lockwait, a.sql_text SQL
  from v$sqltext a, v$session b, v$access c
  where a.address=b.sql_address and
     a.hash_value=b.sql_hash_value and
     b.sid = c.sid and c.owner != 'SYS';
  /

  ( 위의 Query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

  USERNAME          SID OBJECT_OWNER   OBJECT          LOCKWAIT
  --------------- --- ------------- -------------- ----------
  SQL
  ---------------------------------------------------------------
  LTO2                6  LTO                EMP             C3D320F4
  update lto.emp set empno =25 where empno=7788
  LTO3                9  LTO                EMP             C3D320C8
  delete from lto.emp where empno=7788
  LTO                 5  LTO                DEPT
  insert into lto.dept values (60,'PROGRAMMER','LOS ANGELOS')

 여기서는 USERNAME에 나와있는 유저가 OBJECT에 나와있는 테이블을 수정하려고
 함을 나타낸다. LT02,LT03는 LT0가 Commit,Rollback 하기를 기다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가장 최근의 DML 명령 하나만 나와있기 때문에 여기
 나온 명령이 반드시 Lock을 걸고 있는 명령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관련된 프로세스
  ---------------
 * 다음 Query를 실행해 보면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column "ORACLE USER" format a11
  column SERIAL# format 9999999
  column "OS USER" format a8
  select substr(s.username,1,11) "ORACLE USER", p.pid "PROCESS ID",
    s.sid "SESSION ID", s.serial#, osuser "OS USER",
    p.spid "PROC SPID",s.process "SESS SPID", s.lockwait "LOCK WAIT"
  from v$process p, v$session s, v$access a
  where a.sid=s.sid and
     p.addr=s.paddr and
     s.username != 'SYS';
  /

 * 위의 Query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

 ORACLE    PROCESS  SESSION  SERIAL#  OS USER   PROC   SESS   LOCKWT 
  USER          ID       ID                     SPID   SPID
 ------    -------  -------  -------  -------   ----   ----   ------
 LTO            19        5       31  usupport  17312  17309
 LTO2           25        6       43  usupport  17313  17310  C3D320F4
 LTO3           26        9        1  usupport  17314  17311  C3D320D8

 이 때는 다음과 같이 조치한다.

 1. LTO에게 Commit,Rollback 할 것을 요구한다.
 2. SQLDBA>ALTER SYSTEM KILL SESSION '5,31';
 3. %kill -9 17309   (유닉스상의 Shadown Process)
   stop/id=<SESS SPID> (PROC SPID=SESS SPID on vms running single task)

 여기서 SYS 유저는 제외시켰는데 필요하다면 Query의 Where 조건에서
 s.username != 'SYS' 부분을 삭제하면 된다.

  CATBLOCK.SQL & UTLLOCKT.SQL
  ---------------------------
 $ORACLE_HOME/rdbms/admin 디렉토리에 있는 스크립트 가운데 catblock.sql과
 utlockt.sql을 사용하여서 Lock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cd $ORACLE_HOME/rdbms/admin
 %sqldba lmode=y (svrmgrl
 SVRMGR>connect internal
 SVRMGR>@catblock


  결과는 다음 Query 문으로 알아 본다.

 column waiting_session format a8
 select lpad(' ',3*(level-1)) || waiting_session,
   lock_type,
   mode_requested,
   mode_held,
   lock_id1,
   lock_id1,
   lock_id2
 from lock_holders
 connect by  prior waiting_session = holding_session
 start with holding_session is null;

  위의 Query에 의한 출력은 다음과 같다.

 WAITING_ LOCK_TYPE           MODE_REQUE MODE_HELD   LOCK_ID1   LOCK_ID2
 -------- ----------------- ---------- ---------- ---------- ----------
   5       None
   6       Transaction        Exclusive   Exclusive   262172      90
   9       Transaction        Exclusive   Exclusive   262172      90

  여기서 Session 6, Session 9가 Session 5를 기다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Lock & Hanging 문제를 추정하는 방법
  -----------------------------------
 프로그램 상에서 어느 부분이 Lock, Hanging 문제를 일으키는지 알아내기가
 여의치 않을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 보기 바란다.

 1. init<SID>.ora의 sql_trace=ture로 세팅하면 연관된 SQL 명령이 출력될
    것이다.
 2. OS 상에서도 Process 상태를 점검하여 본다.
 3. OS 상의 Debugging 기능을 사용하거나 만약 가능하다면 oradbx를 사용한다.
    Platform 에 따라서 없을 수도 있다.
 4. 여러가지 Monitoring 방법과 Locking/Blocking 스크립트를 이용한다.

  PROCESS STACKS 확인
  -------------------
 때로는 Hanging Process나 리소스를 점유하고 있는 Process의 Process Stack을
 점검해 보는 것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다.

 1. OS Debuggin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angup 되기 전의 마지막 Call을 확인
    한다.

    ex)%truss -p <shadow pid>

 2. oradbx(오라클 debugging 프로그램)은 Support,Development 시에만 사용
    된다.

 select substr(s.username,1,11) "ORACLE USER" ,
    p.pid "PROCESS ID", s.sid "SESSION ID", s.serial#,
    osuser "OS USER", p.spid "PROC SPID"
 from v$session s, v$access a, v$process p
 where a.sid=s.sid and
    p.addr=s.paddr and
    s.username != 'SYS';
 /

  위의 Query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

  ORACLE    PROCESS  SESSION  SERIAL#  OS USER   PROC   SESS   LOCKWT   
   USER          ID       ID                     SPID   SPID       
  ------    -------  -------  -------  -------   ----   ----   ------     
  LTO            19        5       31  usupport  17312  17309            
  LTO2           25        6       43  usupport  17313  17310  C3D320F4   
  LTO3           26        9        1  usupport  17314  17311  C3D320D8

 만약 oradbx가 없다면 다음과 같이 해서 만들어 준다.

 %cd $ORACLE_HOME/rdbms/lib
 %make -f oracle.mk oradbx

 LTO Process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싶으면 Process Stack을 보면 알수
 있다.

 ps -ef | grep 17312
   usupport 17312 17309 0 Sep 15 ?  0:00 oracleV713(DESCRIPTION=(LOCAL=YE

 type <oradbx>
 debug 17312 (이 유저의 oracle shadow process)
 dump stack
 dump procstat

 위에서 생성된 트레이스 화일(user_dump_dest 에 생성됨)을 이용하면 Hanging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자주 발생하는 LOCK 문제들
  -------------------------
 1. Parent-Child 관계로 묶인 테이블에서 Child 테이블에 Index가 없는 상황
    에서 Child 테이블을 수정하게 되면 Parent테이블에 TABLE LEVEL SHARE
    LOCK이 걸리게 되어서 Parent 테이블에 대한 모든 Update가 금지된다.
 2. 블럭의 PCTFREE가 매우 작다면 한 블럭에 여러개의 레코드가 들어 있기
    때문에 한 블럭에 과도한 트랜잭션이 들어와서 블럭의 Transaction Layer가
    Release 되기를 기다리게 되는 경우도 있다.

