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SOLARIS2005. 8. 31. 03:46
반응형
 

솔라리스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패닉 현상이 나타나게 되면 보통 crash 디렉터리를 지정을

하지 않았다면 /var/crash/[hostnam]/ 밑에 unix 파일과 core 파일을 남깁니다..

그 파일을 이용하여 시스템 패닉전에 무슨일이 있었는지 분석이 가능 합니다.

아래는 분석에 사용하는 명령어들과 보기입니다.

우선 core 파일과 unix파일이 있는 디렉터리로 이동 합니다. ( /var/crash/[hostname] )


1. strings


# strings vmcore.0 | grep SunOS ---> OS 의 종류를 보여준다.

# strings vmcore.0 | grep macine ---> 어떤 호스트인지 열거 하여 준다.

# strings vmcore.0 | more ---> 다 보여준다.


2. netstat


# netstat -d unix.0 vmcore.0 --> 네트웍 통계보기

# netstat -n unix.0 vmcore.0 --> NFS통계보기


3. arp

# arp -a unix.0 vmcore.0 --> arp 테이블보기


4. ipcs

# ipcs -a -N unix.0 -C vmcore.0 --> ipc 보기


5. crash


사용법 : crash [ -d dumpfile ] [ -n namelist ] [ -w output-file ]


예)


# crash -d unix.0 vmcore.0

dumpfile = vmcore.0, namelist = /dev/ksyms, outfile = stdout

> status

system name: SunOS

release: 5.7

node name: ns

version: Generic_106541-15

machine name: sun4u

time of crash: 수 11월 7 11:23:10 2001

age of system: 1 hr., 6 min.

panicstr: [AFT1] errID 0x000003a4.70f365cc %sError(s)

See previous message(s) for details

panic registers:

pc: 10010104 sp: 400275d8

> help

help [-w filename] function[s]

help function

alias:

acceptable aliases are uniquely identifiable initial substrings

> help p

p [-e] [-f] [-l] [-w filename] [([-p] [-a] tbl_entry | #procid)... | -r]

tbl_entry = slot number | address | symbol | expression | range

process table

alias: proc

acceptable aliases are uniquely identifiable initial substrings

p -e

PROC TABLE SIZE = 2922

SLOT ST PID PPID PGID SID UID PRI NAME FLAGS

0 t 0 0 0 0 0 96 sched load sys lock

1 s 1 0 0 0 0 58 init load

2 s 2 0 0 0 0 98 pageout load sys lock nowait

3 s 3 0 0 0 0 60 fsflush load sys lock nowait

4 s 347 1 347 347 0 58 sac load jctl

5 s 350 1 350 350 0 37 dmispd load

6 s 138 1 138 138 0 41 keyserv load

7 s 53 1 53 53 0 43 devfseventd load

8 s 57 1 57 57 0 50 devfsadm load

9 s 136 1 136 136 0 58 rpcbind load

10 s 205 1 205 205 0 53 nscd load

11 s 130 1 130 130 60001 58 tocsin load

12 s 188 1 188 188 0 52 syslogd load

13 s 178 1 178 178 0 58 automountd load

14 s 170 1 170 170 0 58 in.named load jctl

15 s 163 1 163 163 0 0 inetd load

16 s 233 228 228 228 1006 23 mshttpd load

17 s 300 267 0 0 0 58 mysqld load

18 s 193 1 193 193 0 49 cron load

19 s 232 228 228 228 1006 33 mshttpd load

20 s 228 1 228 228 0 59 mshttpd load

21 s 234 228 228 228 1006 13 mshttpd load

22 s 235 228 228 228 1006 3 mshttpd load

23 s 236 228 228 228 1006 0 mshttpd load

24 s 249 1 249 249 0 58 utmpd load

25 s 267 1 0 0 0 10 safe_mysqld load

26 s 253 1 253 253 0 58 sendmail load jctl

27 s 265 1 265 265 0 58 httpd load

28 s 10139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29 s 10146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30 s 10141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31 s 10151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32 s 10140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33 s 281 1 279 279 0 60 auditd load

36 s 331 1 331 331 0 48 dtlogin load jctl

37 s 325 1 325 325 0 23 mountd load

38 s 327 1 327 327 0 33 nfsd load

40 s 351 347 347 347 0 58 listen load nowait jctl

41 s 348 1 348 348 0 55 ttymon load

42 s 14566 331 14566 14566 0 59 Xsun load

43 s 352 347 347 347 0 58 ttymon load jctl

44 s 10137 265 265 265 60001 53 httpd load

50 s 14585 1 14574 14574 0 59 fbconsole load

55 s 14605 14574 14605 14605 0 59 dtgreet load

60 s 14574 331 14574 14574 0 50 dtlogin load

71 s 10150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76 s 10138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82 s 11077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90 s 11085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 p -l

p_lock: owner 0 waiters 0

cr_lock: owner 0 waiters 0

Condition variable p_cv: 0

Condition variable p_flag_cv: 0

Condition variable p_lwpexit: 0

Condition variable p_holdlwps: 0

Condition variable p_srwchan_cv: 0

82 s 11077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p_lock: owner 0 waiters 0

cr_lock: owner 0 waiters 0

Condition variable p_cv: 0

Condition variable p_flag_cv: 0

Condition variable p_lwpexit: 0

Condition variable p_holdlwps: 0

Condition variable p_srwchan_cv: 0

90 s 11085 265 265 265 60001 58 httpd load

.

.

.

. 이하생략..


> q


6. adb 사용하기


# adb -k unix.0 vmcore.0 ( unix파일이나 core파일 대신 커널쪽을 볼수도 있다 ex> adb -k /dev/ksyms /dev/mem )

adb -k unix.0 vmcore.0

physmem 5b01

*panicstr/s ---> 패닉 메세지가 무엇이었나 보여준다.

0x40027768: [AFT1] errID 0x000003a4.70f365cc %sError(s)

See previous message(s) for details

$<utsname ---> 호스트 이름과 장비에 관해 열거해준다.


utsname:

utsname: sys SunOS

utsname+0x101: node ns

utsname+0x202: release 5.7

utsname+0x303: version Generic_106541-15

utsname+0x404: machine sun4u


srpc_domain/s ---> 도메인

srpc_domain:

srpc_domain:


hw_provider/s ---> 제조업체

hw_provider:

hw_provider: Sun_Microsystems


*time-(lbolt%0t100)=Y --->부트시간/날짜

2001 Oct 6 21:26:01


$<msgbuf ---> 최근 메세지 버펄를 열거 하여 준다

SunOS Release 5.7 Version Generic_106541-15 [UNIX(R) System V R

elease 4.0]

0x700b57e0: Copyright (c) 1983-1999, Sun Microsystems, Inc.

0x700b53c3: Ethernet address = 8:0:20:86:23:9e

0x700b4fa0: mem = 196608K (0xc000000)

0x700b4b80: avail mem = 188989440

0x700b4763: root nexus = Sun Ultra 1 SBus (UltraSPARC 167MHz)

0x700b4343: sbus0 at root: UPA 0x1f 0x0 ...

0x70155ee3: sbus0 is /sbus@1f,0

0x70155ac0: dma0 at sbus0: SBus0 slot 0xe offset 0x8400000

0x701556a3: dma0 is /sbus@1f,0/espdma@e,8400000

0x70155280: /sbus@1f,0/espdma@e,8400000/esp@e,8800000 (esp0):

esp-options=0x46

0x70154e60: esp0 at dma0: SBus0 slot 0xe offset 0x8800000 Onboard device spa

rc9 ipl 4

0x70154a43: esp0 is /sbus@1f,0/espdma@e,8400000/esp@e,8800000

0x70154620: NOTICE: Memory scrubber exiting

0x70154200: sd0 at esp0:

0x70177d40: target 0 lun 0

0x70177923: sd0 is /sbus@1f,0/espdma@e,8400000/esp@e,8800000/sd@0,0

0x70177500: <FUJITSU-MAB3091SC-2703 cyl 7185 alt 2 hd 10 sec 248>

0x701770e0: sd1 at esp0:

0x70176cc0: target 1 lun 0

0x701768a3: sd1 is /sbus@1f,0/espdma@e,8400000/esp@e,8800000/sd@1,0

0x70176480: <SUN4.2G cyl 3880 alt 2 hd 16 sec 135>

0x70176060: sd4 at esp0:

0x70179c00: target 4 lun 0

0x701797e3: sd4 is /sbus@1f,0/espdma@e,8400000/esp@e,8800000/sd@4,0

0x701793c0: <SUN4.2G cyl 3880 alt 2 hd 16 sec 135>

0x70178fa0: sd6 at esp0:

0x70178b80: target 6 lun 0

0x70178763: sd6 is /sbus@1f,0/espdma@e,8400000/esp@e,8800000/sd@6,0

0x70178347: root on /sbus@1f,0/espdma@e,8400000/esp@e,8800000/sd@0,0:a fstyp

e ufs

0x700efee0: zs0 at sbus0: SBus0 slot 0xf offset 0x1100000 Onboard device spa

rc9 ipl 12

0x700efac3: zs0 is /sbus@1f,0/zs@f,1100000

0x700ef6a0: zs1 at sbus0: SBus0 slot 0xf offset 0x1000000 Onboard device spa

rc9 ipl 12

0x700ef283: zs1 is /sbus@1f,0/zs@f,1000000

0x700eee66: keyboard is </sbus@1f,0/zs@f,1000000> major <29> minor <2>

0x700eea46: mouse is </sbus@1f,0/zs@f,1000000:b> major <29> minor <3>

0x700ee626: stdin is </sbus@1f,0/zs@f,1000000> major <29> minor <2>

0x700ee200: cgsix0 at sbus0: SBus0 slot 0x1 offset 0x0 SBus level 5 sparc9 i

pl 9

0x7015fea3: cgsix0 is /sbus@1f,0/cgsix@1,0

0x7015fbe1: cgsix0: screen 1152x900, single buffered, 1M mappable, rev 11

0x7015f926: stdout is </sbus@1f,0/cgsix@1,0> major <39> minor <0>

0x7015f660: cpu0: SUNW,UltraSPARC (upaid 0 impl 0x10 ver 0x22 clock 167 MHz)

0x7015f3a0: ledma0 at sbus0: SBus0 slot 0xe offset 0x8400010

0x7015f0e0: le0 at ledma0: SBus0 slot 0xe offset 0x8c00000 Onboard device sp

arc9 ipl 6

0x7015ee23: le0 is /sbus@1f,0/ledma@e,8400010/le@e,8c00000

0x7015eb63: dump on /dev/dsk/c0t0d0s1 size 1000 MB

0x7015e8a2: pseudo-device: devinfo0

0x7015e5e3: devinfo0 is /pseudo/devinfo@0

0x7015e320: fd0 at sbus0: SBus0 slot 0xf offset 0x1400000 Onboard device spa

rc9 ipl 11

0x7015e063: fd0 is /sbus@1f,0/SUNW,fdtwo@f,1400000

0x70559d60: sbusmem0 at sbus0: SBus0 slot 0x0 offset 0x0

0x70559aa3: sbusmem0 is /sbus@1f,0/sbusmem@0,0

0x705597e0: sbusmem1 at sbus0: SBus0 slot 0x1 offset 0x0

0x70559523: sbusmem1 is /sbus@1f,0/sbusmem@1,0

0x70559260: sbusmem2 at sbus0: SBus0 slot 0x2 offset 0x0

0x70558fa3: sbusmem2 is /sbus@1f,0/sbusmem@2,0

0x70558ce0: sbusmem3 at sbus0: SBus0 slot 0x3 offset 0x0

0x70558a23: sbusmem3 is /sbus@1f,0/sbusmem@3,0

0x7042b70b: WARNING: [AFT1] EDP event on CPU0 Data access at TL=0, errID 0x0

00003a4.70f365cc

AFSR 0x00000000.80400002<PRIV,EDP> AFAR 0xffffffff.ffffffff

AFSR.PSYND 0x0002(Score 95) AFSR.ETS 0x00 Fault_PC 0x1018af18

UDBH 0x0000 UDBH.ESYND 0x00 UDBL 0x0000 UDBL.ESYND 0x00

0x7055834b: [AFT2] errID 0x000003a4.70f365cc No error found in ecache (No fa

ult PA available)

0x70558080: panic[cpu0]/thread=40027e60:

0x70558b80: [AFT1] errID 0x000003a4.70f365cc EDP Error(s)

See previous message(s) for details

0x70154fc0:

0x7015f7c3: syncing file systems...

0x7015fd43: [4]

0x7015f243: [4]

0x7015f500: panic[cpu0]/thread=4003fe60:

0x700ef800: panic sync timeout

0x7015ea00:

0x700efc23: dumping to /dev/dsk/c0t0d0s1, offset 209780736


$c ---> C 스택 역추적

complete_panic(0xf,0x10437c00,0x40027e60,0x7011478a,0x0,0x10107880) + 24

do_panic(0x1,0x40027954,0x10107f70,0x0,0x0,0x400277bb) + 174

vcmn_err(0x3,0x40027768,0x40027954,0x7efefeff,0x81010100,0xff00) + 14

cpu_aflt_log(0x400278f8,0x400277bb,0x40027978,0x3,0x1010785c,0x10107880) + 4c0


rootfs$<bootobj ---> 루투장치는 어떤것인가


rootfs:

rootfs: fstype ufs^@^@^@^@^@^@^@^@^@^@^@^@^@

rootfs+0x10: name /sbus@1f,0/espdma@e,8400000/esp@e,8800000/sd@0,0:a^@^@^@

^@^@^@^@^@^@^@^@^@^@^@^@^@^@^@^@^@^@^@^@^@^@^@^@^@^@^@^@^@^@^@^@

^@^@^@^@^@^@^@^@^@^@^@^@^@^@^@^@^@^@^@^@^@^@^@^@^@^@^@^@^@^@^@^@

^@^@^@^@^@^@^@^@^@^@^@

rootfs+0x90: flags size vp

0 0 0


swapfile$<bootobj ---> 스왑장치는 어떤것인지 열거


swapfile:

swapfile: fstype ^@^@^@^@^@^@^@^@^@^@^@^@^@^@^@^@

swapfile+0x10: name ^@^@^@^@^@^@^@^@^@^@^@^@^@^@^@^@^@^@^@^@^@^@^@^@^@^@^@^@

^@^@^@^@^@^@^@^@^@^@^@^@^@^@^@^@^@^@^@^@^@^@^@^@^@^@^@^@^@^@^@^@

^@^@^@^@^@^@^@^@^@^@^@^@^@^@^@^@^@^@^@^@^@^@^@^@^@^@^@^@^@^@^@^@

^@^@^@^@^@^@^@^@^@^@^@^@^@^@^@^@^@^@^@^@^@^@^@^@^@^@^@^@^@^@^@^@

^@^@^@^@

swapfile+0x90: flags size vp

0 0 0


$q ---> 종료

반응형

'OS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라리스 테입드라이브 명령어  (0) 2005.11.15
[펌] 솔라리스 소개  (0) 2005.11.14
[펌] Boot PROM  (0) 2005.08.04
[펌] [ UNIX ] 각종 명령어  (0) 2005.08.04
[펌] 솔라리스 백업 정책  (0) 2005.07.14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5. 8. 4. 22:54
반응형
Stop : 부팅시 Stop키가 눌려져 있으면 POST 과정을 검사 안함.
Stop+d : default로 cpu,mem검사를 하지만 Stop+d는 집중적으로 전체 device 검사.
Stop+n : 모든 상태 초기화. boot prom의 변수를 잘못 설정하여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Stop+n키를 누른 상태에서 재부팅하면 모든 변수를 기본값으로 바꾸어           처음 시스템을 사용할때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Command
Description
banner
displays the power-on banner
boot
boots the system
help
lists te main help categories
printenv
displays all parameters' current and default values
setenv
sets the specified NVRAM parameter to some value
reset-all
resets the entire system; similar to a power cycle
set-defaults
resets all parameter values to the factory defaults
sifting text
displays the FORTH commands containing text
.registers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registers
probe-scsi
identifies the devices on the internal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SCSI)
probe-scsi-all
identifies the devices on all SCSI buses
probe-ide
identifies the devices on the internal intergrated device electronics (IDE) bus
probe-fcal-all
identifies devices on all Fibre Channel loops
show-devs
displays the entire device tree
devalias
identifies the current boot device alias for the system
nvalias
creates a new device alias name
nvunalias
removes a device alias name
showdisks
displays and allows a selection of device paths for the disks to be used for nvalias
sync
manually attempts to flush memory and synchronize file systems
커널자료덤프-> /var/crash/host명/덤프파일
test
runs self-tests on specified devices
 
