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E 에서도 Gnome의 경우와 같이 XDMCP 관련 설정파일을 수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지만, Gnome 보다 수정해야할 항목이 조금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글과컴퓨터 리눅스의 기본 로그인 매니저가 gdm (Gnome Display Manager)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kdm (KDE Display Manager)으로 바꾸거나, 또는 Gnome과 KDE 양쪽에서의 XDMCP 수정을 모두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일단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자.
1. 리눅스 시스템의 런레벨(Run-Level)이 "5"인지 확인한다.
이는 앞에서 본 내용과 동일하다. 런레벨 확인이 우선이겠다.
2. XDMCP 접속 허용 (1) (xdm-config)
KDE의 기본 로그인 매니저인 kdm (KDE Display Manager)의 설정파일은 아래에 있다.
# vi /etc/X11/xdm/xdm-config
...
!DisplayManager.requestPort: 0 |
설정파일의 제일 하단을 보면,
DisplayManager.requestPort: 0
이라고 설정되어 있는데 이 라인의 앞쪽에 느낌표(!)을 넣어 주석처리를 한다.
3. XDMCP 접속 허용 (2) (Xaccess)
다음으로 아래 경로에 있는 Xaccess 파일을 열어...
#* #any host can get a login window
위와 같이 되어있는 라인 앞쪽의 주석(#)을 해제한다.
# vi /etc/X11/xdm/Xaccess
...
* #any host can get a login window
... |
4. XDMCP 접속 허용 (3) (kdmrc)
다음으로 kdmrc 파일을 열어 [Xdmcp] 섹션의 Enable 값을 true로 변경한다. # vi /etc/X11/xdm/kdmrc
...
[Xdmcp] Enable=true
... |
5. 로그인 매니저 변경 (또는 gdm 설정)
이 것으로 설정파일들은 수정이 완료되었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한글과컴퓨터 리눅스 데스크톱(또는 오픈에디션)은 기본 로그인 매니저가 gdm (Gnome Display Manager)로 되어 있으므로 아래의 2가지 방법중 한가지 방법을 더 처리해 주어야 한다.
① 앞서 다룬 gdm 설정도 같이 수행한다.
② 로그인 매니저를 gdm에서 kdm으로 변경한다. (변경 방법은 아래 Tip 참조)
6. X윈도우 재시작
위와 같이 설정을 마쳤다면, X윈도우를 재시작해야 한다. 변경된 설정으로 X윈도우가 가동되어야 외부에서의 접속이 가능하므로 반드시 X윈도우를 재시작하기 바란다. 로그아웃만 해서는 안된다. init 3 명령과 init 5 명령으로 런레벨 자체를 변경하는 것이 좋다.
(또는 이런 과정들이 복잡하다 생각되면 그냥 재부팅을 해도 된다. ^^)
그리고 Windows에 설치된 Xmanager를 사용하여 접속을 시도해보자. 잘 되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