 Ex)
 create table test (a number) initrans 1 maxtrans 1;

 SYSTEM:  insert into test values (5);            /* completed   */
 SCOTT:   insert into SYSTEM.test values (10);   /* Scott waits */

  SID OWNER   LOCK_TYPE       MODE_HELD   MODE_REQUE LOCK_ID1 LOCK_ID2
 ---- -----   ------------- ----------- ---------- -------- --------
    7 System  Transaction     Exclusive   None        196639    54
   10 Scott    Transaction      None        Share        196639    54

 

 

 

=======================================================================================

select sid, serial#,taddr,lockwait,그외기타정보컬럼 from v$session where
schemaname <> ''sys''
/
락이 걸리거나 의심되는 sid, serial#을

alter system kill session ''sid, serial#'';
해당명령으로 할당해제합니다.

다음내용참조하세요
1. v$session
주요 column
sid : session identifier
serial# : session serial number
username : 해당 session을 맺은 oracle username
lockwait : 대기중인 lock address

select sid, serial#, username, lockwait
from v$session ;

sid serial# username lockwait
------ --------- ----------- ----------
6 35 lto2 c2d2b3b4
8 70 system
12 15 lto
14 17 lto3 c2d2b438
15 30 sys

여기서 lockwait에 무언가가 기록 되어 있다면 해당 session은 특정
resource를 얻기 위해 대기중인 상태임
위의 예에서 lt02, lt03이 이에 해당함

2. v$lock
현재 system에 걸려 있는 lock들과 요구되어지는 lock들에 대한 정보
주요 column
sid : 해당 lock 또는 lock request의 소유 session
type : 현재 걸려있는 lock 또는 요구되는 lock의 type
주로 문제가 되고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tx type
(transaction)임
id1, id2 : 각 lock type별로 특수한 정보들이 기록됨
lock type이 tx일 경우 동일한 resource에 대한 lock을
요구하는 경우 각각의 id1, id2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lmode : 만약 해당 row가 걸려있는 lock에 대한 정보라면 lock mode가,
lock request에 대한 정보라면 none 이 들어 있음
request : 만약 해당 row가 걸려있는 lock에 대한 정보라면 none이,
lock request에 대한 정보라면 요구되는 lock mode가 들어 있음
* lock type, lock mode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oracle7 server concepts
manual'' chapter 10 data concurrency를 참조

select s.username, s.sid, s.serial#, l.type, l.id1, l.id2,
l.lmode, l.request
from v$session s, v$lock l
where s.sid = l.sid ;

username sid serial# type id1 id2 lmode request
--------- ---- -------- ----- ------- ------ ------- --------
lto2 6 35 tm 2294 0 rx none
lto2 6 35 tm 2295 0 rx none
lto2 6 35 tx 262167 87 none x
lto2 6 35 tx 327682 90 x none
lto 12 15 tm 2294 0 rx none
lto 12 15 tm 2295 0 rx none
lto 12 15 tx 262167 87 x none
lto3 14 17 tm 2294 0 rx none
lto3 14 17 tm 2295 0 rx none
lto3 14 17 tx 262167 87 none x
lto3 14 17 tx 196636 87 x none

* 다음 사용자들은 lock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lto2 6 35 tx 262167 87 none x
lto3 4 17 tx 262167 87 none x

* 이들이 기다리고 있는 lock은 다음과 같다.
lto 12 15 tm 2294 0 rx none
lto 12 15 tm 2295 0 rx none
lto 12 15 tx 262167 87 x none

3. v$access
system에서 현재 lock이 걸려있는 object들과 이들을 access하고자 시도하는
session들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음
주요 column
sid : 현재 lock이 걸려있는 object를 access하고자 시도하는 session의 id
owner : lock이 걸려있는 object의 owner
object : lock이 걸려있는 object name

4. v$sqltext
주요 column들
address, hash_value : 특정 session이 수행하는 sql문을 확인하기 위해
v$session의 sql_address, sql_hash_value와 join한다.
sql_text : sql문

현재 sga영역에 존재하는 sql statement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음
현재 특정 session이 수행하는 sql문을 조회하기 위해 다음 sql문을
이용한다.

select s.sid, s.serial#, s.username, a.sql_text
from v$sqltext a, v$session s
where s.sid = 11 and s.serial# = 9 -- session의 sid, serial#를 확인한
and a.address = s.sql_address -- 후 where조건에 기술
and a.hash_value = s.sql_hash_value ;

위에서 언급한 view들을 적절히 활용하여 문제의 lock을 걸고 있는 session을
찾아내어 alter system kill session ''sid, serial#'' ; 를 이용하여 해당
session을 kill시킨다.

시나리오 : lock이 걸린 table을 추측할 수 있을 경우
1. v$access 에서 해당 table에 lock을 잡고있는(요청하는) session
의 id를 확인
2. v$lock에서 위 1의 sid가 요청하는 resource를 잡고 있는 session을 확인
3. 필요하다면 v$sqltext를 보아서 실행중인 sql문을 확인
4. 위 2에서 확인된 session을 kill

 


 

반응형

'ORACLE > ADM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파라미터 관련 사이트 링크  (0) 2007.12.13
DATABASE LINK 사용법  (0) 2007.12.07
ORACLE relink  (0) 2007.08.07
Oradebug Command  (0) 2007.08.04
10g SYSAUX tablespace 줄이기  (0) 2007.08.02
Posted by [PineTree]
PineTree/Financial-T2007. 8. 11. 21:54
반응형
 
쥬라기 />/> 장세가 좀 헷갈리지요 ?
쥬라기 />/> 미국이 신용경색 났다 하니 조금 놀래는 사람도 있을 거고,,, 
쥬라기 />/> 잠시 화장실 갔다 올테니 뉴스 제목좀 토론 좀 해 보세요

쥬라기 />/> 가장 주목해서 볼 내용이 뭡니까 ? 
쥬라기 />/> FRB와 유럽의 중앙은행이 돈을 푼다
쥬라기 />/> 이것이지요 ?
쥬라기 />/> 유럽과 미국의 중앙은행이 함께 돈을 풀었던 가장 가까운 때가 언제였죠 ?
쥬라기 />/> 2001년 9월 이었어요... 911 테러 이후에 
쥬라기 />/> 그래서 장세가 어떻게 변했었나요 ?
쥬라기 />/> 우리 나라는 462까지 내렸던 지수가 6개월만에 930까지 상승했죠 ?
쥬라기 />/> 미국은 2003년부터 지속적으로 본원통화량을 줄여왔지요 ?
쥬라기 />/> 그러나 통화량은 줄였으나 신용(통화승수)이 팽창하면서 유동성이 커진 것.
쥬라기 />/> 지금은 신용이 위축(통화승수 감소)하므로 본원통화를 늘려서 
쥬라기 />/> 전체적인 균형을 맞춰가게 되지요 
쥬라기 />/> 시중유동성 = [ 중앙은행 공급 본원통화 ] x 통화승수(신용)
쥬라기 />/> 이 공식에서 신용이 팽창하면서 통화승수가 과하게 커졌으나,,, 
쥬라기 />/> 한편으로는 본원통화량을 줄여왔지요
쥬라기 />/> 하락이 나오더라도 차분히 현금은 10% 정도만 유지하고 차분히 물량을 늘려가면 좋아요 
쥬라기 />/> 현금이 전혀 없는 사람은 10% 정도 유지하구요 