- 장비의 기본 옵션 보기
ok> banner
 
- Boot PROM의 버전과 출시일 보기
ok> .version
 
- Devices 연결 상태 보기
ok> probe-scsi
ok> probe-scsi-all
ok> probe-ide
ok> probe-fcal
 
- Alias 내용 보기
ok> devalias (physical name이 특정 이름으로 alias 되어 있는 리스트)
 
- 환경 설정 내용보기
ok> printenv (부트파라미터의 기본값 display)
 
- 환경 설정
ok> setenv <parameter_name> <value>
    (prom 변수값의 변경, 부팅디스크의 변경, 자동 부팅 여부 등)
ok> reset (setenv에 의해 변경된 값 저장 후 재부팅)
 
- Default값으로 변경하기
ok> set-default (지정한 파라미터값을 처음 정의되었던 기본값으로 변경)
ok> set-default parameter-name
ok> set-defaults (모든 환경값을 기본값으로 변경)
 
- Boot
ok> boot -s
ok> boot -v (부팅시 더 자세한 device 정보를 보여줌)
ok> boot -a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는 interactive mode로 부팅)
     Enter filename : kernel/unix (32bit only) - 일시적(재부팅하면 예전값 복원)
                     kernel/sparcv9/unix (32,64bit) -일시적
     Name of system file : /etc/system or /dev/null
ok> boot -r (새로 추가된 device들의 device 파일을 새로 만듬)
 
- 도움말 보기
ok> help boot
ok> help nvramrc
ok> help diag
ok> help misc
 
- 자동 부팅 설정/해제
ok> printenv auto-boot?
auto-boot? = true
ok> setenv auto-boot? false
auto-boot? = false
ok> reset-all
Resetting ...
 
- 펌웨어 password 설정 / 해제
ok> setenv security-mode full  (설정)
ok> setenv security-password passwd명
ok> reset
ok> setenv security-mode none  (해제)
 
- 랜포트가 여러개 일때 1개의 mac address만 사용
ok> setenv local-mac-address? false
ok> setenv local-mac-address? true
ok> reset
 
- 명령어 리스트 보기
ok> sifting
ok> sifting probe
 
- 네트워크 검사
ok> watch-net  (네트워크카드의 정상 동작 상태 확인)
 
- physical path 보기
ok> show-disks
ok> show-nets
ok> show-devs
 
 
 
- mirror disk가 1개 따로 있어서 백업을 받아둔 상태에 원본 disk가 fail시 교체
ok> show-disks
  disk를 선택한다.
ok> nvalias mydisk [ctrl+y]@target_numner
ok> devalias
ok> setenv boot-device mydisk
ok> reset
 
ok> nvunalias mydisk  (alias 삭제)
ok> setenv boot-device disk
ok> reset-all
 
- eeprom 명령어
# eeprom
# eeprom boot-device
boot-device=disk
# eeprom boot-device=disk2
# eeprom auto-boot?=true (sh,ksh)
# eeprom 'auto-boot?=true' (csh)
 
- Slice(partition number)
  slice0 : /
  slice1 : swap
  slice2 : 전체 disk
  slice5 : /opt
  slice6 : /usr
  slice7 : /export/home
반응형

'OS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솔라리스 소개  (0) 2005.11.14
[펌] 솔라리스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패닉 현상  (0) 2005.08.31
[펌] [ UNIX ] 각종 명령어  (0) 2005.08.04
[펌] 솔라리스 백업 정책  (0) 2005.07.14
[펌] 백업과 복구  (0) 2005.07.12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5. 8. 4. 22:38
반응형
[ UNIX ]


  어렵든 비싸든 중요 서버가 유닉스로 돌아가고 있으니
  알아 두는 것이 좋겠다. 자료 구하기가 힘들어서 원...


1. 시스템 사양 보기
    $ /usr/platform/sun4u/sbin/prtdiag -v | more
    $ df -k

2. 하드디스크 용량 보기
    $ format
      0: 컨트롤러(t0)	하드디스크 1
      1: 운영체제(t2)	하드디스크 2

      :1 선택
      :p 엔터
      :p 엔터		4G(하드디스크용량), 4G(백업이미지) --> 실제 4G
      :q
      :q 끝내기

3. 네트워크 설정
    # 호스트네임
    $ vi /etc/hosts
       150.150.10.70	hongsu2
    $ vi /etc/nodename		->	hongsu2	
    $ vi /etc/hostname.hme0	->	hongsu2
    $ vi /etc/net/ticlts/hosts	->	hongsu2
    $ vi /etc/net/ticots/hosts	->	hongsu2
    $ vi /etc/net/ticltord/hosts	->	hongsu2

    # 라우터(게이트웨이)
    $ vi /etc/defaultrouter	->	150.150.10.9
    $ route add default 150.150.10.9 1
    $ route del ......

    # 도메인네임서버
    $ vi /etc/nsswitch.conf	->	hosts:	files	dns
    $ vi /etc/resolv.conf
       nameserver		10.1.1.5
       domain		citynet_dns
    $ vi /etc/netmask		->	150.150.0.0	255.255.0.0

    # 테스팅
    $ netstat -nr
    $ ping localhost		->	alive		# 내부 정상
   
4. 환경변수
    $ vi /.profile
    $ . ./profile

5. 계정 만들기
   5.1 파일을 수정하여 만들기
        $ vi /etc/group
           hongsu2::110:
        $ vi /etc/passwd   
           hongsu2:x:110:110::/usr/bin/ksh:
        $ vi /etc/shadow
           hongsu2::6445::::::::
   5.2 명령어로 만들기
        # 그룹 -g 2000은 존재하는 것으로 해야한다. /etc/password 참조
        $ useradd -u 2001 -g 2000 -m -d /home/admin -s /bin/ksh admin

6. 콘솔모드로 리부팅 하기
   $ halt

6.1 콘솔모드
   OK boot -sv			# 초기화
   OK probe-scsi-all
   OK boot cdrom		# 시디롬 부팅
   OK boot -rv			# 부팅
   
7. 재부팅
    $ reboot -- -r

7.1 안전 리부팅
    $ sync; sync; sync; init 0

8. 깔린 패키지 보기
    $ /opt/pkginfo | grep java
   
9. 프롬프트 바꾸기(경로 보이기)
    #csh쉘일 경우
    $ vi ~/.cshrc
       set prompt="`hostname`:`pwd`] "
       alias setprompt 'set prompt="`hostname`:`pwd`] "'
    #ksh쉘일 경우
    $vi ~/.profile
    PS1='HONGSU2:${PWD}> '; export PS1
       
10. 하드디스크 파티션 정보 보기
    $ format
    >disk
    >p(partition)
    >p(print)
    >exit(quit ?)
    설명: backup을 제외한 번호에 값이 있으면 해당 partition이 있는 것임.
          마운트 하려면 mount /dev/rdsk/c0t3??s0  /mnt/any  
          s0는 부트 파티션
          s6, s7는 유저 파티션       

11. 시디롬 마운트
    $ mount -f hsfs -o ro /dev/sr0 /mnt/cdrom		# 시디롬 강제 마운트
    $ volcheck									# 플로피 마운트 보기
    $ df -k									# 자동 마운트 된 것 보기
    $ mkdir -p /cdrom/unnamed_cdrom
    $ mount -F hsfs -o ro /dev/dsk/c0t6d0s2 /cdrom/unnamed_cdrom
    $ eject 									# 꺼내기

11.1 자동 마운트 파일
    $ vi /etc/mnttab    
    
12. 콘솔과 단말기
     명령어가 먹는 것은 같으나, 단말기의 명령어 실행 진행 상황이 콘솔에 나타난다.
     단말기에서 ifconfig가 먹는다.
     
13. 지나간 명령어 보기
     - ESC 두번 누르고 k 로 보기
     - 몇글자 치고 ESC
     
14. 새 하드디스크 올리기
     $ format			# 새 디스크를 찾는다.
     $ newfs			# 올리고
     $ fsck			# 적용한다.
------------------------------------------------------------------

*. 시스템정지와 재부팅

halt -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kill 하고 OS를 정지시키면 disk를 Synd하고 boot PROM monitor 프롬프트에서 정지한다. 

fasthalt - halt 명령어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나 이과정은 fasthalt 명령어를 수행할때 
           / disk 에 fastboot file을 생성하여 시스템이 Rebooting될때 
           /etc/rc, /etc/rc,boot 라일의 수행시 disk check(fsck)를 하지않고 booting이 된다. 

reboot - halt 명령어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나 시스템이 boot PROM monitor 프롬프트 상태에서 
         정지해 있지 않고 다시 Rebooting이 된다. 

fastboot - reboot 명령어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나 시스템이 Rebooting 될때 disk check(fsck)를 하지 않고 booting이 된다. 

shutdown - System을 사용하고있는 User들에게 주어진 시간안에 Shutdown된다는 Message를 보내고 Shutdown한다. 


*. sync의 필요성

sync는 super block 및 block에 operation을 행하여 그 내용이 변한 것 중에 
disk에 저장되지 못한 block들을 write 시키도록 하는 명령이다. 
sync를 하지 않고 전원을 끈 경우, boot 시에 file system check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Booting and Halting

- Booting 

일반적인 부팅
OK boot 

시디롬 부팅
OK boot cdrom 
예제)
# repeat 10 sync; init 0
OK boot cdrom
 



새로운 SCSI Adepter 부팅 
OK boot -r

- Halting  

# repeat 10 sync
# init 0
반응형

'OS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솔라리스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패닉 현상  (0) 2005.08.31
[펌] Boot PROM  (0) 2005.08.04
[펌] 솔라리스 백업 정책  (0) 2005.07.14
[펌] 백업과 복구  (0) 2005.07.12
[펌] Solaris Memory 관리  (0) 2005.07.12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5. 7. 14. 00:49
반응형

Cloning Disk


  1. 문서 정보
    작성자: 보리수 작성일: 2003.5.1 수정일: 2003.5.1 저작권: 이 문서는 GPL(Gnu Public License)을 따릅니다. 
  2. 소개

    디스크의 복제

    솔라리스를 설치하고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관련 설정을 모두 마치고 나면 당연히 관리와 백업의 문제가 남아있다. 테이프나 네트웍 백업의 단점은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때에 즉각 조치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디스크의 결함이나 당장 원인을 알수없는 문제로 서버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면 빠른 복구가 필요하고, 추후에 원인을 분석 처리하는 것이 순서이다.
    따라서 중소규모 서버의 경우, OS 디스크를 복제해두고 빠른 대응을 요구하는 경우 복제한 디스크를 이용하여 복구를 처리하면 좋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OS 디스크를 그대로 복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복제할 여유 디스크를 해당 시스템에 장착한다. 내장형이던 외장형이던 상관없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모두 설치 CD-ROM으로 싱글유저 모드로 부팅하여 작업하거나 부득이 할 경우 부트 디스크의 single user mode에서 작업해야 한다. 정상 운영중인 OS를 복제하는 방법은 snapshot이 있다.

    dd명령을 이용한 디스크 복제
    이 경우 디스크 이미지를 그대로 복제하기 때문에 OS의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으며 간단히 복제가 가능하다. 디스크와 시스템의 지원 속도에 따라 블럭사이즈를 정해 주면 좀 더 나은 속도로 복제가 가능하지만 대체로 시간이 길게 소요된다. 주의할 것은 같은 제품의 똑같은 사이즈의 디스크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tar또는 ufsdump를 이용한 복제
    이 경우는 파일시스템으로 처리하므로 훨씬 빠르게 복제할 수 있으나 VTOC(Disk Lable) 의 처리 및 부트블럭 복구(bootblk)를 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여러 경험자들에 의해 정리된 스크립트들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면 된다. 우선 순서대로 처리해 보고 본질을 파악한 다음 스크립트를 이용해보자. 솔라리스 OS의 복제는 ufsdump가 가장 안전하고 문제가 없다. tar의 경우에는 gnu tar를 쓰는 것이 훨씬 빠르고 강력하다. 그러나 많은 엔지니어들은 tar보다는 ufsdump를 권장한다.

    Mirroring
    썬에서 기본제공하는 Solstice DiskSuite (SDS)를 이용하여 OS 디스크를 미러링할 수 있다. 이것은 디스크복제와는 엄밀히 다르나 OS 디스크가 문제가 있다면 미러링에 의해 복구처리를 자동으로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Veritas의 Volume Replicator를 이용하면 OS디스크 이상의 미러링이 가능하며 동일하지 않는 디스크(heterogeneous)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napshot
    솔라리스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운영중인 OS의 모든 파일시스템을 일기가능한 스냅샷 이미지를 만들고 이를 가상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백업하는 방법이다. 시스템을 중지해서는 안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Solaris8 부터 지원되며 CD-ROM 이나 Single User 모드에서 작업할 수 없는 시스템에서 유용하다.

  3. dd 명령을 이용한 디스크 복제

    1. 복제용 디스크를 새로 장착한다.
    2. CD-Rom 또는 OS디스크를 이용하여 Single User mode로 부팅한 다음 root로 로그인한다.
      CD-Rom의 경우 install CD 또는 software 1/2 CD를 이용하고 PROM에서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OK boot cdrom -s

      OS 디스크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 init S

    3. dd명령을 수행한다.
      OS 디스크는 /dev/rdsk/c0t3d0s2, 복제 디스크는 /dev/rdsk/c1t0d0s2라 가정한다. 여기에서 s2는 디스크 전체를 의미한다.