쥬라기 />/> 신용경색은 FRB가 유도한 것이죠 
쥬라기 />/> 본원통화 증가율을 3%대 미만으로 유도하면 여기저기서 문제가 터지게 되어 있어요
쥬라기 />/> 없던 신용경색도 만들어지게 되죠 
쥬라기 />/> 지금의 미국 통화량이 그 수준이지요 ?
쥬라기 />/> 그래서 저렇게 해서 한번 털어먹는 것입니다 
쥬라기 />/> FRB ( 미국 중앙은행 )의 주인이 누구입니까 ?
쥬라기 />/> 로스차일드 가문 & JP모건 가문 등 유태계 글로벌 메이져이죠 ?
쥬라기 />/> 영국의 중앙은행의 주인은 ?
쥬라기 />/> EU의 중앙은행의 주인은 ?
쥬라기 />/> 다 이들 가문의 사적 재산들입니다
쥬라기 />/> 다만 한국은행은 아닌 것 같은데,,, 누가 실제 주인인지 모르겠어요 
쥬라기 />/> 그래서 글로벌 메이저 세력이 무서운 것이지요.... 
쥬라기 />/> 그들은 경기도 금융시장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지요.
쥬라기 />/> 여기에 대해 의문이 있는 분은 " 그림자 정부 경제편"을 꼭 읽어 보세요 
쥬라기 />/> 어쨋든 간에, 지금은 저 통화량이 바닥이니 신용이 경색이 오는 것이고 
쥬라기 />/> 신용이 경색이 오니 통화량을 늘리게 되는 것이지요
쥬라기 />/> 지금부터의 강의는 가장 중요한 강의 중의 하나이니 잘 경청하세요 
쥬라기 />/> 주식은 저가 매수의 여건이니 차분히 저가에 걸어놓고 사면 되고 
쥬라기 />/> 대신 10%의 현금은 사용하면 안됩니다. 남겨두세요 
쥬라기 />/> 아직 하락이 마무리되었다고 볼 수 없으니... 조금은 남기고 차분히 저가 매수입니다

쥬라기 />/> 세계의 큰 장세는 바로 돈의 흐름에 의해서 만들어집니다
쥬라기 />/> 돈이 풀리면 상승장세가 되고 돈이 줄어들면 하락장세가 되지요
쥬라기 />/> 저것은 미국의 본원통화량의 전년 동월비 증가율을 나타냅니다 
쥬라기 />/> 저 본원 통화량이 증가하면,,, 
쥬라기 />/> 그 돈이 실물 경제로 들어가면 경제가 잘 풀리게 됩니다 
쥬라기 />/> 저 돈이 금융 시장으로 들어가면 주식과 자산 등 자산가치가 오릅니다
쥬라기 />/> 그래서 큰 상승과 하락을 만들지요 
쥬라기 />/> 실상 최근 우리나라 증시가 강한 모습을 보이는 것도 
쥬라기 />/> 우리 시장에 신용이 과하게 풀리기 때문
쥬라기 />/> 어제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상한 것도 돈이 너무 많이 돌기 때문에 그런 겁니다 
쥬라기 />/> 그래서 미국의 신용경색 현상하고 우리나라하고는 180도 다른 상황이죠 

쥬라기 />/> 이따가 이 원인은 좀더 설명하기로 하고
쥬라기 />/> 우선 전세계의 경기와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통화량 운용을 살펴 보면 
쥬라기 />/> 통화량이 증가하면 경기호전 금융시장 호전
쥬라기 />/> 통화량이 감소하면 경기위축 금융시장 악화가 되죠 
쥬라기 />/> 미국의 저 통화 관리를 보면 1997년 아시아의 위기도 
쥬라기 />/> 1995년 이후 미국의 급격한 통화 감축이 먼 원인이고 
쥬라기 />/> 둘째로 인위적인 환율 변화로 아시아 자금이 중국으로 이동한 영향이 플러스 알파죠

 

 

쥬라기 />/> 그러던 것이, 1998년에 통화 긴축에서 벗어난 것은 
쥬라기 />/> 러시아의 모라토리엄으로 미국의 큰 금융회사가 망가졌죠 ?
쥬라기 />/> 그 회사 이름이 뭐였죠 ? 파생상품으로 노벨상 받은사람들이 모여 있던,,, 
쥬라기 />/> 롱텀캐피탈.... 
쥬라기 />/> 이 회사가 문제가 터지자 미국이 구제금융(시장에 돈을 품)을 실시했죠 
쥬라기 />/> 여기에 이어서 미국의 뇌관이라 할 수 있는 브라질이 외환위기에 빠지자 
쥬라기 />/> 아시아 외환위기에서 강건너불(격안관화 ; 36계중 9계) 계략을 취하고 있던 
쥬라기 />/> 미국이 브라질에 대해 500억 달러를 지원하면서 유동성을 공급했죠 
쥬라기 />/> 그 때문에 1998년 상승장세가 나타난 것입니다 
쥬라기 />/> 미국이 롱텀캐피탈 문제로 인한 신용경색과 브라질 위기로 인한 신용경색을 
쥬라기 />/> 피하기 위하여 대규모 자금을 푼 것이 그 돈으로 전세계 경제와 금융시장이 살아난 것이죠 
쥬라기 />/> 그때 500원 700원 하던 증권주 건설주들이 10000원대까지 쉬지 않고 올랐었죠 ?
쥬라기 />/> 그런 후에 1999년 아홉수에 따라 경기가 꺾이는 시점이었는데 
쥬라기 />/> 그래서 우리 나라도 1999년 7월을 기점으로 경기가 꺾이면서 
쥬라기 />/> 대우사태를 핑계삼아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쥬라기 />/> 다른 호재가 하나 더 있었죠 ? 
쥬라기 />/> 1999년 12월 31일이 되면 컴퓨트 프로그램이 잘못되어 모든 컴퓨터가 멎어버리면 어쩌나 ?
쥬라기 />/> 이런 쓸데없는 걱정을 하시 시작했죠 
쥬라기 />/> 가정에 있는 컴퓨터아 멎어도 그만이지만,
쥬라기 />/> 국가 행정 전산망이나, 국방 전산망, 항공전산망, 금융전산망, 원자력 발전을 포함한 발전소 전산망, 
쥬라기 />/> 이런 것들이 모두 멎어버리게 되면 사태는 걷잡을 수 없다고 해서 
쥬라기 />/> 2년전부터 차근차근 Y2k 대책을 추진했었죠 ? 
쥬라기 />/> 기억 나시나요 ?
쥬라기 />/> 제조업 생산 장비는 모두 Y2K 이상 없다는 검증을 받아야 했고,,, 
쥬라기 />/> 금융기관은 자료 백업에 엄청 신경을 썼죠.
쥬라기 />/> 그러나 1999년 9월 문제의 날짜가 3개월 앞으로 다가오자 ,, 
쥬라기 />/> 이제 아주 조마조마하게 되었죠
쥬라기 />/> 전 금융기관은 고객 자료 전부 프린트해서 백업 받아 놓고,,, 
쥬라기 />/> 가만 생각해 보세요 
쥬라기 />/> 금융자료를 저장한 컴퓨터가 멎어버리고 자료가 마구 흐트러져 버리면 
쥬라기 />/> 고객 예금한 돈은 누구 것이 얼만지 모르는 사태가 나타나 
쥬라기 />/> 금융기관에서 돈을 찾지 못하는 사태가 되잖아요 ? 
쥬라기 />/> 그럴 리는 없겠지만 그게 만의 일 아니 백만분의 일의 확률이라도 그런 사태가 되면 ??
쥬라기 />/> 그래서 할 수 없이 국민들에게 현금을 쥐어주는 수 밖에 없었죠 
쥬라기 />/> 은행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는 현금이 있어야 상품 교환이 됩니다ㅣ 
쥬라기 />/> 그래서 3개월 전부터 통화량을 늘렸습니다
쥬라기 />/> 중앙은행이 시중에 돈을 푼 것이죠... 
쥬라기 />/> 전체 통화에 대해 대략 30% 쯤 더 풀었죠 
쥬라기 />/> 한국, 미국,일본, 유럽, 영국,대만, 독일,,,, 모두 다 풀었어요 
쥬라기 />/> 그 당시 나는 이것이 통화 팽창에 의해 문제가 된다는 것을 예측했었죠 
쥬라기 />/> 바로 그렇게 풀린 돈이 금융시장으로 들어가더니
쥬라기 />/> 아무런 가치가 없는 기업들의 주가가 갑자가 제트 엔진을 달더군요 
쥬라기 />/> 우리 기억에서 생생하죠 ?
쥬라기 />/> 마크로젠, 다음, 새롬기술,,,,,, 이런 기업들이 엄청나게 치솟아 올랐어요 
쥬라기 />/> 바로 전세계에 풀린 돈의 힘으로,,,. 
쥬라기 />/> 그러니 사람들 눈이 뒤집어졌죠... 
쥬라기 />/> 새 천년이 되면서 세상이 바로 파라다이스로 바뀌는 줄 알았죠