      # dd if=/dev/rdsk/c0t3d0s2 of=/dev/rdsk/c1t0d0s2 bs=521k

      if: 입력 디바이스 (OS 원본 디스크의 장치명)
      of: 출력 디바이스 (복제 디스크의 장치명)
      bs: 블럭 사이즈 ( 128k, 512k등 : 블럭단위가 클수록 복제 속도가 빠르나 이는 디스크의 IO에 달렸다. 참고로 512K로 수행시 SCSI 9G 10k rpm의 경우 약 1시간 20여분 소요)

    4. 복제 디스크의 파일 시스템을 검사한다.
      s#은 복제 디스크 각각의 ufs 파일시스템을 말한다.

      # fsck /dev/rdsk/c1t0d0s#

    5. 복제 디스크의 root(/)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한다.
      # mount /dev/dsk/c1t0d0s0 /a

    6. vfstab파일의 장치명을 적당한 이름으로 수정한다.
      # TERM=sun
      # export TERM
      # vi /a/etc/vfstab ( => c0t3d0s0 를 c1t0d0s0 로 모두 변경)

      참고) 보통은 복제 디스크가 장애처리시 OS디스크와 대체될 것이므로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복제디스크를 시스템에 장착해 두었다가 문제가 발생하면 이 디스크로 바로 부팅하려면 수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PROM에서 nvalias로 복제디시크의 별명을 설정해두면 PROM에서 부팅시 편리하다.

    7. 복제 디스크의 root(/) 파일 시스템을 언마운트한다.
      # cd /
      # umount /a

    8. 복제 디스크로 부팅한다.
      # init 0
      OK boot disk2 ( => 복제디스크가 disk2로 가정, PROM명령 devalias로 확인한다.)

      참고1) 위에서 언급했듯이 시스템에 장착해 두려는 경우 PROM명령 nvalias로 설정해 두면 편리하다.

    - 복제 디스크를 똑같은 타 시스템에 적용하려면
    복제 디스크를 똑같은 타 시스템에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다.
    1) DISK를 시스템에 장착한다.
    2) 파워를 켜고 바로 stop + a 키를 동시에 누른다.
    3) PROM 모드에서 디스크 연결을 확인한다.
    OK probe-sci (IDE disk의 경우 probe-ide)
    4) 복제 디스크로 부팅한다.
    OK boot disk# -s (#은 복제 디스크의 번호, -s는 싱글유저 모드)
    5) 루트로 로긴한다.
    6) 복제 디스크의 시스템 기본 정보 설정을 다시한다.
    # sys-unconfig ( OS가 재부팅되고 관련 설정을 수행한다.)

    주의) 이 때도 마찬가지로 복제 디스크의 vfstab에 설정된 디바이스 명이 같은가를 판단하여 다르다면 CD-ROM single User로 부팅하여 복제 디스크의 /(root)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고 vfstab을 맞게 수정한다음 위의 방업을 수행한다.

  4. tar 또는 ufsdump를 이용한 복제

    ufsdump와 ufsrestore는 이를 위한 가장 안전하며 바람직한 방법이다. 여기에서는 tar의 설명은 생략한다.
    I used the following steps to backup one drive to a second identical one (going from memory) 1) use prtvtoc and fmthard to partition the second disk 2) newfs the slices on the second disk 3) mount up the root slice of the second disk under /mnt 4) cd /mnt;ufsdump of - / | ufsrestore rf - 5) sed < /mnt/etc/vfstab -e s/c0t3d0/c0t1d0/g > /tmp/vfstab.new 6) mv /tmp/vfstab.new /mnt/etc/vfstab 7) cd /;umount /mnt 8) continue to mount up each remaining slice and copy the data to it. 9) I would also fsck each slice on the new disk just to make sure everything is ok. 10) run installboot on the new disk to create the boot blocks Once you've done this you can do a "boot disk1" from the ok prompt. This method saved my "tech lead's" butt once. Boot off of the second internal (cold backup) disk and the server was back up again. Dupe the disk1 back to disk3 and reboot later in the evening. I am never going to let him live down that mistake! 


  5. Mirroring



  6. 참고 문헌

    1. How to Clone a Disk
      http://tiger.la.asu.edu/Solaris_Clone.htm
반응형

'OS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Boot PROM  (0) 2005.08.04
[펌] [ UNIX ] 각종 명령어  (0) 2005.08.04
[펌] 백업과 복구  (0) 2005.07.12
[펌] Solaris Memory 관리  (0) 2005.07.12
[펌] Fast Ethernet Duplex 설정  (0) 2005.07.12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5. 7. 12. 22:11
반응형

백업과 복구

- 백업 테이프 드라이브

/dev/rmt/<unit-number>[<density>][<no-rewind>]

<unit-number>

몇 번째 백업 테이프 드라이브인지 숫자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0일 경우에는 첫 번째 백업테이프 드라이브임.

<density>

l(low), m(medium), h(high), u(ultra), c(compressed) 중 하나를 사용한다.

생략시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밀도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기록한다.

<no-rewind>

백업이나 복구 명령어 수행 후 테이프가 되감기지 않고 현재 상태에서 가만히 둔다. 하나의 백업 테이프에 여러 내용을 백업하여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 ufsdump 명령어

ufsdump [[0123456789]unvloSf] dump_name (file or directory or partition)

ufs 파일 시스템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백업할 파일이나 디렉토리 외에 다른 이름을 입력하지 않으면 9uf /dev/rmt/0를 기본 사용.

옵션

의  미

0~9

/etc/dumpdates를 참조해서 완전백업 및 증분백업을 결정한다.

레벨은 항상 자신보다 이전의 레벨을 참조한다. 이전의 레벨이 자신보다 작으면 그 레벨 이후의 변경 내용을 백업하고, 자신과 레벨이 같거나 크면 자신보다 작은 레벨을 찾아서 그 레벨 이후의 변경 내용을 백업한다.

u

update) /etc/dumpdates 파일의 내용을 갱신한다. 백업하는 대상이 반드시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아닌 파티션을 입력해야 정보가 남는다. /etc/dumpdates 파일은 백업을 시작한 시간이 기록된다.

n

notify) sys그룹에 속한 사용자들 중에서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가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다.

l

autoloading) 하나의 백업 매체에 데이터를 모두 기록하지 못하면 자동으로 다른 백업 매체로 바꾸어서 기록한다.

o

offline) 백업이 끝나면 백업 매체를 자동으로 배출한다.

s

estimate) 주로 증분백업을 하기 전에 사용한다. 백업하는 데이터의 양을 출력하므로 그 양에 따라 필요한 백업 매체를 선택할 수 있다.

v

verify) 백업한 데이터와 하드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비교한다. 데이터가 정확하게 기록되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단 데이터를 백업하는 파티션이 반드시 마운트 되어 있어야 한다.

f

file) f 다음에는 백업 장치명을 적는다. 생략시 /dev/rmt/0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하드디스크를 언마운트한 후에 백업하는 것이 좋다. 언마운트하지 않고 백업을 하면 파일시스템에 있는 데이터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remote로 백업시 백업 장치가 연결된 시스템의 .rhosts에 백업을 실행할 host가 추가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etc/default/login 파일에서 console 이외의 터미널에서도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백업스케줄>

 

유동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매월 1일

0

 

 

 

 

 

첫째주

 

9

9

9

9

5

둘째주

 

9

9

9

9

5

세째주

 

9

9

9

9

5

네째주

 

9

9

9

9

5

 

 

 

 

 

 

 

매월 1일

a

 

 

 

 

 

첫째주

 

b

b,c

b,c,d

b,c,d,e

b,c,d,e,f

둘째주

 

g

g,h

g,h,i

g,h,i,j

b,c,d,e,f,g,h,i,j,k

세째주

 

l

l,m

l,m,n

l,m,n,o

b,c,d,e,f,g,h,i,j,k,l,m,n,o,p

네째주

 

q

q,r

q,r,s

q,r,s,t

b,c,d,e,f,g,h,i,j,k,l,m,n,o,p,q,r,s,t,u


 

유동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매월 1일

0

 

 

 

 

 

첫째주

 

9

9

9

9

3

둘째주

 

9

9

9

9

4

세째주

 

9

9

9

9

5

네째주

 

9

9

9

9

6

 

 

 

 

 

 

 

매월 1일

a

 

 

 

 

 

첫째주

 

b

b,c

b,c,d

b,c,d,e

b,c,d,e,f

둘째주

 

g

g,h

g,h,i

g,h,i,j

g,h,i,j,k

세째주

 

l

l,m

l,m,n

l,m,n,o

l,m,n,o,p

네째주

 

q

q,r

q,r,s

q,r,s,t

q,r,s,t,u


 

유동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매월 1일

0

 

 

 

 

 

첫째주

 

3

4

5

6

2

둘째주

 

3

4

5

6

2

세째주

 

3

4

5

6

2

네째주

 

3

4

5

6

2

 

 

 

 

 

 

 

매월 1일

a

 

 

 

 

 

첫째주

 

b

c

d

e

b,c,d,e,f

둘째주

 

g

h

i

j

b,c,d,e,f,g,h,i,j,k

세째주

 

l

m

n

o

b,c,d,e,f,g,h,i,j,k,l,m,n,o,p

네째주

 

q

r

s

t

b,c,d,e,f,g,h,i,j,k,l,m,n,o,p,q,r,s,t,u


- ufsrestore 명령어

ufsrestore (i|r|x|t)vf

ufsdump 명령어로 백업한 파일을 다시 원복하기 위해 사용한다.

옵션

의   미

i

interactive) 백업 데이터를 돌아다니면서, 백업 데이터 안에 있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목록도 직접 보고, 또한 복구할 파일을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ls, cd, add, delete, extract, quit, marked 명령어를 사용한다.

add : 복구할 파일 목록에 현재 디렉토리나 특정 파일을 추가한다.

delete : 복구할 파일 목록에서 현재 디렉토리나 특정 파일을 삭제한다.

extract : 선택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복구한다.

marked : 현재 디렉토리에서 선택된 파일의 목록을 출력한다.

r

restore) 백업 데이터를 원래대로 복원한다.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복구하므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후 데이터를 복원한다.

명령어 실행시 디렉토리에 restoresymtable 파일이 생성된다. 복구되는 모든 파일의 목록,백업 레벨, 날짜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증분 백업한 백업 데이터에서 파일을 복구할 경우 참조하고 갱신하는 파일이다.

x

extract) 원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만 복구할 때 사용한다. 반드시 복구할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아규먼트로 명시해야 한다.

t

list) 백업 데이터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목록을 i-node 번호와 함께 출력한다. x 옵션을 사용하기에 앞서 원하는 파일을 확인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v

verbose) 백업 데이터에 있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구할 때 목록을 함께 출력한다.

f

file) 백업한 데이터가 /dev/rmt/0 장치가 아닌 다른 곳에 있을 경우에 그 위치를 명시한다.


-원칙은 unmount 후에 백업을 하여야 하지면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 vi /etc/vfstab  (/p3에 파티션 할당.)

# mount /p3

# cd /p3

# cp -r /etc/init.d /p3 

# ufsdump 0uf dump00 /p3  (완전백업)

# cp -r /etc/default /p3

# ufsdump 1uf dump01 /p3  (이전 레벨0 이후의 증분백업)

# more /etc/dumpdates  (레벨별 백업 시작 시간 기록)

# cp -r /etc/mail /p3

# ufsdump 4uf dump04 /p3 (이전 레벨1 이후의 증분백업)

# cp -r /etc/nfs /p3

# ufsdump 2uf dump02 /p3 

(이전 레벨4가 아닌 레벨1 이후의 증분백업. 레벨4의 내용도 백업한다.)

# cp -r /etc/skel /p3

# ufsdump 2uf dump02 /p3

(이전 레벨2가 아닌 레벨1 이후의 증분백업. 레벨4뿐만 아니라 이전의 레벨2의 내용도 백업한다. 동일한 백업 레벨을 사용할 경우 /etc/dumpdates 파일에 있던 이전 내용이 삭제되고 새로운 내용이 추가된다.)

# cp -r /etc/dfs /p3

# ufsdump 8uf dump08 /p3  (이전 레벨2 이후의 증분백업)

# ufsdump 6Suf dump06 /p3 

(S 옵션을 사용하면 백업을 하지 않고 백업후 생성되는 파일의 크기만 출력한다.)

# ufsdump 1uf dump11 /p3  (맨 처음의 레벨0 이후의 모든 내용을 증분백업)

# ufsdump 5f dump05 /p3 

(이전 레벨1 이후의 증분백업. /etc/dumpdates 파일에 기록이 남지 않는다.)

# ufsdump u /p3 

(기본적으로 레벨9, /dev/rmt/0으로, 이전 레벨5가 아닌 레벨1 이후의 증분백업.

/etc/dumpdates 파일에 기록이 되어 있지 않아서 레벨1을 이전 레벨로 인식한다.)

hostA# rsh hostB cat /.rhosts  (hostB의 .rhosts에 등록이 되어 있다.)

  hostA root

hostA# ufsdump 0uf hostB:/dev/rmt/0 /p3  (remote 백업이 가능하다.)

# cd /p4

# ufsrestore tf /p3/dump00 (dump00을 복구하지 않고 내용만 확인한다.)

# ufsrestore rf /p3/dump00

(dump00을 복구한다. v 옵션이 없으므로 작업 진행 과정은 출력되지 않는다.)

# ufsrestore vrf /p3/dump04

(dump01 이후만 백업했으므로 dump01이 복구된 후에 복구가 가능하다.)

# ufsrestore vrf /p3/dump01  (dump00이 복구되어 있으므로 복구가 가능하다.)

# ufsrestore vrf /p3/dump04  (dump01이 복구되어 있으므로 복구가 가능하다.)

# ufsrestore ivf /p3/dump00

ufsrestore> cd mail  (백업 파일내의 mail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ufsrestore> add aliases sendmail.cf submit.cf  (복구 파일 목록에 추가한다.)

ufsrestore> marked  (복구 파일 목록에 있는 파일이나 디렉토리 목록만 출력한다.)

ufsrestore> delete submit.cf (복구 파일 목록에서 삭제한다.)

ufsrestore> extract (선택한 파일이나 디렉토리만 복구한다.)

Specify next volume#: 1

Set directory mode, owner, and times.

Set owner/mode for '.'? [yn] y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주를 백업 파일의 내용과 비교한다. y 로 대답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주가 백업 파일의 내용과 동일하게 변경된다.)

ufsrestore> q

# ufsrestore rvf hostB:/dev/rmt/0 (remote 복구)


- 스냅샷(snapshot)

ufsdump 명령어는 데이터를 백업하면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미리 필요한 정보를 완전하게 구축한 후에 데이터를 백업하므로 정보를 구축한 이후에 변경된 내용은 전혀 반영되지 못한다.

S 런 레벨에는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서비스와 파티션을 마운트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백업과 복구용으로 가장 좋다. 하지만 외부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한다. 이런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 snapshot 기능을 사용한다. snapshot 기능을 사용하면 snapshot을 만든 이후에 변경되거나 제거된 파일이 있어도 안전하게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파일시스템의 변화가 많으면 snapshot의 크기도 커진다.

snapshot은 /tmp나 NFS로 공유된 디렉토리에도 만들 수 있다. 여유공간이 넉넉한 파일시스템을 사용한다. 하지만 snapshot 저장 파일이 있는 파티션은 snapshot으로 지정할 수 없다.

fssnap 명령 수행시 /dev/fssnap(가상 block device), /dev/rfssnap(가상 raw device)가 생성된다. 이 가상 장치 파일은 어떤 백업 명령어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옵션

의   미

-i

information) 스냅샷 정보 보기.

-d

delete) 스냅샷 삭제.

-o

여러 조건을 명시할 수 있다.

 

bs=path

스냅샷을 저장할 경로명 지정. 백업 대상이 되는 파일에 만들 수 없다.

 

unlink

스냅샷을 위한 가상 장치 파일은 생성한 후에 스냅샷 파일을 지운다.

 

maxsize=n[kmg]

스냅샷의 최대 크기를 지정한다.

 

raw

스냅샷을 위한 raw 가상 장치 파일의 경로명을 출력한다.




# df -k

# mkdir /p5/snapshot (여유 공간이 많은 파일시스템 선택)

# ls -l /dev | grep fssnap  (아직 /dev 밑에 /fssnap과 /rfssnap이 존재하지 않는다.)

# fssnap -o maxsize=2g,bs=/p5/snapshot/root0 /

(/의 스냅샷을 /p5/snapshot/root0 파일에 생성하고, 최대크기는 2기가이다.)

# fssnap -i (현재 시스템에 정의된 모든 스냅샷의 정보 출력)

# fssnap -i /  (해당 스냅샷의 자세한 정보 출력)

# ls -l /dev | grep fssnap  (가상 장치 파일이 생성 여부 확인)

# ls -F /dev/fssnap /dev/rfssnap

# ls -l /p5/snapshot (/p5/snapshot/root0 스냅샷 파일이 생성된다. 파일의 크기는 존재하지만 실제 데이터 블록은 할당되지 않아서 디스크 공간은 거의 줄지 않는다.)

# mkdir /new

# cp -r /etc/init.d /new

# ls -l /p5/snapshot  (새로운 내용이 복사되면 스냅샷의 내용도 변한다.)

# ufsdump 0ufN /dev/rmt/0 /dev/rdsk/c0t0d0s5 /dev/rfssnap/0

(N 옵션과 함께 /etc/dumpdates 파일에 넣을 장치의 경로명을 명시하면 /etc/dumpdates파일에 올바른 내용이 기록된다.)

# fssnap -i /

# fssnap -d /

# rm /p5/snapshot/root0 (스냅샷을 제거해도 스냅샷을 저장한 파일은 남아 있으므로 직접 제거한다.)

# fssnap -o maxsize=2g,maxsize=/p5/snapshot/root0,unlink /

(unlink 옵션을 사용하면 스냅샷을 저장하는 파일을 별도로 생성하지 않는다.)

# fssnap -d /

# ufsdump 1ufN /dev/rmt/0 /dev/rdsk/c0t0d0s0 `fssnap -o maxsize=2g,bs=/p5/

snapshot/root0,unlink,raw /`

(라인 하나에 증분 백업을 위한 모든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 ufsdump 2ufN /dev/rmt/0 /dev/rdsk/c0t0d0s0 `fssnap -o maxsize=2g,bs=/p5/

snapshot/root0,unlink,raw /`

(스냅샷은 만들어질 당시의 내용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동일한 스냅샷에서 증분 백업을 시도하면 백업되는 내용이 없다.)

# fssnap -d /

# ufsdump 2ufN /dev/rmt/0 /dev/rdsk/c0t0d0s0 `fssnap -o maxsize=2g,bs=/p5/

snapshot/root0,unlink,raw /`

(스냅샷을 이용해서 증분 백업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전 증분 백업으로 사용한 스냅샷을 지우고 다시 생성해야 한다. 스냅샷이 수행된 지점까지의 완전 백업은 가능하다.)


- ufsdump 명령어를 이용한 하드디스크 교체

# init 0

ok> setenv auto-boot? false

ok> boot cdrom -s

# ufsdump 0f /dev/rmt/0 /dev/rdsk/c0t0d0s0

# init 5

하드디스크 교체

ok> boot cdrom -s

# format

# newfs /dev/rdsk/c0t0d0s0

# fsck -y /dev/rdsk/c0t0d0s0

# mount /dev/dsk/c0t0d0s0 /a

# cd /a

# ufsrestore rvf /dev/rmt/0

# rm restoresymtable

# installboot /usr/platform/`uname -m`/lib/fs/ufs/bootblk /dev/rdsk/c0t0d0s0

# cd /

# umount /a

# init 6


- ufsdump와 ufsrestore를 이용한 파일 복사

특수한 파일(파이프나 소켓)은 cp 명령어 등을 사용해서 복사할 수 없다. ufsdump 명령어와 ufsrestore를 사용하면 모든 파일을 복사할 수 있다.

# du -sk /etc

# cd /p5

# ufsdump 0f - /etc | ufsrestore vrf -

(‘-’ 는 메모리(SWAP)를 이용하란 뜻. 즉, 실제로 저장할 필요없으니 /etc를 메모리에 올렸다가 내리게 된다.)

# rm restoresymtable

# du -sk ./etc


- cpio 명령어

format: [ command | ] cpio options [ >> filename ]

옵션

의   미

o

arvhive create ( backup )

i

extract (restore)

p

directory 를 그대로 다른 file system 에 복사하고자 할경우

d

-i 나 -p 옵션 사용시 함께 사용하면 디렉토리 자동 생성

B

Block 단위로 작업 ( default = 512byte block )

c

information

H

head information ( -c 와 같이 사용함 )

v

verbose mode

t

file name 의 list 를 보여줌.

m

-i 나 -p 옵션 사용시 함께 사용하면 원래의 날짜를 그대로 유지한다.


# find . -print | cpio -ovcB > /dev/rmt/0lb   (현재 부터 모든것을 백업)

# cpio -ivcB test_file < /dev/rmt/0lb    (test_file만 restore)

# find . -mtime -7 -print | cpio -ovcB > /dev/rmt/0lb (7일이 경과한 파일 백업)

# find . -name 'file*' -print | cpio -ovcB > file.list

(현재부터 file*로 시작되는 모든 list backup)

# cpio -ivt < file.list  (file.list 의 모든 것을 restore)

# find /etc -print | cpio -dpmv /p3

(/p3/etc로 cp로 복사가 불가능한 파일까지 모든 파일이 복사된다.)


- mt 명령어

# mt -f /dev/rmt/0 status  (tape 상태 표시)

# mt -f /dev/rmt/0 eom  (맨 끝으로 이동, 끝부분 헤더로 이동)

# mt -f /dev/rmt/0 rewind  (처음으로 되감기)

# mt -f /dev/rmt/0n fsf count  (count만큼 뒤로 이동)

# mt -f /dev/rmt/0n nfsf count  (count+1만큼 뒤로 이동)

# mt -f /dev/rmt/0n bsf count (count만큼 앞으로 이동)

# mt -f /dev/rmt/0n nbsf count  (count+1만큼 앞으로 이동)

# mt -f /dev/rmt/0 erase  (모든 내용 삭제)

# mt -f /dev/rmt/0 offline  (eject)

 

* 출처 : http://blog.empas.com/syk1000/?c=245590

반응형

'OS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 UNIX ] 각종 명령어  (0) 2005.08.04
[펌] 솔라리스 백업 정책  (0) 2005.07.14
[펌] Solaris Memory 관리  (0) 2005.07.12
[펌] Fast Ethernet Duplex 설정  (0) 2005.07.12
[펌] /etc 파일 설명  (0) 2005.07.12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5. 7. 12. 21:43
반응형

    2. Memory

Doc Rev: 2.0   junsoft.com

2.1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Solaris는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시스템을 사용한다. 가상 메모리 시스템이란 물리적 메모리(physical memory)와 하드 디스크(swap device)를 결합하여 하나의 큰 메모리 처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즉, 물리적 메모리가 100M 이고 swap device가 100M이면 가상 메모리량은 약 180MB 정도 된다.

physical memory + swap device - VM management overhead = swap(VM)

		== simple ==

(physical memory + swap device) * about 90% ~= swap(VM)

	(100M + 100M) * 0.9 ~= 180M

Solaris는 이러한 가상 메모리를 관리하기 위하여 메모리를 페이지 단위(8KB)로 나누어 관리한다. 이러한 페이지들을 모아서 세그먼트로 구성하여 사용한다. 프로세스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그 프로세스가 필요한 메모리가 있다. 그러나 그 메모리가 물리적 메모리에 모두 적재되어야 실행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스가 실재 액세스하는 메모리만 물리적 메모리에 적재되어 있어도 프로세스는 실행된다.
그런데 여유 있는 물리적 메모리가 없어서 프로세스에게 필요한 메모리를 줄 수 없을 때 커널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물리적 메모리 중에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메모리를 선택하여, (필요하면, 선택된 메모리를 swap partition에 저장하고) 그 메모리를 그 프로세스에게 준다.

Solaris에서는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를 swap으로 명칭한다(swap partition과 구별해 주십시오). 이 swap(VM)은 운영체제가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vmstat 명령어의 4번째 필드 swap은 사용 가능한 가상 메모리의 크기를 KB 단위로 나타내고 5번째 필드 free는 사용 가능한 물리적 메모리(Physical Memory)를 KB 단위로 나타낸다.

가상 메모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이 swap -s 명령어로 알 수 있다.

# swap -s total: 664720k bytes allocated + 53320k reserved = 718040k used, 485160k available

swap 공간에서 718040KB가 사용되고, 485160KB?사용 가능하다. 사용된 718040KB 중에서 실재 할당 받아서 사용한 것은 664720KB이고 53320KB는 예약된 메모리 이다.
할당 받은 것과 예약한 것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만일 프로세스가 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하여 10MB의 메모리가 필요하여 10MB의 메모리를 요청했다면 10MB의 메모리가 그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도록 예약해 둔다. 그리고 그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실재 액세스할 때, 그 메모리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10MB 메모리를 요청하여 1MB의 메모리만 액세스하였다면, 1M은 allocated된 영역에 더 해지고, 9MB는 reserved 영역에 더 해진다.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필요한 메모리는 swap(VM)에서 가져온다. 물리적 메모리가 많든 적든 관계없이 swap 공간이 충분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데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만일 물리적 메모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면, 실행속도가 늦어질 뿐, 메모리 부족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중단되는 일은 없다.

swap partition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이 swap -l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 swap -l swapfile dev swaplo blocks free /dev/dsk/c0t0d0s1 151,1 16 1638992 933104

blocks은 전체 swap partition의 크기이며 512 바이트 단위의 블럭이고, free는 그 중에 사용 가능한 swap partition의 크기이며 512 바이트 단위의 블럭이다. 즉,

(blocks - free) / 2 = 현재 스왑 아웃된 양(KB)

위의 swap -l 명령어의 결과에서 보면, 352944KB의 메모리가 swapout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638992 - 933104) / 2 = 352944KB ~= 344.67MB

실제 swap이 좀 더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리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available
swap(VM) = DSP (disk swap partition) + PM (physical memory)
	       (        DA	   ) +    (    MC + MA    )

* Memory allocation:

reserved

allocated

1. request:

p = malloc( 100MB );

100M

0M

2. use:

for( i = 0; i < 10M; i++ ) *(p+i) = 1;

90M

10M

첫번째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요청하면, 요청한 메모리 만큼 예약하여 둔다. 그리고 그 메모리를 실재로 액세스할 때 그 메모리가 물리적 메모리에 할당된다.


vmstat 명령어의 결과물에 있는 다음과 같은 필드와 함께 Solaris 메모리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 vmstat 1 procs memory page disk faults cpu r b w swap free re mf pi po fr de sr aa dd s1 s4 in sy cs us sy id 0 0 0 952128 87416 0 24 35 0 0 0 0 0 2 0 1 264 1327 272 7 2 90 0 0 0 931344 48384 0 2 0 0 0 0 0 0 0 0 0 204 191 94 0 1 99 0 0 0 931344 48384 0 137 0 0 0 0 0 0 0 0 0 204 449 102 12 2 86

swap: 

amount of swap space currently available (Kbytes)

free: 

size of the free list (Kbytes)

re: 

page reclaims

mf: 

minor faults

pi: 

kilobytes paged in

po: 

kilobytes paged out

fr: 

kilobytes freed

de: 

anticipated short-term memory shortfall (Kbytes)

sr: 

pages scanned by clock algorithm

Solaris에서 여유 있는 물리적 메모리를 화일 시스템의 캐쉬로 사용한다. 디폴트로 프리 메모리(free physical memory)가 전체 물리적 메모리 양의 1/64(lotsfree)보?크면, 화일 시스템을 통한 디스크 I/O는 모두 메모리에 남겨두어 화일 시스템의 캐쉬로 사용한다. 프리 메모리가 물리적 메모리 양의 1/64보다 적으면, Solaris는 프리 메모리를 1/64로 채우기 위하여 시스템에 있는 페이지를 조사하여,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찾아서 프리시킨다.
이때 운영체제가 조사한 페이지의 갯수가 sr(scan rate)값이다. sr값이 높으면(30초 단위로 측정한 값이 초당 200-300 이상), 그 순간에 메모리가 부족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리시킨 페이지 수는 KB 단위로 환산되어 fr(free)에 보여준다. 페이지를 프리시킬 페이지의 내용이 변경되었을 경우, 그 페이지를 disk에 저장한다. (변경된 페이지가 프로그램의 데이타일 경우, 스왑 파티션에 저장되고, 화일 시스템의 케쉬이면 해당 디스크 파티션에 저장된다.) 이때, 디스크에 저장된 페이지를 KB 환산하여 po(page out)에 보여준다.
Solaris에서 화일 시스템은 페이지 서브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 진다. 즉, 화일 시스템의 입출력은 모두 page I/O로 이루어 진다. 화일 시스템을 통하여 화일을 읽을 때, 읽은 양은 KB로 환산되어 pi(page in)에 보여준다.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에 운영체제는 프로세스에 대한 어드레스 맵핑 테이블을 만들고,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프로세스가 실행되다가 필요한 페이지가 자신의 어드레스 맵핑 테이블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는데, 그 페이지가 메모리에 있으면(minor page fault라고 함), 그 페이지를 자신의 어드레스 맵핑 테이블에 등록한다. vmstat의 mf(minor fault)는 minor page fault 횟수를 나타낸다.