쥬라기 />/> 그게 바로 저때였죠
쥬라기 />/> 돈이 저렇게 많이 풀었으니 "휴지도 저게 황금으로 변한다." 라고만 말만 그럴 듯 하게 했으면 
쥬라기 />/> 한장에 수십만원씩 주고 사갔지요 
쥬라기 />/> 그러나 아무일 도 없었죠 
쥬라기 />/> 혹시나 했던 2000년 2월 28일 윤년버그도 아무일 없었죠 
쥬라기 />/> 그래서 3월 초에 미국 중앙은행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은 일제히 돈을 회수합니다ㅏ
쥬라기 />/> 물론 저 중앙은행은 모두 글로벌 메이저 세력들이므로 
쥬라기 />/> 글로벌 메이저 세력들은 밀레니엄 장세에서 엄청난 자금을 다 챙기고 난 후였겠죠 ?
쥬라기 />/> 그리고 거품이 꺼지죠... 
쥬라기 />/> 하염없이 주가가 빠집니다 
쥬라기 />/> 새롬기술 100만원의 꿈을 버리지 않고 보유하고 있던 사람들이 
쥬라기 />/> 그 하락을 고스란히 감당을 해야 했죠 ?

쥬라기 />/> 그 때가 바로 저기입니다 
쥬라기 />/> 통화량 증가율이 엄청 감소하였죠 ?
쥬라기 />/> 지금 장세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해 드리는 중입니다 
쥬라기 />/> 전세계의 금융시장이 왜 상승이 만들어지고 하락이 만들어지는지 
쥬라기 />/> 그 근본 원리를 상세히 소개하고 있어요 
쥬라기 />/> 그래서 2000년에 이렇게 통화를 줄이면서 경기도 갑자기 추락했는데 
쥬라기 />/> 경기는 2001년 중반부터 서서히 회복될 조짐을 보이고 있었죠 
쥬라기 />/> 물론 주가는 계속 내리막이었구요 
쥬라기 />/> 글로벌 세력들이 주가를 지지선에 맞춰놓고 바닥을 만드려는 순간
쥬라기 />/> 911 세력이 미국의 금융시장(뉴욕의 증권거래소)를 마비시킬 목적으로 테러를 했어요
쥬라기 />/> 빈라덴은 미국의 힘은 금융시장의 경제력에서 나오므로 
쥬라기 />/> 미국 금융시장의 본거지를 무너뜨리겠다는 생각으로 
쥬라기 />/> 증권거래소 옆에 금융인들이 세들어 일하는 건물 100층짜리 2개를 무너뜨려 
쥬라기 />/> 금융기능을 마비시키려고 했었죠 
쥬라기 />/> 그러나 시간이 잘못되었죠 ?
쥬라기 />/> 만일 사람들이 출근해서 일하는 시간에 테러가 났다면 
쥬라기 />/> 아마도 미국 금융전문가 태반이 몰살 당할 뻔 했죠 
쥬라기 />/> 그래서 그때 주가가 그렇게 크게 빠진 것입니다 
쥬라기 />/> 테러가 났기 때문에 그런 것도 아니고
쥬라기 />/> 100층 건물이 무너?볍? 때문에 그런 것도 아니고 
쥬라기 />/> 미국의 금융시장이 마비될까봐서 그랬던 것이지요 
쥬라기 />/> 그러자 다음날부터 어떤 일이 있었지요 ?
쥬라기 />/> 미국의 중앙은행, 유럽의 EC중앙은행, 영국의 영란은행, 일본의 일본은행, 한국의 한국은행 
쥬라기 />/> 모두 일제히 돈을 시장에 풀기 시작했죠 ?
쥬라기 />/> 금융시장 경색을 피하기 위해서 중앙은행이 일제히 돈을 풀었어요 
쥬라기 />/> 그런데 며칠 지나니 망가진 줄 알았던 미국 금융시스템은 멀쩡했죠 ?
쥬라기 />/> 그래서 911로 주가가 크게 하락한 이후에 바로 상승장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쥬라기 />/> 911때문에 풀었던 돈이 바로 추진 연료가 된 것이죠 

쥬라기 />/> 그 때가 저 때입니다
쥬라기 />/> 그러나 이번에도 일없이 돈을 풀었기 때문에 2002년 2분기부터 다시 돈을 줄이기 시작했죠 
쥬라기 />/> 그러면서 2002년 2분기 이후의 조정장이 시작된 것이구요
쥬라기 />/> 유동성이 감소한 만큼 다소 급하게 하락했지요 ?
쥬라기 />/> 그 이후에는 쥬글라 파동의 경기가 호전되고... 
쥬라기 />/> 돈을 줄이지만 대신 금리를 낮추어 신용을 팽창시킴으로써 
쥬라기 />/> 위축되었던 신용이 살아나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2003년 ~ 현재의 장세가 진행되는 것입니다 
쥬라기 />/> 유동성  = [본원통화량 ] x [통화승수 (신용) ] 
쥬라기 />/> 이런 관계에서 본원통화량은 계속 줄였지만, 은행이 대출을 늘리면서 신용이 증가해서 
쥬라기 />/> 유동성은 꾸준히 증가한 것이지요 
쥬라기 />/> 지금은,
쥬라기 />/> 본원통화량을 연증가율 3% 이내로 줄였기 때문에 돈을 구할래도 없는 상태죠 
쥬라기 />/> 그래서 신용 경색이 나타날 조건을 갖추고 있지요 
쥬라기 />/> 그래서 가장 허술한 곳부터 흔들거리는 것이지요 