프리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paging이 발생하여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찾아서 프리시켜 부족한 메모리를 보충하게 되는데, 이렇게 프리되는 페이지의 내용은 훼손되지 않고 프리 메모리 영역에서 관리된다. 이렇게 프리된 페이지가 프로세스의 요청에 따라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다시 사용된 페이지 수를 re(reclaim)에 보여준다.

페이지의 크기는 pagesize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sun4u 시스템은 8KB이고 sun4m은 4KB이다)

# pagesize 8192

특별히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없는데도, 보통 Solaris 시스템의 free memory의 크기가 아주 작게 보인다. 이것은 정상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일 시스템의 캐쉬로 많은 부분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테스트해 볼 수 있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시스템을 부팅한 직후에는 free memory가 많이 남아 있다. 이 상태에서 화일 시스템 I/O를 많이 발생시키는 tar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실행시키면서 vmstat 명령어로 free memory가 어떻게 줄어 드는지 살펴 보십시오.

# tar cvf /dev/null / ... skip ...

tar 명령어가 루트 디렉토리에서 부터 모든 화일을 읽어 들여서 /dev/null로 저장한다. /dev/null은 특수화일이고, 이 곳에 쓰기를 하면 그 내용은 없어진다.

(Solaris 8부터는 메모리 관리 기법이 조금 다르다. 여기서 기술하는 내용은 Solairs 7 이하에 대하여 언급한다) 다음은 vmstat 명령어의 결과물에서 메모리 관련 값에 대하여 설명한다.

2.2   메모리 튜닝 파라메터

메모리 튜닝 파라메터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이 값을 잘 못 수정하면, 시스템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메모리 관리 기법에 대하여 충분한 지식이 없는 경우, 아래에 열거하는 파라메터를 수정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 하다.
여기서는 메모리 관리 방법을 이해하기 위하여 설명한다.

cachefree:

cachefree는 priority_paging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되며, 디폴트로 lotsfree의 2 배로 설정되어 있다.

커널은 자유메모리(free memory)가 cachefree 보다 적을 경우, cachefree 만큼 유지하기 위하여 시스템에서 최근에 사용되지 않았던, 메모리를 찾아서 프리시키고, 그 메모리를 자유 메모리에 포함시킨다. 이때, 프리시킬 페이지를 찾기 위해서 커널은 물리적 메모리를 다음과 같은 4가지의 분류로 관리한다.

1. 프로세스의 코드 (process's code)
2. 프로세스의 데이타 (process's data)
3. 화일 시스템의 캐쉬 (file system cache)
4. 자유 메모리 (free memory)

여기서 자유 메모리가 cachefree 보다 작고, lotsfree 보다 크면, 프리시킬 메모리를 화일 시스템의 캐쉬 중에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찾는다.

cachefree 보다 적은 부족분을 채우기 위해서 초당 일정량의 페이지를 조사한다. (slowscan, fastscan 참조)

lotsfree + pages_before_pager:

pages_before_pager는 디폴트로 200 설정되어 있다.

만일 자유 메모리가 lotsfree + pages_before_pager 보다 적을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 write 수행한 페이지를 프리시킨다.
- UFS와 NFS 화일 시스템에서 sequential read한 페이지를 프리시킨다.
- NFS에서 read-ahead 기능을 중단한다.
- NFS write를 synchronous write 한다.

lotsfree:

lotsfree는 디폴트로 물리적 메모리의 1/64로 설정되어 있다.

만일 자유 메모리가 lotsfree보다 적을 경우에는 메모리의 분류와 상관없이 최근에 사용되지 않았던 메모리를 찾아서 프리시킨다.
이 경우에 프리시킬 메모리가 프로그램의 데이타이고 그 내용이 변경되어 있다면, 그 내용은 swap partition에 저장된다.

desfree:

desfree는 디폴트로 lotsfree의 1/2로 설정되어 있다.

자유 메모리의 크기가 최근 30초 동안 평균이 desfree보다 적으면,
NFS version3 write operation이 중지되고, kernel async I/O도 중지되고, idle process(maxslp(20) 이상 sleep한 프로세스)는 swap out된다(Soft swaping).

이때 Swap out된 프로세스의 정보가 vmstat의 w 컬럼에 보여진다. w의 값은 쓰레드(thread)의 갯수이다. 멀티 쓰레드 프로세스가 아닌 경우에는 하나의 프로세스는 하나의 쓰레드를 가진다. 한번 swap out된 프로세스는 그 프로세스가 다시 실행될 때 메모리로 들어온다. 예를 들어, 프린터 데몬 lpsched가 swap out되었다면, 프린터를 사용하는 작업을 하지 않은 한 메모리로 들어오지 않는다.

minfree:

minfree는 디폴트로 desfree의 1/2로 설정되어 있다.

만일 run queue에 2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고, 자유 메모리의 크기가 최근 30초 동안 평균이 desfree보다 작고, 최근 5초 동안 평균이 minfree보다 작고, 페이지 I/O가 과도하게(pagein+pageout > maxpgio) 발생하면,
현재 엑티브하지 않은 커넬 모듈과 화일 시스템의 캐쉬를 프리시키고, 그래도 부족한 메모리를 확보하지 못 하면 프로세스를 추가적으로 swap out한다(Hard swaping).

throttlefree:

throttlefree는 디폴트로 minfree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치명적인 메모리 요구를 제외한 메모리 요청은 중단된다(blocked).

pageout_reserve:

throttlefree는 디폴트로 throttlefree의 1/2로 설정되어 있다.

모든 메모리 요청이 중단된다(blocked). (pageout and sched thread 제외)

slowscan:
fastscan:

slowscan은 디폴트로 100이다
fastscan은 디폴트로 8192이다

물리적 메모리가 lotsfree 이하로 떨어지면, 부족한 메모리를 보충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페이지를 조사한다. 조사할 페이지 수는 부족한 메모리의 양에 따라 slowscan과 fastscan사이의 페이지 수에서 결정된다. 이렇게 결정된 페이지는 1/4씩 page scanner에 의해 1초에 4 차례씩 페이지 수를 조사한다. page scanner가 페이지를 조사할 때, 최대로 사용할 수 있는 CPU 사용율은 CPU 한 개의 95% 이다. 부족한 페이지가 보충된 경우에 scan을 중단한다.

maxpgio:

초당 page out할 수 있는 최대 페이지 수

handspreadpages:

handspreadpages는 디폴트로 fastscan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클럭 알고리즘에서 front hand와 rear hand사이에 있는 페이지 수

Solaris에서 부족한 메모리을 보충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페이지 중에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찾아서 프리시킨다.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찾는 방법으로 Solaris에서 클럭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시스템에 있는 모든 메모리를 연결하여 원을 만들고 시계처럼 두개의 바늘을 둔다. 그 중에 앞 바늘과 뒷 바늘과의 간격이 handspreadpages 이다. 시스템에 물리적 메모리가 부족하면 page scanner 기동한다. 이때 두시계 바늘을 동시에 움직이면서 front hand는 해당 페이지의 access bit를 클리어하고 rear hand는 그 해당 페이지에 access bit가 설정되어 있는지 조사하여 access bit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그 페이지를 프리시킨다. access bit는 해당 페이지를 access하면 H/W MMU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다.

priority_paging:

priority paging을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etc/system 화일에 넣고 시스템을 리붙하면 된다.

set priority_paging = 1

priority paging을 사용하면, scan rate가 좀 더 높아진다. 그러나 페이지를 프리할 때, 화일 시스템의 케쉬를 먼저 프리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데이타나 코드가 보호되어 시스템 성능이 향상된다.

Solaris 8에서는 새로운 캐쉬 메카니즘을 사용한다. 또한 priority paging을 지정하면 안 된다. Solaris 8에서는 케쉬로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 메모리를 free memory에 포함시킨다.

2.3   시스템 메모리 사용량 확인

시스템이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명령어로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들이 있다.

# swap -s total: 482240k bytes allocated + 47560k reserved = 529800k used, 674056k available # vmstat 1 2 procs memory page disk faults cpu r b w swap free re mf pi po fr de sr aa dd f0 s1 in sy cs us sy id 0 0 6 1464 4184 0 4 2 0 3 0 1 0 0 0 0 211 715 191 5 1 94 0 0 18 673968 16072 0 2 0 0 0 0 0 0 0 0 0 204 514 199 0 0 100 # sar -r 1 1 SunOS king 5.6 Generic_105181-25 sun4u 12/22/01 09:56:19 freemem freeswap 09:56:20 1922 1308132

사용 가능한 가상 메모리는 각각의 명령어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swap -s     vmstat    sar -r
	------------------------------------------------
	 674056KB   673968KB  1308132 Block(=654066 KB)

사용 가능한 물리적 메모리는 vmstat의 free(단위 KB)와 sar -r의 freemem(단위 Page)에서 확인할 수 있다.

free = freemem * pagesize in Kilobye (UltraSparc의 pagesize는 8KB이다) free = freemem * 8

Parm에 포함된 perfmon과 ParmView의 SWAP(단위 MB)과 FREE(단위 MB)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4   프로세스 메모리 사용량 확인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양은 다음과 같은 시스템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 /usr/bin/ps -eafl
 F S      UID   PID  PPID  C PRI NI     ADDR     SZ    WCHAN    STIME TTY      TIME CMD
 8 S    guest 19345 19325  0  51 20 623ab780   1176 616138ae   Dec 14 ?        5:11 dtwm
 8 S    guest 10699 19347  0  61 20 62ee1678    218 62ee16e8 14:29:07 pts/11   0:00 /bin/ksh
 ... skip ...

# /usr/ucb/ps -aux
USER       PID %CPU %MEM   SZ  RSS TT       S    START  TIME COMMAND
guest    19345  0.5  1.6 9408 7968 ?        S   Dec 14  5:10 dtwm
guest    10699  0.0  0.3 1744 1368 pts/11   R 14:29:07  0:00 /bin/ksh
 ... skip ...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 양는 /usr/bin/ps의 SZ(단위 Page)와 /usr/ucb/ps의 SZ(단위 KB)이다. 그리고 /usr/ucb/ps의 RSS는 프로세스의 메모리(SZ) 중에서 물리적 메모리에 로드된 메모리 양이다. 또한 Parm에 포함된 psinfo 명령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psinfo 명령어에는 HP+STK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것은 프로세스의 heap과 stack를 더한 양이다. heap과 stack은 프로세스가 실행되면서 다이나믹하게 할당 받는 공간이며, 다른 프로세스들과 공유되지 않는 공간이다.
프로세스가 실행되면서 다이나믹하게 메모리를 할당 받으면, 그것은 heap 영역에 잡힌다. 메모리 관리를 잘 못 하는 프로세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heap 영역의 크기가 얼마인지를 먼저 확인하여야 한다. 그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역할에 비하여 너무 많은 heap 영역을 사용하면 메모리 관리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Parm의 psinfo 명령어에서 -h 옵션을 사용하면, HP+STK가 큰 순서로 정렬하여 보여준다. 또한 psinfo 명령어의 header에는 전체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HP+STK를 합계한 정보도 보여준다.

# /opt/JSparm/bin/psinfo -h
Date.time 1207.17:34:23 proc 518 zomb 339 run 0 lwp 422 cpu 10.06% load1m 0.11 ptime 128742.41 hp+stk 250.1M
  PID  PPID USERNAME   SIZE    RSS HP+STK S NLWP   WCPU%   CPU%  MEM%  ELAPSED        TIME CMDLINE
11455 10585 guest    70.35M 60.51M 48.71M S    1   2.34%  2.34% 12.2%  1d10496    16:06.70 netscape
29795     1 guest    92.63M 76.16M 34.40M S   17   4.06%  4.06% 15.4%  3d25550 02:46:58.48 senddata -p 1200
29135 29110 guest    34.92M 16.95M 27.82M S    1   0.27%  0.27%  3.4%  3d30359    02:14.12 recvdata -p 1201
  323   322 nobody   46.03M 7.164M 27.07M S   71   0.00%  0.00%  1.4%  24d3926       34.04 checkdata
29320 29319 guest    38.35M 24.10M 26.02M S   12   0.00%  0.00%  4.9%  3d29489    03:28.75 /usr/dt/bin/dtmail
17664   395 root     56.68M 41.97M 16.44M S    1   2.06%  2.06%  8.5%  8d84118    23:52.56 savelog -f sv.conf
 ... skip ...  

SIZE와 RSS와 HP+STK 크기 관계는 다음과 같다.

SIZE >= RSS
SIZE > HP+STK

RSS와 HP+STK와의 크기에 대한 상관관계는 없다. 

프로세스의 메모리 상태를 좀 더 자세히 보고 싶으면, pmap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 /usr/proc/bin/pmap -x 10699
10699:  /bin/ksh
Address   Kbytes Resident Shared Private Permissions       Mapped File
00010000     184     184     184       - read/exec         ksh
0004C000       8       8       -       8 read/write/exec   ksh
0004E000      56      56       -      56 read/write/exec    [ heap ]
EF580000     592     584     584       - read/exec         libc.so.1
EF622000      32      32       -      32 read/write/exec   libc.so.1
EF62A000       8       8       -       8 read/write/exec    [ anon ]
EF650000      64      64      64       - read/exec         ko.so.1
EF66E000       8       8       -       8 read/write/exec   ko.so.1
EF680000     456     424     368      56 read/exec         libnsl.so.1
EF700000      40      40       8      32 read/write/exec   libnsl.so.1
EF70A000      16       8       -       8 read/write/exec    [ anon ]
EF720000       8       8       8       - read/exec         methods_ko.so.1
EF730000       8       8       -       8 read/write/exec   methods_ko.so.1
EF740000      16      16      16       - read/exec         libc_psr.so.1
EF750000      16      16      16       - read/exec         libmp.so.2
EF762000       8       8       -       8 read/write/exec   libmp.so.2
EF780000       8       8       -       8 read/write/exec    [ anon ]
EF790000      32      32      32       - read/exec         libsocket.so.1
EF7A6000       8       8       -       8 read/write/exec   libsocket.so.1
EF7A8000       8       -       -       - read/write/exec    [ anon ]
EF7B0000       8       8       8       - read/exec         libdl.so.1
EF7C0000     128     128     128       - read/exec         ld.so.1
EF7EE000      16      16       -      16 read/write/exec   ld.so.1
EFFFC000      16      16       -      16 read/write         [ stack ]
--------  ------  ------  ------  ------
total Kb    1744    1688    1416     272 

2.5   Q & A

  2.5.1   특별히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없는데 메모리 양이 매우 적게 보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Solaris 운영체제는 물리적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화일 시스템의 캐쉬로 사용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화일을 읽고 쓸 경우, 커널 메모리를 거쳐서 I/O가 발생한다. 이때 화일을 읽거나 쓴 후에, 커널 메모리에 남아 있는 화일의 내용을 바로 지우는 것이 아니고, 캐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메모리에 남겨둔다. I/O가 많이 발생하면 화일 시스템의 캐쉬가 시스템의 메모리를 다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것을 관리하기 위하여 커널은 물리적 메모리 양이 lotsfree(전체 물리적 메모리 양의 1/64(1.5%)) 이하로 줄어들 경우에 시스템에 있는 메모리를 조사하여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찾아, 프리시켜서 lotsfree 양 만큼의 메모리를 유지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물리적 메모리의 양은 적게 보인다. 이것으로 시스템의 메모리가 부족하다고 판단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메모리가 부족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scan rate의 값으로 판단한다. 30초 간격으로 조사하여 약 200 - 300 이상이면 그 순간에 메모리 로드가 있다고 판단한다.

priority_paging을 사용하면 메모리 양이 cachefree(전체 물리적 메모리 양의 1/32(3%)) 보다 적게되면, 시스템이 있는 메모리를 조사하여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찾아, 프리시켜서 cachefree 양 만큼의 메모리를 유지한다. 메모리가 lotsfree 양보다 클 경우에는 화일 시스템의 캐쉬로 사용되는 메모리만 프리시킨다. priority_paging가 사용되면, scan rate 값이 좀 더 크게 측정될 수 있다.

(Solaris 8에서는 화일 시스템의 캐쉬로 사용되는 메모리을 물리적 메모리 사용량으로 포함시키지 않는다.)

  2.5.2   어떤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비정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지 알 수 있읍니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코드나 초기 데이타의 크기는 고정된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프로세스로서 동작하게 되면 다이나믹하게 메모리를 할당 받을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으로 메모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는 다이나믹하게 메모리를 할당 받고, 그것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서 발생한다. 이렇게 할당 받은 데이타는 프로세스의 힙(heap) 영역에 포함된다. 따라서 힙(heap)이 큰 프로세스가 있다면, 그 프로세스가 그 만큼의 힙(heap)을 사용할 프로세스인지 아니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만일 비정상적으로 힙(heap)을 사용한다고 판단이 되면, 그 프로그램의 개발자에서 알려서 프로그램을 수정하여야 할 것이다.
프로세스가 얼마나 많은 힙(heap)을 사용하는가를 확인하려면, Parm에 포함된 psinfo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psinfo에 -h 옵션을 사용하면 힙(heap)을 많이 사용하는 순서로 화면에 보여준다.

# /opt/JSparm/bin/psinfo -h
Date.time 0123.12:27:07 proc 518 zomb 339 run 0 lwp 422 cpu 15.26% load1m 0.20 ptime 128706.45 hp+stk 249.9M
  PID  PPID USERNAME   SIZE    RSS HP+STK S NLWP   WCPU%   CPU%  MEM%  ELAPSED        TIME CMDLINE
19440 19438 guest    131.0M 84.38M 107.4M R    1   4.90%  4.90% 17.0%  8d73139 03:00:59.86 netscape
13217 13216 nobody   44.42M 10.82M 26.12M S   59   0.00%  0.00%  2.2%   1d7702       16.18 ns-httpd -d config
  200     1 root     6.070M 1.555M 2.875M S   10   0.00%  0.00%  0.3% 58d11424       16.60 /usr/sbin/syslogd
  283     1 oracle   63.89M 41.88M 2.547M S    1   0.00%  0.00%  8.5% 58d11409       09.85 ora_pmon_SOL
19345 19325 guest    9.258M 6.805M 2.141M S    7   0.68%  0.68%  1.4%  8d73245    05:59.89 dtwm
19904 19903 guest    7.172M 4.438M 1.594M S    1   0.00%  0.00%  0.9%  8d66806       09.37 dtpad -server
19339     1 guest    4.383M 3.250M 1.266M S    4   0.00%  0.00%  0.7%  8d73246       26.76 senddata -p 1200
  285     1 oracle   63.02M 44.93M 1.258M S   22   0.00%  0.00%  9.1% 58d11409       02.33 ora_dbw0_SOL
  287     1 oracle   62.78M 45.05M 1.203M S   14   0.00%  0.00%  9.1% 58d11409       02.66 ora_lgwr_SOL
  289     1 oracle   62.72M 44.91M 1.172M S   11   0.00%  0.00%  9.1% 58d11409       02.42 ora_ckpt_SOL
  ... skip ...  

HP+STK는 프로세스의 힙(heap)과 스택(stack)을 합계한 크기이다. 만일 프로세스의 메모리 크기 순서(SIZE)로 정열할 경우에 oracle과 같이 큰 공유메모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있다면, 그 프로세스들이 상위를 차지할 것이다. 전체 크기(SIZE)로 보아서는 그 프로세스가 얼마나 많이 다이나믹한 메모리를 할당 받았는지 알 수 없다.
프로세스 메모리 맵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usr/proc/bin/pmap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2.5.3   vmstat의 w값이 30으로 계속해서 보입니다.

vmstat의 w가 의미하는 것은 swap out된 쓰레드(thread) 갯수를 나타내며, 멀티 쓰레드 프로세스가 아닌 경우에는 하나의 프로세스는 하나의 쓰레드를 가진다.
한번 swap out된 프로세스는 그 프로세스가 다시 실행될 때 메모리로 들어온다. 예를 들어, 프린터 데몬 lpsched가 swap out되었다면, 프린터를 사용하는 작업을 하지 않은 한 메모리로 들어오지 않는다.
vmstat의 w값에 0이 아닌 값이 나타날 무렵에 시스템의 메모리 로드가 극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메모리 로드를 극심하게 야기시킬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경우가 있을 수 있다.

1. 프로세스를 동시에 많이 실행하여 메모리 요청이 집중되었을 경우
2. 화일 시스템 backup과 같이 광범위하게 많은 양의 화일을 동시에 액세스할 경우
3. 프로세스가 큰 메모리를 요구하여 짧은 시간에 초기화 할 경우

  2.5.4   df -k 에서 swap의 크기가 변합니다

# df -k /tmp Filesystem kbytes used avail capacity Mounted on swap 845712 196248 649464 24% /tmp # ... skip .... # df -k /tmp Filesystem kbytes used avail capacity Mounted on swap 706336 196248 510088 28% /tmp

실제로 df -k 명령어에서 보여주려고 하는 값은 swap의 값이 아니라 /tmp의 값을 보여주려고 한다. / 화일 시스템의 저장공간은 하드 디스크의 특정 파티션(예, /dev/dsk/c0t0d0s0)이고 이 크기는 화일 시스템을 다시 만들기 전까지는 불변이다. 그러나 /tmp 화일 시스템의 저장공간은 하드 디스크의 특정 파티션이 아니고 가상 메모리를 저장공간으로 사용한다. / 화일 시스템은 ufs 라는 화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반면에, /tmp 화일 시스템은 tmpfs 라는 특수한 화일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것은 화일 시스템의 저장공간으로 가상 메모리(VM: swap)를 사용한다. 그래서 프로세스들이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면 가상 메모리 공간이 줄어든다. 그 결과 /tmp 디렉토리에 화일들이 더 이상 만들어 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swap 공간이 줄어서 /tmp 디렉토리가 100%로 될 수 있다.

  2.5.5   vmstat 명령어의 결과에서 프리 메모리량에 대하여 그래프를 만들 수 있읍니까?

Parm에는 vmstat, iostat, mpstat, netstat, sar의 결과물에서 주요 필드에 대하여 그래프를 만들 수 있는 명령어들(gvmstat, giostat, gmpstat, gnetstat, gsar)이 있다. 뿐만 아니라, 행과 열로 된 데이타에 대하여 그래프를 만들 수 있는 명령어(mkgraph)가 있다.
vmstat 명령어의 결과를 수집한 화일이 vmstat.log가 있고(09시 정각에 30초 간격으로 수집했다고 가정), 이 화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free 메모리 그래프를 만들 수 있다.

# gvmstat -t 09:00:00 -i 30 -G free -o output vmstat.log

위의 명령어는 output.gif 화일을 만든다. 다음은 output.gif의 내용이다.

  2.5.6   swap -s 에서 실제로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를 모니터하여 그래프를 그려볼 수 있읍니까?

# swap -s total: 664720k bytes allocated + 53320k reserved = 718040k used, 485160k available

swap -s 명령어를 실행하여 allocated 된 부분과 reserved 된 부분과 이 두개를 합계한 used 된 부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그래프를 만들 수 있다.

# dolog -o swap-s -t -T 30,480 swap -s # ls -l swap-s.021105.091020.30 # mkgraph -G 2::allocated,6::reserved,9::used -A -i 30 -t 091020 -o swap swap-s.021105.091020.30 # ls -l swap-s.021105.091020.30 swap.gif

dolog 명령어는 Parm V6.1에 포함된 명령어이다. 이것은 지정한 명령어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실행하여 그 결과을 화일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결과에 대하여 mkgraph 명령어로 그래프를 그린다.
다음은 swap.gif 화일의 내용이다.

반응형

'OS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솔라리스 백업 정책  (0) 2005.07.14
[펌] 백업과 복구  (0) 2005.07.12
[펌] Fast Ethernet Duplex 설정  (0) 2005.07.12
[펌] /etc 파일 설명  (0) 2005.07.12
[펌] [Solaris] 솔라리스 환경설정  (0) 2005.07.12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5. 7. 12. 20:58
반응형
Fast Ethernet Duplex 설정

 

 

1. Duplex란?

 

Duplex는 시스템 상호간 통신시 송신과 수신이 어떤 형식으로 이루어 지는 지에 대한 mode를 말한다. Simplex는 단방향 통신을 말하고 즉, 일방적으로 송신자는 송신만을 하고 수신자는 수신만을 하는 통신 형태를 말한다. Duplex는 쌍방이 서로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형태를 말하며 세부적으로 Half Duplex와 Full Duplex로 구분한다.

 

Half Duplex는 우리나라 말로 반 이중방식이라고 하며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안에는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무전기와 같은 통신방식이 예가 될 수 있다.

 

Full Duplex는 우리나라 말로 전 이중방식이라 하며 통신하는 쌍방은 데이터 송신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은 대부분 Full duplex  형식이다.

 

고전적인 Ethernet 네트워크 구성은 동축 케이블이나 HUB를 통해 구성되며, 프로토콜 특성상 공유 매체를 통해서는 송신이나 수신 트래픽에 관계없이 하나의 트래픽만이 매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결국 통신 형태는 Half Duplex 형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Switch의 출현으로 인해 Full Duplex로 Ethernet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고 Full Duplex로 연결 구성된 모든 컴퓨터들은 송신과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송/수채널의 분리로 100Mbps Ethernet의 경우 총 Throughput은 200Mbps를 갖게된다.

 

2. Duplex 설정 문제로 인한 장애현상들

 

Duplex 설정은 서버와 같은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Switch 포트 간, Switch 포트와 Router 인터페이스간 서로 일치하여야 한다. 100/10 Ethernet 카드와 Switch의 경우  상호 auto-negotiation을 수행하여 speed와 duplex mode를 자동적으로 설정하게 되지만 장비간 auto-negotiation protocol의 차이로 인해 제대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100Mbps 속도를 지원하고 Full Duplex를 지원하는 장비들 간에는 Auto-negotiation기능을 disable하고 100Mbps-Full Duplex로 fix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pplication

Duplex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현상은 Application 사용시에 응답속도가 느리다는 것과 응답속도가
전반적으로 느린 것이 아니라 순간적인 delay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상 자체로 보면 system 자체의 성능문제나 Application의 문제로 생각하기 쉽다. 만약 서버시스템이 100Mbps로 Switch와 연결되어 있다면 이 Duplex 설정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Switch/Server NIC Statistics

Duplex 설정문제가 있는 경우, 서버와 연결된 Switch의 Port Statistics를 확인할 때 일반적으로 다음의 error들이 발생하게 된다.

- Collision

Collision 현상은 Full Duplex 환경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매우 Busy한 서버인 경우는 예외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Collision 현상은 매우 적게 나타난다. 그러나 Duplex 설정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는 매우 많은 collision들이 발생하게 된다.

- Runt, CRC

서버와 스위치간 또는 스위치와 라우터간 Duplex 설정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 한편에서는 2차선을이용하여 송신과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려하고 다른 한편은 단지 1차선으로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다보니 충돌이 빈번히 발생하고 그에 따라 Runt 패킷과 그에 따른 CRC 패킷들이 다수 발생하게 된다. Duplex 설정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collision은 CRC를 유발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collision 현상과 구별된다. 다수의 CRC는 Application 계층에서 재 전송을 일으키게 되고 재 전송 메카니즘은 사용자의 응답속도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3.  OS별 Duplex 설정

OS별로 NIC의 duplex를 설정하는 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대표적인 OS별로 Duplex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3.1. Solaris


Full Duplex Configuration

Solaris는 NIC를 Full Duplex로 설정하는 데 3가지 방법이 있다.
 

Driver dependent config

설치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driver의 구성을 직접 config한다. 그 구성 파일은 "/kernel/drv/hme.conf" 이다. 이 구성은 Solaris에 hme NIC이 장착된 경우이다.

/kernel/drv/hme.conf

adv_autoneg_cap = 0
adv_100fdx_cap = 1
adv_100hdx_cap = 0
adv_10fdx_cap = 0
adv_10hdx_cap = 0


/etc/system config

/etc/system 파일을 수정하여 Full Duplex를 지정한다.

/etc/system

set hme:hme_adv_autoneg_cap=0
set hme:hme_adv_100hdx_cap=0
set hme:hme_adv_100fdx_cap=1


ndd utility를 이용한 config

ndd utility를 이용하여 Full Duplex를 지정하는 경우는 시스템 reboot 시 다시 설정을 하여야 한다.

#ndd -set /dev/hem adv_autoneg_cap 0
#ndd -set /dev/hem adv_100hdx_cap 0
#ndd -set /dev/hem adv_100fdx_cap 1

 

NIC Duplex mode와 Speed를 확인하는 방법
ndd utility 이용

#ndd  /dev/hem link_speed <return>
1  ;      100Mbps
#ndd  /dev/hem link_mode <return>
1  ;      Full Duplex Mode

Full Duplex mode를 enable한 후에는 성능향상을 위해 TCP의 송신과 수신 buffer size를 증가시키는 것이 좋다. TCP 송/수신 buffer를 증가시키기위해서 다음의 command를 이용하며 시스템 reboot시에도 적용되디위해서는 rc script에 해당 command line를 입력하도록 한다.

#ndd  -set  tcp_recv_hiwat 65536
#ndd  -set  tcp_xmit_hiwat  65536


3.2. HP-UX 11.0


Full Duplex Configuration

설치된 네트워크 카드에 따라 /etc/rc.config.d 디렉토리 안에 있는 다음의 파일들을 수정하여야 한다.