쥬라기 />/> 그래서 어젯밤 뉴스에서 이런 뉴스들은
쥬라기 />/> 신용경색과 중앙은행의 현금방출 
쥬라기 />/> 즉 위기와 함께 기회 
쥬라기 />/> 이런 내용입니다 
쥬라기 />/> 이해가 되나요 ?? 
쥬라기 />/> 미국하고 유럽이(즉 글로벌 메이저가 자기가 소유한 은행들에게)
쥬라기 />/> 일단 1500억 달러를 풀어라 하고 지시를 했다는 내용이지요 ?
쥬라기 />/> 즉, 좀 어렵다가 곧 잘 풀린다는 말이 되는데,,,,,, 
쥬라기 />/> 돈줄이 막혔다가 나중에 수혈을 받아 정상이 된다는 의미잖아요 ?
쥬라기 />/> 그런데, 이렇게 잠시 위축되었다 정상으로 돌아가는 동안,,,, 
쥬라기 />/> 빚을 과도하게 썼던 사람들은 모두 파산합니다 
쥬라기 />/> 다른 말로 바꾸면, 빚을 쓴 사람들을 이렇게 하여 그 재산을 뺏는 것입니다 
쥬라기 />/> 그래서 빚이 무서운 겁니다
쥬라기 />/> 보통때는 아무일 없다가, 글로벌 메이저가 마음만 먹으면 주머니 뒤져 가져가듯 가져살 수 있어요 
쥬라기 />/> 우리나라 기업들도 80년대~90년대 돈을 엄청 빌려서 투자했다가 

쥬라기 />/> 저기서 한번 통화 긴축을 해 놓으니까 바로 다 털렸잖아요 ?
쥬라기 />/> 삼성그룹이 글로벌 메이져의 저 속셈을 안 이후로 빚을 안쓰죠 
쥬라기 />/> 여하튼 빚을 과도하게 지고 있는 사람은 아무리 많은 자산이 있어도 
쥬라기 />/> 자기것이라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쥬라기 />/> 그것은 글로벌 메이저가 필요할 때 언제든 가져가는 글로벌 메이져 재산이지요 

쥬라기 />/> 위기는 한자로 위험의 위자와 기회의 기자가 합쳐져 있지요 ? 

 

쥬라기 />/> 危機 

 

쥬라기 />/> 즉, 위험은 곧 기회이다 

쥬라기 />/> 는 의미입니다 
쥬라기 />/> 위험과 기회는 동전의 앞뒷면과 같아서 함께 다닙니다 
쥬라기 />/> 금융시장에서의 위험(특히 신용경색)은 중앙은행의 통제력이 있는 한,
쥬라기 />/> 위기를 피하기 위해서 자금을 방출하는 한
쥬라기 />/> 항상 기회가 됩니다 
쥬라기 />/> 바로 이때 절호의 기회가 만들어지는 것이지요 
쥬라기 />/> 그러나 그런 기회속에서도 빚을 가진 사람은 완전하게 파산합니다 
쥬라기 />/> 3일간의 하락에 미수 몰빵이 완전 거덜나는 것과 똑같은 원리이지요 
쥬라기 />/> 그래서 앞으로 여러분이 살면서 위기가 올 때마다 오늘 이 강의를 상기하십시오
쥬라기 />/> 그리고 기회의 조건이 뭔지 잘 살펴 그런 기회를 포착하십시오
쥬라기 />/> 또 위기가 오기 전에 부채를 정리하고 현금을 두어 
쥬라기 />/> 기회를 잘 활용하는 그런 습관이 필요하지요 
쥬라기 />/> 아무리 어려운 위기라도 그것이 절대절명의 위기가 분명하는 한,
쥬라기 />/> 절대절명의 기회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쥬라기 />/> 그리고 통화의 관리과 관련된 장세 형성의 원리를 잘 알아두고 연구하세요 

쥬라기 />/> 주식시장은....

쥬라기 />/> 1929년의 경제공황과 2차대전과 월남전과 석유파동과 수많은 경제

쥬라기 />/> 위기에도 불구하고 그런 하락을 포함해서 연평균 15% 이상 오릅니다 
쥬라기 />/> 지금은 왜 매수할 시기이냐 ? 
쥬라기 />/> 중앙은행이 통화를 방출할 시기이기 때문... 
쥬라기 />/> 그래서 단기적으로 변동이 있지만 장기로 보다 큰 상승이 나오는 자리가 되지요 

쥬라기 />/> 그리고 이런 조정의 준비는 이미 5월부터 진행되었죠
쥬라기 />/> 벌써 3개월이 지났으니 팔 물량을 다 팔고 나서 
쥬라기 />/> 이제 본격적으로 악재를 노출시키면서 가격을 낮춰 다시 사들일 자리이죠 
쥬라기 />/> 어제 같은 경우 미국은 급락을 했지만 지수만 급락을 했어요 
쥬라기 />/> 어젯밤 시황에 그런 내용을 적었었지요 ?

쥬라기 />/> RSI 보조지표를 보면 외바닥으로 상승하지 않죠 ?
쥬라기 />/> 한번 내려왔다가 다시 내려서 쌍바닥 모양(W)자 모양을 만들면서 상승을 하죠 
쥬라기 />/> 처음 하락은 주로 차익실현을하여 물량을 줄이는 과정이고 
쥬라기 />/> 두번째 하락은 매수이니 지수를 급히 낮추고 지수영향이 적은 종목은 표시안나게 매수하기 쉽죠 

쥬라기 />/> 어제 미국 시장의 흐름입니다 
쥬라기 />/> 100대 대형주는 3.17%가 하락했고 
쥬라기 />/> 500대 대형주는 2.96% 하락 
쥬라기 />/> 그러나 소형주 2000개지수는 1.36% 하락 
쥬라기 />/> 그러니 지수 빼서 쉬운 큰 넘들만 패서 겁을 잔뜩 주는 것이지요 
쥬라기 />/> 아시겠죠 ?

쥬라기 />/> 지난번에 뉴욕증시 월봉 RSI가 저 추세 저항선에 닿았으니 현금을 늘립시다 그랬죠 ?
쥬라기 />/> 지금은 저 추세의 하단에 닿았으니 주식을 늘립시다
쥬라기 />/> 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PineTree]
PineTree/MOVIE2007. 8. 11. 20:49
반응형
디 워 (D-War, 2007)

 

 

 

   감독 : 심형래

     출연 : 제이슨 베어, 아만다 브룩스...더보기
     개봉일 : 2007년 8월 1일
     등급 : 12세 관람가

     장르 : 판타지, 액션

 

 

 

명석이 한테 연락 이왓다..디워 보고 싶다고 ...자기가 보여준다고 보자면서

 

난 사실 별루 보고 싶지 않았 다..스토리가 빈약하다는 소릴 많이 들었기

 

때 문이다 역시 난 별루 기대 하지 않고 그냥 봤다..

 

나 의 느낌 역시...cg good! story bad.. 보다가 ...잠깐 한 30초 정도

 

졸았다.. 내용이 어설펏다...

 

명석이 역시 졸다가 용으로 변해서  싸우는 가장 중요한 장면을 놓쳤 다햇

 

다...

 

하지만 심형래 감독을 인정할 만 했다..코메디언 하다 용가리에서 이렇게 진

 

화하다니.. 다음 작품에선 스토리 보강하고 cg 좀 더 다듬으면 세계적으로

 

괜찮을 영화가 나올 꺼 같다..

 

근데 이런 영화가 우리나라에서 1000만이 넘을 것 같다..내가 보기엔 그정도

 

의 영화는 아닌데...난 사실 괴물도 그 다지 .별루였 는데 울 나라 사람들은

 

이상하다...................................................

 

 

 

 

 

 

 

 

 

 

 

 

 

 

 

 

 

 

 

 

반응형

'PineTree >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븐 데이즈  (0) 2007.11.19
식객  (0) 2007.11.18
화려한 휴가.  (0) 2007.08.11
다이하드 4.0  (0) 2007.07.20
트랜스포머  (0) 2007.06.30
Posted by [PineTree]
PineTree/MOVIE2007. 8. 11. 20:32
반응형
 
화려한 휴가 (2007) 영화정보 더보기
한국 드라마 15세 관람가->12세 관람가 125분 개봉 2007.07.25
감독 :
김지훈
출연 :
김상경, 안성기, 이요원, 이준기, 박철민 더보기

 

휴가 때 마침 광주집에 내려갔을 때 개봉 당일 봤던 영화다......

 

이 영화의  흥행 성공으로...그동안 왜곡되게 5.18 광주 민중항쟁을 폭도로  만들어 버려서..

 

아직 까지도 잘못 알고 있는 광주 민중 항쟁에 대해서

 

잘 못 알고있었던 사람들과 어린 학생들에게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를 알게 해주는 

 

그런 영화가 될꺼 같다......다행이다.

 

난 아기 때 사진이 없다... 형은 있는 데 .......

 

그게 다 5.18 때 문이라고 하셧다 ..생일이 오월 달인 관계로다가...

 

못난이었겠쥐만 서도 암튼 아쉽긴 허당..아기 사진이 읍써서..ㅋㅋ

  

 

 

반응형

'PineTree >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븐 데이즈  (0) 2007.11.19
식객  (0) 2007.11.18
D-War  (0) 2007.08.11
다이하드 4.0  (0) 2007.07.20
트랜스포머  (0) 2007.06.30
Posted by [PineTree]
ORACLE/ADMIN2007. 8. 7. 02:34
반응형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relink가 이루어짐

  • Oracle product install
  • Oracle에서 제공하는 installer를 이용한 patch 적용

manual하게 해줘야하는 경우
  • OS upgrade
  • OS system library에 변화가 일어난 경우 (OS patch에서 이루어짐)
  • 새로운 relink가 실패한 경우
  • initial startup 동안 Oracle 실행파일이 core dump를 일으킨 경우
  • Oracle patch 적용된 경우 (README에 명시된 경우에만!!!)

relink
  1. $ORACLE_HOME 변수 설정이 정확한지 체크 (" env | pg" $ORACLE_HOME이 절대경로인지확인)
  2. UNIX 환경변수 점검 (LIBPATH, LD_LIBRARY_PATH, SHLIB_PATH)
    setenv LD_LIBRARY_PATH ${ORACLE_HOME}/lib:${LD_LIBRARY_PATH}
    Solaris 경우
    Oracle 7.3.X, 8.0.X, or 8.1.X:
    $PATH에 /usr/ccs/bin 가 /usr/ucb 보다 앞에 있는지 확인
    32bit(non 9i) Oracle :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
    64bit(non 9i) Oracle :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 LD_LIBRARY_PATH_64=$ORACLE_HOME/lib64
    Oracle 9.X.X (64Bit) on Solaris (64Bit) OS :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32, LD_LIBRARY_PATH_64=$ORACLE_HOME/lib
    Oracle 9.X.X (32Bit) on Solaris (64Bit) OS :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
  3. DB가 shutdown된 상태인지와 listener가 내려간 상태인지 확인 (참고:component 가 제대로 설치되지않은 경우 fail남)
  4. Oracle 7.3.x
    For executables: oracle, exp, imp, sqlldr, tkprof
    cd $ORACLE_HOME/rdbms/lib
    make -f ins_rdbms.mk install
    For executables: svrmgrl, svrmgrm
    cd $ORACLE_HOME/svrmgr/lib
    make -f ins_svrmgr.mk linstall minstall (linstall is for svrmgrl, minstall is for svrmgrm)
    For executables: sqlplus
    cd $ORACLE_HOME/sqlplus/lib
    make -f ins_sqlplus.mk install
    For executables: dbsnmp, oemevent, oratclsh
    cd $ORACLE_HOME/network/lib
    make -f ins_agent.mk install
    For executables: names, namesctl
    cd $ORACLE_HOME/network/lib
    make -f ins_names.mk install
    For executables: tnslsnr, lsnrctl, tnsping, csmnl, trceval, trcroute
    cd $ORACLE_HOME/network/lib
    make -f ins_network.mk install
  5. Oracle 8.0.x
    For executables: oracle, exp, imp, sqlldr, tkprof, mig, dbv, orapwd, rman, svrmgrl, ogms, ogmsctl
    cd $ORACLE_HOME/rdbms/lib
    make -f ins_rdbms.mk install
    For executables: sqlplus
    cd $ORACLE_HOME/sqlplus/lib
    make -f ins_sqlplus.mk install
    For executables: dbsnmp, oemevent, oratclsh, libosm.so
    cd $ORACLE_HOME/network/lib
    make -f ins_oemagent.mk install
    For executables: tnslsnr, lsnrctl, namesctl, names, osslogin, trcasst, trcroute
    cd $ORACLE_HOME/network/lib
    make -f ins_network.mk install
  6. Oracle 8.1.X or 9.X.X
    cd $ORACLE_HOME/bin
    relink
    accepted values for parameter: all, oracle, network, client, client_sharedlib, interMedia, precomp, utilities, oemagent, ldap
    또는
    For executables: oracle, exp, imp, sqlldr, tkprof, mig, dbv, orapwd, rman, svrmgrl, ogms, ogmsctl #: cd $ORACLE_HOME/rdbms/lib
    make -f ins_rdbms.mk install
    For executables: sqlplus
    cd $ORACLE_HOME/sqlplus/lib
    make -f ins_sqlplus.mk install
    For executables: isqlplus
    cd $ORACLE_HOME/sqlplus/lib
    make -f ins_sqlplus install_isqlplus
    For executables: dbsnmp, oemevent, oratclsh
    cd $ORACLE_HOME/network/lib
    make -f ins_oemagent.mk install
    For executables: names, namesctl
    cd $ORACLE_HOME/network/lib
    make -f ins_names.mk install
    For executables: osslogin, trcasst, trcroute, onrsd, tnsping
    cd $ORACLE_HOME/network/lib
    make -f ins_net_client.mk install
    For executables: tnslsnr, lsnrctl
    cd $ORACLE_HOME/network/lib
    make -f ins_net_server.mk install
    For executables related to ldap (for example Oracle Internet Directory):
    cd $ORACLE_HOME/ldap/lib
    make -f ins_ldap.mk install


 
  For executables: sqlplus
 
  % cd $ORACLE_HOME/sqlplus/lib
  % make -f ins_sqlplus.mk install
 
  For executables: dbsnmp, oemevent, oratclsh, libosm.so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oemagent.mk install
 
  For executables: tnslsnr, lsnrctl, namesctl, names, osslogin, trcasst,
  trcroute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network.mk install

 

 

==========================================================================================

:  How to Relink Oracle Database Software on UNIX
  문서 ID:  공지:131321.1 유형:  BULLETIN
  마지막 갱신 날짜:  15-MAY-2007 상태:  PUBLISHED


PURPOSE
-------

Provide relinking instructions for Oracle Database software
on UNIX platforms.