/etc/rc.config.d/

hpsppci100conf  ; LAN, 10/100 Base-TX LAN Adapter(PCI Slot)
hppci100conf     ; LAN, 10/100 Base-TX LAN Adapter(PCI Slot)
hpgsc100conf    ; LAN, 10/100 Base-TX LAN Adapter(GSC Slot)
hpgelanconf      ; LAN, 10/100 Base-TX LAN Adapter(PCI Slot)


위 나열된 구성파일 중에서 설치된 NIC에 해당하는 파일을 편집한다. 파일 안에서 설치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름을 찾은 다음
"_SPEED[0]" 행을 수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HP_PCI100_SPEED[0]=100FD

와 같이 수정한다. 수정한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하기위하여 "/sbin/init.d/net start"를 실행한다.
 

NIC Duplex mode와 Speed를 확인하는 방법

HP-UX 11.0에서 NIC의 Speed와 Duplex mode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lanadmin"이라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확인한다. 수행한 화면에서 "lan" 그리고 "dis" 메뉴를 선택하면 "Description" 행에 현재 Duplex mode가 어떻게 설정되어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고 "Speed" 행은 현재 적용된 Speed를 Mbps단위로 보여준다.

 

3.3. Linux
 

Full Duplex Configuration

Linux의 경우 다양한 LAN Card를 지원하는 관계로 실제 설치된 LAN Card driver에 따라 Options를 다르게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설치한 Driver의 설정 방법을 반드시 확인한 뒤 설명에 따라 duplex를 지정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modprobe 명령을 이용하여 Duplex 설정 및 Speed를 설정하거나 /etc/modules.conf 파일에 필요한 설정을 지정하여 매 reboot시 마다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는 가장 일반적인 LAN card인 Intel 계열 LAN card의 duplex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insmod or modprobe 명령사용
인텔 e100 driver를 이용하는 LAN card의 경우

#insmod e100.o e100_speed_duplex=4,4 (for two adapters)


/etc/modules.conf 설정

/etc/modules.conf

alias  eth0  e100
alias  eth1   pcnet32
options e100 e100_speed_duplex=4
options pcnet32 options=14

e100 driver Options
e100_speed_duplex
Valid Range: 0-4 (1=10half;2=10full;3=100half;4=100full)
Default Value: 0

pcnet32 driver Options
options pcnet32 options=0          #(Autonegotiation)
options pcnet32 options=9
          #(MII, 10Mbps, Half duplex)
options pcnet32 options=10
          #(MII, 10Mbps, Full duplex)
options pcnet32 options=13
          #(MII, 100Mbps, Half duplex)
options pcnet32 options=14          #(MII, 100Mbps, Full duplex) 

NIC Duplex mode와 Speed를 확인하는 방법

Linux의 경우는 NIC 의 현재 speed 설정과 Duplex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OS 차원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Linux 시스템과 연결된 Switch의 port 상태를 확인하여 알 수 있다.

 

* 원본자료 : http://www.enclue.com/operation/guide/duplex.html

 

-----------------------------------------------------

qfe interface는 디폴트로 네트웍에 연결된 상대방의 interface와 negotiation하여
10/100 half/full duplex에 맞게 연결이 된다. 그러나 이 negotiation 기능이 없는
장비나 다른 이유로 하여 negotiation을 하지 못 하여 interface가 UP 되지 못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negotiation 기능을 사용하지 말고, 연결될 장비의 setting에
맞추어 수동으로 10/100 half/full duplex 설정하여야 한다.

qfe interface의 parameter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는 2 가지가 있다.

        a) ndd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
        b) /etc/system 화일을 수정하는 방법

1. ndd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

    1.1. qfe interface의 속도를 10MB full duplex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 ndd -set /dev/qfe adv_100T4_cap 0
         # ndd -set /dev/qfe adv_100fdx_cap 0
         # ndd -set /dev/qfe adv_100hdx_cap 0
         # ndd -set /dev/qfe adv_10fdx_cap 1
         # ndd -set /dev/qfe adv_10hdx_cap 0
         # ndd -set /dev/qfe adv_autoneg_cap 0

    1.2. qfe interface의 속도를 10MB half duplex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 ndd -set /dev/qfe adv_100T4_cap 0
        # ndd -set /dev/qfe adv_100fdx_cap 0
        # ndd -set /dev/qfe adv_100hdx_cap 0
        # ndd -set /dev/qfe adv_10fdx_cap 0
        # ndd -set /dev/qfe adv_10hdx_cap 1
        # ndd -set /dev/qfe adv_autoneg_cap 0

    1.3. qfe interface의 속도를 100MB full duplex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 ndd -set /dev/qfe adv_100T4_cap 0
        # ndd -set /dev/qfe adv_100fdx_cap 1
        # ndd -set /dev/qfe adv_100hdx_cap 0
        # ndd -set /dev/qfe adv_10fdx_cap 0
        # ndd -set /dev/qfe adv_autoneg_cap 0

    1.4. qfe interface의 속도를 100MB half duplex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 ndd -set /dev/qfe adv_100T4_cap 0
        # ndd -set /dev/qfe adv_100fdx_cap 0
        # ndd -set /dev/qfe adv_100hdx_cap 1
        # ndd -set /dev/qfe adv_10fdx_cap 0
        # ndd -set /dev/qfe adv_autoneg_cap 0

2. /etc/system 화일을 변경

    /etc/system 화일에 변경한 내용은 바로 적용되지 않고, 시스템을 리부팅한
    후에 적용된다.

    2.1 qfe interface의 속도를 10MB full duplex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set qfe:qfe_adv_autoneg_cap=0
        set qfe:qfe_adv_100T4_cap=0
        set qfe:qfe_adv_100fdx_cap=0
        set qfe:qfe_adv_100hdx_cap=0
        set qfe:qfe_adv_10fdx_cap=1
        set qfe:qfe_adv_10hdx_cap=0

   2.2 qfe interface의 속도를 10MB half duplex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set qfe:qfe_adv_autoneg_cap=0
        set qfe:qfe_adv_100T4_cap=0
        set qfe:qfe_adv_100fdx_cap=0
        set qfe:qfe_adv_100hdx_cap=0
        set qfe:qfe_adv_10fdx_cap=0
        set qfe:qfe_adv_10hdx_cap=1

    2.3 qfe interface의 속도를 100MB full duplex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set qfe:qfe_adv_autoneg_cap=0
        set qfe:qfe_adv_100T4_cap=0
        set qfe:qfe_adv_100fdx_cap=1
        set qfe:qfe_adv_100hdx_cap=0
        set qfe:qfe_adv_10fdx_cap=0
        set qfe:qfe_adv_10hdx_cap=0

   2.4 qfe interface의 속도를 100MB half duplex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set qfe:qfe_adv_autoneg_cap=0
        set qfe:qfe_adv_100T4_cap=0
        set qfe:qfe_adv_100fdx_cap=0
        set qfe:qfe_adv_100hdx_cap=1
        set qfe:qfe_adv_10fdx_cap=0
        set qfe:qfe_adv_10hdx_cap=0

3. 위와 같이 하면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qfe interface의 속도를 10MB 또는
   100MB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각 interface별로 각각 다른 속도를 지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interface를 먼저 지정한후 1 또는 2번 과정을 실행
   한다.

   3.1 ndd 명령어를 사용하는 경우

        ndd -set /dev/qfe instance "instance-number"

   3.2 /etc/system 화일을 수정하는 경우

        set qfe:qfe_instance="instance-number"

   위의 설명에서 "instance-number"는 qfe0 interface는 "0", qfe1 interface는
   "1", qfe2 interface는 "2"... 와  같이 정의 된다.

반응형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5. 7. 12. 20:53
반응형
CORBA/==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 Architecture)에 파일을 저장한다
DIR_COLORS==컬러-ls 명령어 표시색의 설정파일
HOSTNAME==FQDN(Fulley Quallified Domain Name)형식으로 호스트명으로 쓰여있는 파일
Muttrc==메일소프트웨어 Mutt의 설정파일
TextConfig==콘솔 화면의 해상도,커서모양,폰트정보
X11==X Window System 설정파일군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adjtime==시각을 설정하는 hwclock의 파라미터 파일
aliases==메일의 앨라이어스 설정파일
aliases.db==메일의 앨라이어스 데이터베이스 파일
amd.conf,amd.net==amd 데몬의 설정 파일
anacrontab==24시간 가동하지 않는 시스템을 위한 cron
at.deny==at 명령어 이용을 금지하는 유저를 기술하는 파일
auto.master==automount 데몬의 설정 파일
auto.misc==automount데몬이 이용하는 맵 파일
bashrc==bash 기동시에 실행되는 설정 파일(~/.bashrc)의 템플릿
cdrecord.conf==cdrecord 명령어의 설정 파일
charsets/==Mutt 캐릭터세터 정의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codepages/==삼바에서 이용하는 codepage 정보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conf.linuxconf==linuxconf의 모듈을 기술한 파일
conf.modules==modeprobe가 이용하는 로더블 모듈 설정 파일(테보리눅스는 modules.conf)
cron.d/==crontable 명령어의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cron.daily/==하루에 1회 자동 실행시키고 싶은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cron.hourly/==1시간에 1회 자동 실행시키고 싶은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cron.monthly/==1개월에 1회 자동 실행시키고 싶은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cron.weekly/==1주일에 1회 자동 실행시키고 싶은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대렉토리
crontab==crontab명령어의 설정 파일
csh.cshrc==C 쉘 기동시에 실행되는 설정 파일(~/.cshrc)의 디렉토리
csh.login==C 쉘이 로그인시에 시랳하는 설정파일(~/.login)의 디렉토리
default/==신규유저용 디폴트 설정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dhcpc/==DHCP 클라이언트 데몬 dhcpcd가 네트웍 정보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dumpdates==dump명령어로 디스크의 백업을 한 일시와 시각등이 기록된다
enscript.cfg==텍스트 파일을 PostScript로 변환하는 enscript 의 설정 파일
esd.conf==Enlightened Sound Daemon 설정 파일
exports==nfs(Network File System)서버의 설정파일
fb.modes==프레임버퍼 디바이스의 데이타베이스파일(레드햇 리눅스만)
fdprm==플로피 디스크의 패러미터 파일
filesystems==이용할수 있는 파일 시스템의 리스트가 기술된 파일
fnrc==폰터렌더링 라이브러리 fnlib의 설정 파일
fstab==파일 시스템과 마운트 포인터를 기술하는 파일
ftpaccess==ftp서버의 설정 파일
ftpconversions==ftp서버에서 압축/아카이브 전송시의 명령어와 확장자의 설정파일
ftpgroups==ftp서버의 설정 파일
ftphosts==ftp서버에 액세스를 허가/금지하는 호스트를 설정하는 파일
ftpusers==ftp 액세스를 금지하는 유저를 설정하는 파일
gated.conf.sample==동적경로 설정 데몬 gated의 설정 파일 견본
gettydefs==getty가 이용되는 시리얼의 설정 일람
gnome/==GTK+의 국제화 대응 캐릭터 세트 정의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gpm-root.conf==컷&페이스트와 마우스서버(gpm)의 디폴터핸들러의설정파일
group==유저그룹을 정의한 파일
group-==그룹파일의 백업
gshadow==암호화된 그룹 패스워드를 기술한 파일
gshadow-==gshadow의 백업
gtk/==The Gimp Toolkit(GTK+)의 국제화 대응 캐릭터세트 정의 파일을 저장하는 데렉토리
host.conf==name resolve 에 사용되는 방법.우선순위의 설정파일(libc5)
hosts==로컬에서 이름을 해결하기 위한 호스트명,IP 어드레스 정의 파일
hosts.allow==inetd 경유에서 기동된 서버의 액세스 제어 파일,접속 허용 호스트를 기록
hosts.deny==inetd 경유에서 기동ㄷ횐 서버의 액세스 제어파일,접속 불허 호스트를 기록
httpd/==웹서버 Apache의 설정파일 등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identd.conf==개인 인증에 사용되는 identd의 설정 파일
im_palette-small.pal,im_palette-tiny.pal,im_palette.pal,imrc==
화상이미지 묘사 라이브러리 imlib의 파레트 설정 파일
inetd.conf==인터넷 수퍼서버 inetd 설정 파일
info-dir==info명령어가 디폴트로 표시하는 파일
initlog.conf==init가 출력하는 로그인에 관한 설정 파일
inittab==기동시의 런 레벨과 init설정을 기술하는 파일
inputrc==bash등이 이용한느 행입력 컬러 라이브러리의 Readline의 설정 파일
ioctl.save==싱글유저 모드에서 이용하는 콘솔 디바이스 설정(init가 작성한다)
irda/==적외선 통신을 하기위한 irda-utils 패키지의 초기화 스크립트 저장 디렉토리
isapnp.gone==ISA plug&play로 인식할수 없는 리소스를 기술하는 파일
isdn/==ISDN카드 지원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issue==로컬에서 로그인 시 표시하는 메시지
issue.net==리모트에서 로그인 할때 표시하는 메시지
krb5.conf==케로베로스의 설정 파일
ld.so.cache==공유라이브러리를 검색할 떄 이용하는 캐시파일
ld.so.conf==공유라이브러리를 저장하는 디렉토리를 기술하는 파일
ldap.conf==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모듈 nss_ldap 설정 파일
lilo.conf==lilo 설정 파일
linux-terminfo/==사용되고 있는 콘솔에 대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
lmhosts==Samba가 NetBios명 해결에 이용하는 호스트명,IP 어드레스 정의 파일
localtime== 머신의 타임존이 쓰여져 있는 바이너리 파일
login.defs==로그인의 설정
logrotate.conf==로그 관리 유틸리티 logrotate의 설정 파일
logrotate.d/==RPM파일에서 인스톨한 데몬을 위한 logrotate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ltrace.conf==라이브러리 트레이서의 설정 파일
lvs.cf==레드햇 클러스트링 서비스의 데몬 콘솔 설정 파일
lynx.cfg==텍스트 베이스 웹 브라우저lynx의 설정 파일
mail/==Send mail이 이용한 데이타베이스 파일 등을 저장한다
mail.rc==메일 명령어의 설정 파일
mailcap==metamail 설정 파일
mailcap.vga==metamail 설정 파일(멀티미디어 메일 처리)
man.config==man 명령어의 설정 파일
mc.global==파일 매니저 GNU Midnight Commander의 설정 파일
mesa.conf==OpenGL호환 3D 라이브러리 mesa의 설정 파일
mgetty+sendfax/==mgetty+sendfax 패키지의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midi/==MIDI플레이어의 playmidi 등이 이용한느 음색파일 저장 디렉토리
mime-magic==파일 내용에서 마임 형식을 판단하기 위한 정의 파일
mime-magic.dat==mime-magic에서 만들어진 데이타베이스 파일
mime.types==웹서버 아파치(Apache)가 이용하는 MIME 정의 파일
minicom.users==시리얼통신 프로그램 minicom의 유저 설정 파일
motd==로그인할 때 표시되는 메시지를 기술하는 파일
mtab==마운트 되어있는 파일 시스템의 일람이 쓰여져 있는 파일
mtftpd.conf==리모트 부트 데몬 pxe에서 이용하는 MTFTP서버의 설정 파일
mtools.conf==도스의 패키지를 읽고 쓰는 툴 패키지의 mtools의 설정 파일
named.boot==DNS서버 BIND4의 설정 파일
named.conf==DNS server BIND8의설정 파일
news/==net news server inn의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nmh/==MH를 베이스로 한 메일 툴 패키지 mtools의 설정 파일
nscd.conf==네임서비스 참조개시 데몬 nscd의 설정 파일
nsswitch.conf==시스템데이타베이스와 네임서비스 스위치 설정 파일
ntp/==Network Time Protocol서버 xntp3 패키지가 데이타를 저장
ntp.conf==Network Time Protocol서버 xntpd의 설정 파일
newserv.conf==mars(Netware 에뮬레이터) 설정 파일
newserv.stations==mars용 네트웨어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openldap/==OpenLDAP(Light 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설정 파일 등을 저장
pam.d/==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의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paper.config==용지 크기의 정의 파일
passwd==모든 유저의 유저명,유저id,그룹id등이 기술되어 있는 파일
passwd-==passwd의 백업
pbm2ppa.conf==portable bitmap 이미지 파일을 HP프린터로 사용하는 PPA 파일로 변환하는 툴의 설정 파일
pcmcia/==pcmcia의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phhttpd.conf==http 엑셀레이터 phhttpd의 설정파일
pine.conf==메일/뉴스 리더 pine의 설정 파일
pine.conf.fixed==메일/뉴스리더 pine의 설정 파일
pnm2ppa.conf==portable anymap 이미지 파일을 HP프린터로 사용하는 PPA 파일로 변환하는 툴의 설정 파일
ppp/==ppp데몬의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printcap==프린터의 설정 파일
profile==bash가 로그인 할떄 실행되는 설정 파일
profile.d/==로그인시 프로파일에서 불려나와 실행된 스크립트의 저장 디렉토리
protocols==프로토콜 설정 파일 (변경 불가)
pwdb.conf==pwdb의 설정 파일
pxe.conf==리모트 부트 데몬 pxe의 설정 파일
rc.d/==기동시에 데몬 등을 기동하는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redhat-release등==디스트리뷰션의 릴리스명.issue로 전송된다.
resolv.conf==이름 해결 수단의 우선순위 등 리졸버의 설정 파일
rmt@==/sbin/rmt로의 링크,백업때 사용된다
rpc==RPC(Remote Procedure Call)서버 명과 번호의 대응이 기술된 파일
rpm/==RPM명령어 패키지에 이용하는 디렉토리
rpm2html.config==RPM 레포지터리에서 HTML 데이타베이스를 작성하는 rpm2html 설정파일
rpbfind.conf==인터넷상의 RPM 파일을 검색하는 rpm2html 설정파일
rpmlint/==RPM파일의 에러를 체크하는 rpmlint의 설정파일을 저장한다
screenrc==화면관리 프로그램,스크린의 설정파일 템플릿
security/==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에서 이용하는 모듈을 저장
sendmail.cf==sendmail의 동작 설정 파일
sendmail.cw==sendmail에서 호스트 명을 이용하는 경우 별명을 정의 하는 파일
sendmail.mc==sendmail.cf를 만들기 위한 매크로 정의 파일,매크로 프로세서 m4로 이용
services==네트웍 서비스명으로 사용하는 포트,프로토콜의 대응을 정의 하는 파일
shadow==각 유저의 새도우 패스워드에 관한 저옵를 기술하는 파일
shadow-==shadow의 백업 파일
shells==로그인 쉘로서 설정 가능한 쉘을 기술하는 파일
skel/==도트파일의 템플릿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slip/==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로그인을 위한 설정 파일 저장
smb.conf==삼바의 설정 파일
smbpasswd==삼바의 패스워드 파일
smbusers==리눅스 유저명과 삼바 유저명을 대응 시키는 설정 파일
smrsh/==sendmail용 제한 쉘로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snmp/==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에이전트의 설정 파일
sound/==GNOME의 이벤트에 나누어 붙인 사운드 파일의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squid/==웹캐시프록시 Squid의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sysconfig/==기동시에 참조된 디바이스 등의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sysctl.conf==기동시에 네트웍을 설정하는 파일
syslog.conf==syslog데몬의 설정 파일
termcap==이전에 사용되어진 단말 정의 데이타베이스 화일
up2date.conf==up2date설정 파일
uucp/==UUCP(Unix To Unix Copy)의 설정파일을 저장한다
vfontcap@==Vflib에서 사용하는 트루타입 폰트의 설정 파일
vga==SVGALIB가 이용하는 트루타입 폰트의 설정 타입
wegtrc==HTTP/FTP대응 파일 다운로드 툴 wfget의 설정 파일
yp.conf==NIS의 설정 파일
ypserv.conf==NIS 서버의 옵션을 기술하는 파일
ytalkrc==ytalk 설정 파일
zlogin,zlogout,zprofile,zshenv,zshrc==zsh의 설정 파일
반응형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5. 7. 12. 20:47
반응형