 
SCOPE & APPLICATION
-------------------

Anyone who maintains Oracle RDBMS software on a UNIX platform.


Relinking Oracle
================

Background:
Applications for UNIX are generally not distributed as complete executables. 
Oracle, like many application vendors who create products for UNIX, distribute
individual object files, library archives of object files, and some source
files which then get ?relinked? at the operating system level during
installation to create usable executables.  This guarantees a reliable
integration with functions provided by the OS system libraries.

Relinking occurs automatically under these circumstances:

 - An Oracle product has been installed with an Oracle provided installer.
 - An Oracle patch set has been applied via an Oracle provided installer. 

The following information has been added to the 'Certify' section of Metalink:

   General Notes For Oracle Database - Enterprise Edition:
   O/S Information:
   The vendors guarantee operating system binary compatibility; therefore, no
   reinstall or relink of the Oracle software is required when upgrading these
   operating syste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Relinking Oracle manually is suggested under the following circumstances
(even though the OS vendor may not require it):

 - An OS upgrade has occurred.
 - A change has been made to the OS system libraries.  This can occur during
   the application of an OS patch.
 - A new install failed during the relinking phase.
 - Individual Oracle executables core dump during initial startup.
 - An individual Oracle patch has been applied (however, explicit relink
   instructions are usually either included in the README or integrated into
   the patch install script)

Customers who want to (or have been advised to) manually relink should follow
the procedure below.

[Step 1] Log into the UNIX system as the Oracle software owner
==============================================================================
Typically this is the user 'oracle'.
 

[STEP 2] Verify that your $ORACLE_HOME is set correctly:
===============================================================================
For all Oracle Versions and Platforms, perform this basic environment check
first:
 
 % cd $ORACLE_HOME
 % pwd   

 ...Doing this will ensure that $ORACLE_HOME is set correctly in your current
    environment.
 

[Step 3] Verify and/or Configure the UNIX Environment for Proper Relinking:
===============================================================================
For all Oracle Versions and UNIX Platforms:
 The Platform specific environment variables LIBPATH, LD_LIBRARY_PATH, &
 SHLIB_PATH typically are already set to include system library locations like
 '/usr/lib'.  In most cases, you need only check what they are set to first,
 then add the $ORACLE_HOME/lib directory to them where appropriate.
 i.e.:  % setenv LD_LIBRARY_PATH ${ORACLE_HOME}/lib:${LD_LIBRARY_PATH}
 (see Note 131207.1 How to Set UNIX Environment Variables for help with
 setting UNIX environment variables)

If on AIX with:
--------------
   
    Oracle 7.3.X:
       - Set LIB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
   
    Oracle 8.0.X:
       - Set LIB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
       - Set LD_LIBRARY_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 and
         $ORACLE_HOME/network/lib (Required when using Oracle products that
         use Java)
       - Set LINK_CNTRL to L_PTHREADS_D7 if using AIX 4.3. ('oslevel' verifies
         OS version)
   
    Oracle 8.1.X, 9.X.X or 10.X.X:
       - For 8.1.5, set LINK_CNTRL to L_PTHREADS_D7
       - If not 8.1.5, ensure that LINK_CNTRL is not set
       - Set LIB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
     

If on DATA GENERAL AVIION (DG) with:
-----------------------------------

    Oracle 7.3.X or 8.0.X:
       - Set LD_LIBRARY_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
       - ensure TARGET_BINARY_INTERFACE is unset
   
    Oracle 8.1.X:
       - Set LD_LIBRARY_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ORACLE_HOME/JRE/lib/PentiumPro/native_threads

If on HP-UX with:
----------------

    Oracle 7.3.X, 8.0.X, 8.1.X;
       - Set SHLIB_PATH to $ORACLE_HOME/lib
       If using 64bit 8i Oracle, also
       - Set LD_LIBRARY_PATH to $ORACLE_HOME/lib64
       - ensure LPATH is unset
 
    Oracle 9.X.X or 10.X.X;
       - ensure LPATH is unset

If on NCR with:
--------------

    Oracle 7.3.X, 8.0.X or 8.1.X:
       - Set LD_LIBRARY_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usr/ccs/lib

If on SCO UNIXware with:
-----------------------

    Oracle 7.3.X or 8.0.X:
       - Set LD_LIBRARY_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
   
    Oracle 8.1.X:
       - Set LD_LIBRARY_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ORACLE_HOME/JRE/lib/x86at/native_threads

If on SGI with:
--------------

    32bit Oracle 7.3.X or 8.0.X:
       - Set LD_LIBRARY_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
       - Set SGI_ABI to -32 

    64bit Oracle 8.0.X or 8.1.X (8i is only available in 64bit):
       - Set LD_LIBRARY_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
       - Set SGI_ABI to -64
       - If one does not already exist, create the file compiler.defaults and
         set the COMPILER_DEFAULTS_PATH variable:

     In the Oracle software owner's $HOME directory, create a file called
     'compiler.defaults':
 
        % cd $HOME
        % echo "-DEFAULT:abi=64:isa=mips3:proc=r10k" > compiler.defaults

     Then set the environment variable COMPILER_DEFAULTS_PATH to point to the
     $HOME directory.
 
        % setenv COMPILER_DEFAULTS_PATH $HOME
 
     If this is not set, relinking will fail because the compiler defaults to
     MIPS4 objects although Oracle requires MIPS3.
       - Set LD_LIBRARY64_PATH to include the $ORACLE_HOME/lib and the
         $ORACLE_HOME/javavm/admin directories.
       - Set LD_LIBRARYN32_PATH to include the $ORACLE_HOME/lib32 directory.
         NOTE: LD_LIBRARY64_PATH & LD_LIBRARYN32_PATH must be undefined when
         installing software with Oracle Universal Installer.

If on SOLARIS (Sparc or Intel) with:
------------------------------------

    Oracle 7.3.X, 8.0.X, or 8.1.X:
       - Ensure that /usr/ccs/bin is before /usr/ucb in $PATH 
         % which ld   ....should return '/usr/ccs/bin/ld'

       If using 32bit(pre 9i) Oracle,
       - Set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

       If using 64bit(pre 9i) Oracle,
       - Set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
       - Set LD_LIBRARY_PATH_64=$ORACLE_HOME/lib64

    Oracle 9.X.X or higher:
       - LD_LIBRARY_PATH & LD_LIBRARY_PATH_64 do not need to be set to include
         a reference to $ORACLE_HOME/lib or $ORACLE_HOME/lib64 for a generic database
         software installation.
         (However they should not contain a reference to the ORACLE_HOME of another Oracle version)

If on Digital/Tru64, IBM/Sequent PTX, Linux or any other UNIX Platform not
mentioned above with:
------------------------------------------------------------------------------

    Oracle 7.3.X, 8.0.X, 8.1.X, 9.X.X or 10.X.X:
       - Set LD_LIBRARY_PATH to include $ORACLE_HOME/lib


[Step 4] For all Oracle Versions and UNIX Platforms:
===============================================================================
Verify that you performed Step 2 correctly:

 % env|pg  ....make sure that you see the correct absolute path for
   $ORACLE_HOME in the variable definitions.
 