(1) 자신의 개인적인 환경 설정


(1-1) login shell을 변경
# passwd -e
old shell : /sbin/sh
new shell : /bin/ksh <---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관리자는 ksh을 사용한다.

 

(1-2) $HOME/.profile 생성 및 편집
기본적으로 root(관리자)에게는 .profile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원형파일을 복사하여 사용한다.
# cp /etc/skel/local.profile $HOME/.profile
# vi $HOME/.profile

# @(#)local.profile 1.8 99/03/26 SMI
stty istrip
ENV=/.kshrc
EDITOR=vi
PATH=/usr/local/bin:/usr/sadm/admin/bin:/usr/dt/bin:/usr/openwin/bin:/usr/ccs/bin:/usr/sbin:/sbin:/bin:/usr/bin:/usr/ucb:/etc:.

MANPATH=/usr/share/man:/usr/dt/man:/usr/local/man/usr/openwin/share/man:/usr/man
export PATH ENV EDITOR DISPLAY MANPATH
#
# If possible, start the windows system
#
if [ "`tty`" = "/dev/console" ] ; then
if [ "$TERM" = "sun" -o "$TERM" = "sun-color" -o "$TERM" = "AT386" ]
then
if [ ${OPENWINHOME:-""} = "" ] ; then
OPENWINHOME=/usr/openwin
export OPENWINHOME
fi
echo ""
echo "Starting OpenWindows in 5 seconds (type Control-C to interrupt)"
sleep 5
echo ""
$OPENWINHOME/bin/openwin
clear # get rid of annoying cursor rectangle
exit # logout after leaving windows system
fi

# . $HOME/.profile

 

(1-3) $HOME/.kshrc 생성 및 편집

 

# vi $HOME/.kshrc
PS1=[$LOGNAME@`hostname`:'$PWD]# ' <--- 쉘 변수 설정
export PS1 <--- 변수를 export한다.

set -o vi <--- korn shell을 설정한다.

alias ls='\ls -F' <--- alias을 설정한다.
alias ll='\ls -alF | more'
alias mv='\mv -i'
alias cp='\cp -i'
alias rm='\rm -i'

# ksh
# . $HOME/.kshrc

그럼 아래와 같이 프롬프트가 변경이 된다.
[root@test:/]#

 

(2) vi 편집기에 대한 환경설정
# vi $HOME/.exrc
set showmode sm nu
set ai nolist

# . $HOME/.exrc


(3) 전체적인 설정을 확인


(3-1) 로그인 쉘을 확인
# cat /etc/passwd | grep root
root:x:0:1:Super-User:/:/bin/ksh

 

(3-2) 쉘 프롬프트를 확인
[root@test:/]#

 

(3-3) vi 환경설정 확인
# vi testfile
( ) <--- ( )을 입력해 보면 커서가 움직이게 된다.

반응형
Posted by [PineTree]
OS/SOLARIS2005. 7. 12. 20:40
반응형
제목 : 테이프 명령어 및 사용 방법 요약
촐처 : SUN 기술문서, http://kr.sun.com/service/techdocs/0001/000516.html

----------------------------------------------------------------------------------
설명:                             

테이프 명령어
명령:mt - 자기 테이프 용도:테이프 상태 확인, 되감기, 지우기 등 경로:/usr/bin/mt

구문:mt [ -f 테이프 장치 이름 ] 명령 [ 반복 횟수] 여기서 테이프 장치 이름은 보통
   /dev/rmt/0입니다.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status  -테이프 드라이브의 상태 정보를 표시합니다
   rewind  -테이프를 되감습니다.
   retension  -테이프를 팽팽한 상태로 만듭니다.
   erase  -테이프 전체를 지웁니다.
   fsf   -지정된 반복 횟수만큼 파일을 앞으로 건너뜁니다.
   bsf   -지정된 반복 횟수 만큼 파일을 뒤로 건너뜁니다.
   eom   -기록된 미디어의 끝부분으로 건너 뜁니다.

   반복 횟수는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는 횟수를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mt는 명령을 한 번 수행합니다.
   하나의 명령을 두 번 이상 반복하려면 반복 횟수를 지정하면 됩니다.

   예:mt -f /dev/rmt/0 status ---> 테이프의 상태를 표시합니다.
   mt -f /dev/rmt/0 rewind ---> 테이프를 되감습니다.
   mt -f /dev/rmt/0n fsf 2 ---> 첫 번째 두 개의 파일을 건너뜁니다.
   mt -f /dev/rmt/0n bsf 2 ---> 두 개의 파일만큼 뒤로 건너뜁니다.

명령: tar - 테이프 아카이브
용도: 테이프 아카이브를 만들거나 복원합니다.
    디렉토리 구조를 유지하면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파일을 백업하는데 사용합니다.
경로: /usr/bin/tar
구문: tar [옵션] [장치 이름] [파일 이름]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c    tar 파일을 새로 만듭니다.
   r    기존 tar 파일을 대체합니다.
   t    테이프 아카이브의 목차를 표시합니다.
   u    업데이트합니다.
       업데이트할 파일이 tar 파일에 없거나 마지막으로 tar 파일을 쓴 후
       수정된 경우에는 tar 파일의 끝에 씁니다. 업데이트 수행은 다소
       느릴 수 있습니다. 5.x 시스템에서 만든 tar 파일은 4.x 시스템에서
       업데이트할 수 없습니다.
   x    추출하거나 복원합니다.
      추출하거나 복원할 파일은 tar 파일에서 추출하고 현재 디렉토리에서
      tar 파일에 지정된 디렉토리에 씁니다. 추출할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해 상대 경로 이름을 사용하십시오.
   v    자세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기능 문자 다음에 각 파일의 이름을 출력합니다.

여기서 장치 이름은 대개 /dev/rmt/0입니다. 또는 파일 이름일 수도 있습니다. 파일
이름은 아카이브로 만들 파일 이름입니다.

예:
tar cvf /dev/rmt/0 /export/home/user1 --> /dev/rmt/0 테이프에 /export/home/user1의
테이프 아카이브를 만듭니다.
tar tvf /dev/rmt/0 ---> /dev/rmt/0의 목차를 표시합니다.
tar xvf /dev/rmt/0 ---> /dev/rmt/0에서 데이터를 복원합니다.

참고: 위의 명령에서 /dev/rmt/0 대신 /dev/rmt/0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ev/rmt/0n을 사용하면 백업 수행 후 테이프를 되감지 않습니다.
명령: ufsdump
용도: 파일 시스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백업하는데 사용합니다.
   전체 백업이나 증분 백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경로: /usr/sbin/ufsdump
구문: ufsdump [옵션] [장치 이름] [덤프할 파일]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0 ~ 9 덤프 레벨 옵션을 지정합니다.
    레벨 0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전체 백업을 수행합니다. 레벨 1 ~ 9는 증분
    백업을 수행합니다.
u   현재 백업의 날짜와 덤프 레벨을 /etc/dumpdates 덤프 기록에 업데이트합니다.
f   파일이 쓰여질 장치를 지정합니다.이 옵션은 장치 이름이 필요합니다.
v   테이프에 있는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에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고 검사합니다.

여기서 장치 이름은 /dev/rmt/0입니다.
덤프할 파일은 초기 파일 시스템 /dev/rdsk/c0t2d0s0이나 블록 파일 시스템
/dev/dsk/c0t2d0s0입니다. 또한 /export/home과 같이 파일 시스템 이름이나
/export/home/user1과 같이 파일 이름 또는 디렉토리 이름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
ufsdump 0uf /dev/rmt/0 /export/home ---> /export/home 파일 시스템을 /dev/rmt/0
으로 덤프하고 전체 백업을 수행합니다.

ufsdump 1uf /dev/rmt/0 /dev/dsk/c0t2d0s4 --> /dev/dsk/c0t2d0s4 파일 시스템을
/dev/rmt/0로 덤프합니다. 이 명령은 레벨 1의 증분 백업을 수행합니다.

ufsdump 4uf dbserver:/dev/rmt/0 /export/home/user1 --> /export/home/user1에 대한
레벨 4의 증분 백업을 Remote Box dbserver에 마운트된 dev/rmt/0 테이프 장치에 덤프
합니다.   여기서 테이프 장치는 로컬 시스템이 아니라원격 시스템인 dbserver에 있는
장치입니다.

명령: ufsrestore
용도: ufsdump 명령으로 만들어진 백업본에서 파일을 복구하거나 추출하는데 사용합니다.
경로: /usr/sbin/ufsrestore
구문: ufsrestore [옵션] [장치 이름] [복원할 파일]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i    대화형 모드로 파일을 복원합니다.
r    백업 전체를 복원합니다.
t    백업의 목차를 표시합니다.
x    명령행에서 지정한 파일을 복원합니다.
f    /dev/rmt/0과 같이 장치 이름을 지정합니다.
v    파일을 복원하고 있는 경로 이름을 표시합니다(세부 정보 표시 모드).

참고: 이 옵션은 ufsdump 명령에서 사용하는 v(verify) 옵션과 다릅니다.

예:
ufsrestore xvf /dev/rmt/0 ./etc/hosts ---> /etc/hosts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로
                   복원합니다.   
ufsrestore ivf /dev/rmt/0 ---> 복원될 파일을 선택합니다.
ufsrestore rvf /dev/rmt/0 ./opt ---> /opt 파일 시스템을 현재 디렉토리로 복원합니다.
ufsrestore tvf /dev/rmt/0 ---> /dev/rmt/0의 목차를 표시합니다.

해결 방법 요약

내부 요약

제출자:    Ramakrishna Mandava 전자 메일:Ramakrishna.Mandava@Sun.Com
적용 대상:   네트워크 - OS
반응형
Posted by [Pine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