[Step 5] For all Oracle Versions and UNIX Platforms:
===============================================================================
Verify umask is set correctly:

 % umask

This must return 022.  If it does not, set umask to 022.

 % umask 022
 % umask

[Step 6] Run the OS Commands to Relink Oracle:
===============================================================================
Important Note:  Before relinking Oracle, shut down both the database and the
                 listener.
Important Note:  The following commands will output a lot of text to your
                 session window.
Important Note:  If relinking a client installation, it's expected that some
                 aspects of the following commands will fail if the components
                 were not originally installed.

For all UNIX platforms:

Oracle 7.3.x
------------
 For executables:  oracle, exp, imp, sqlldr, tkprof

      % cd $ORACLE_HOME/rdbms/lib
      % make -f ins_rdbms.mk install

 For executables:  svrmgrl, svrmgrm

      % cd $ORACLE_HOME/svrmgr/lib
      % make -f ins_svrmgr.mk linstall minstall      <- linstall is for svrmgrl,
                                                        minstall is for svrmgrm

 For executables:  sqlplus

      % cd $ORACLE_HOME/sqlplus/lib
      % make -f ins_sqlplus.mk install

 For executables:  dbsnmp, oemevent, oratclsh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agent.mk install

 For executables:  names, namesctl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names.mk install

 For executables:  tnslsnr, lsnrctl, tnsping, csmnl, trceval, trcroute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network.mk install


Oracle 8.0.x
------------
 For executables:  oracle, exp, imp, sqlldr, tkprof, mig, dbv, orapwd, rman,
                   svrmgrl, ogms, ogmsctl

      % cd $ORACLE_HOME/rdbms/lib
      % make -f ins_rdbms.mk install

 For executables:  sqlplus

      % cd $ORACLE_HOME/sqlplus/lib
      % make -f ins_sqlplus.mk install

 For executables:  dbsnmp, oemevent, oratclsh, libosm.so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oemagent.mk install

 For executables:  tnslsnr, lsnrctl, namesctl, names, osslogin, trcasst,
                   trcroute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network.mk install


Oracle 8.1.X, 9.X.X or 10.X.X
------------------------------
  *** NEW IN 8i AND ABOVE ***

   A 'relink' script is provided in the $ORACLE_HOME/bin directory.
     % cd $ORACLE_HOME/bin
     % relink      ...this will display all of the command's options.
       usage: relink <parameter>
       accepted values for parameter: all, oracle, network, client,
       client_sharedlib, interMedia, precomp, utilities, oemagent, ldap
 
  Note: ldap option is available only from 9i. In 8i, you would have to manually relink
  ldap.

  You can relink most of the executables associated with an Oracle Server Installation
  by running the following command:
     % relink all   
  This will not relink every single executable Oracle provides(you can
  discern which executables were relinked by checking their timestamp with
  'ls -l' in the $ORACLE_HOME/bin directory).  However, 'relink all' will
  recreate the shared libraries that most executables rely on and thereby
  resolve most issues that require a proper relink.

 
 -or-

  Since the 'relink' command merely calls the traditional 'make' commands, you
  still have the option of running the 'make' commands independently:

 For executables:  oracle, exp, imp, sqlldr, tkprof, mig, dbv, orapwd, rman,
                   svrmgrl, ogms, ogmsctl

      % cd $ORACLE_HOME/rdbms/lib
      % make -f ins_rdbms.mk install

      NOTE: After relinking the oracle executable, make sure that the
      permissions on the executable are 6751 (-rwsr-s--x). If they are
      not, run the following command as the Oracle software owner:

      % cd $ORACLE_HOME/bin
      % chmod 6751 oracle

 For executables:  sqlplus

      % cd $ORACLE_HOME/sqlplus/lib
      % make -f ins_sqlplus.mk install

 For executables:  isqlplus

      % cd $ORACLE_HOME/sqlplus/lib
      % make -f ins_sqlplus install_isqlplus

 For executables:  dbsnmp, oemevent, oratclsh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oemagent.mk install

      NOTE: After relinking the dbsnmp executable, it is necessary to run
      the following commands as root (so that the ownership/permissions on
      the executable are correct):

      # cd $ORACLE_HOME/bin
      # chown root dbsnmp
      # chmod 6750 dbsnmp

      @ References: Note 233559.1 and Bug 2858326

 For executables:  names, namesctl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names.mk install

 For executables:  osslogin, trcasst, trcroute, onrsd, tnsping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net_client.mk install

 For executables:  tnslsnr, lsnrctl

      % cd $ORACLE_HOME/network/lib
      % make -f ins_net_server.mk install

 For executables related to ldap (for example Oracle Internet Directory):

      % cd $ORACLE_HOME/ldap/lib
      % make -f ins_ldap.mk install

How to Tell if Relinking Was Successful:
===============================================================================
If relinking was successful, the make command will eventually return to the OS
prompt without an error. There will NOT be a 'Relinking Successful' type
message.


If You Receive an Error Message During Relinking:
===============================================================================
Confirm that the message you received is an actual fatal error and not a
warning. Relinking errors usually terminate the relinking process and contain
verbage similar to the following:
'Fatal error', 'Ld: fatal', 'Exit Code 1'
While warnings will look similar to: 'ld: warning: option -YP appears more than
once, first setting taken' and can most often be ignored.

If you receive an error that terminates the relinking process, your first step
should be to extract the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error from the make
output:

This can be broken down into three basic steps:
 1. Identify the OS utility that is returning the error.
    'ld', 'make', 'cc', 'mv', 'cp', 'ar' are common sources.
 2. Identify the type of error:
    'Permission Denied', 'Undefined Symbol', 'File Not Found' are common types.
 3. Identify the files or symbols involved.

Using the information from above as keywords, search Oracle's Metalink
repository (MetaLink.oracle.com) for previous occurrences of the same error. 
If no previous occurances are found or a solution is not provided, generate an
iTAR that includes the complete error text.

Help setting environment variables.
==============================================================================
See Note 131207.1 How to Set UNIX Environment Variables
for help with setting UNIX environment variables.


Relinking with Orainst:
===============================================================================
For Oracle7 & Oracle8 only, the following document illustrates how to relink
with the 'orainst' utility:
   Note 1032747.6 HOW TO RELINK ORACLE USING THE 7.3.X INSTALLER
While 'orainst' will run the same commands as [Step 4], performing [Step 4]
manually from a UNIX shell is the preferred approach.


RELATED DOCUMENTS
-----------------

Note 131207.1   How to Set UNIX Environment Variables
Note 109621.1   HP/UX: LD_LIBRARY_PATH and SHLIB_PATH
Note 1032747.6  HOW TO RELINK ORACLE USING THE 7.3.X INSTALLER
Bug 1337908     THE $ORACLE_HOME/BIN/RELINK SCRIPT DOES NOT RELINK EXP, IMP
                  SQLLOADER

 

반응형

'ORACLE > ADM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LINK 사용법  (0) 2007.12.07
oracle lock  (0) 2007.08.14
Oradebug Command  (0) 2007.08.04
10g SYSAUX tablespace 줄이기  (0) 2007.08.02
RMAN  (0) 2007.07.24
Posted by [Pine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