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ption'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10.22 PCTFREE,PCTUSED,INITRANS,MAXTRANS,FREELIST,NOCACHE
ORACLE/ADMIN2010. 10. 22. 10:08
반응형

 

PCTFREE
럭내에 행을 수정하거나 업데이트 발생 있는 행의 크기 증가에 대비하여 예약된 공간. 초기 입력시에는 공간을 제외하고 입력된다. PCTFREE 부족하면 데이터 수정이나 업데이트 행이전(ROW MIGRATION) 발생하게 된다.

PCTUSED
새로운 행이 블록에 추가되기 전에 행데이터와 오버헤드에 대해 사용될수 있는 블록의 최소 퍼센트이다. , 기존의 데이터가 수정이나 삭제등으로 PCTUSED보다 값이 작아지면 블록에 한하여 입력이 가능하다. 

INITRANS
블록에 동시에 엑세스 가능한 트렉젝션의 초기수를 나타낸다. (기본값 : 1)
INITRANS
낮게 설정하는 경우는 테이블이 크고 테이블에 엑세스하는 사용자의 수가 적을 경우이고, 높게 설정하는 경우는 엑세스하는 사용자가 많을 경우이다. 

MAXTRANS
동시에 엑세스 가능한 트렉젝션의 최대값으로 INITRANS 상대적 개념이다. (기본값 : 255)
MAXTRNAS
너무 낮은 경우 트렉젝션을 초과한 사용자가 엑세스한 경우 앞의 사용자가 커밋이나 롤백하기 까지 기다려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FREELIST
테이블로 데이터를 INSERT 하기 위하여 미리 할당하는 프리 블록의 리스트 수를 지정. 

NOCACHE
NOCACHE
옵션은 'DB 캐시를 사용하지 않겠다' 파라미터로서 이것을 CACHE 지정하면 한번에 20개의 값을 캐시한다. 기본값은 NOCACHE이다.

ex)
USING INDEX 
TABLESPACE TSI_BIO01 PCTFREE 20
STORAGE ( INITIAL 16384 NEXT 471556096 PCTINCREASE 80 ))
TABLESPACE TSD_BIO01
PCTFREE 20
PCTUSED 80
INITRANS 1
MAXTRANS 255
STORAGE ( 
INITIAL 1064960
NEXT 1048576
PCTINCREASE 0
MINEXTENTS 1
MAXEXTENTS 2147483645
FREELISTS 1 FREELIST GROUPS 1 )
NOCACHE; 


PCTFREE, PCTUSED 필요한가?
ROW CHANNING
현상과 ROW MIGRATION 현상에 대하여 알아야 한다.
ROW CHANNING
DB_BLOCK_SIZE보다 너무 데이터가 들어왔을 경우 인접한 다른 블록까지 데이터가 넘어가는 것을 말한다.
이런 경우, 만약에 데이터의 특징을 가진다면 LOB TYPE으로 다른 TABLESPACE 저장하는 것이 옳다.
지만 ROW CHANNING 일반적인 현상이다. 물론 9I 경우엔 파라미터에 DB_?K_CACHE_SIZE 주고 ?K CREATE TABLESPACE ~~ BLOCKSIZE ?K; 정하면 DB_BLOCK_SIZE 보다 BLOCK_SIZE 가지는 TABLESPACE 만들고 안에 데이터를 넣는다면 ROW CHANNING 방지할 있다.
경우 ROW CHANNING 어쩔 없는 현상이다.
하지만, ROW MIGRATION 막아야 하는 사항이다.
이것을 예를 들어 보자.

a. A
라는 테이블에 10번째 값을 INSERT
b.
이어서 11번째 값을 INSERT
c.
그런데 10번째 값을 유저가 UPDATE시켰는데, UPDATE 데이터가 예전의 데이터보다 크기가 크다!
d.
이때 DB BLOCK 11번째 때문에 여유공간이 없어서 다른 BLOCK으로 해당 데이터를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런 경우가 자주 일어나는 것은 좋지 않다. 그래서 PCTFREE, PCTUSED이라는 개념이 생긴 것이다.

PCTFREE 10, PCTUSED 40
이라고 한다면?
초기 블록에 데이터가 들어가다가 PCTUSED 40% 넘겼다. 그래도 계속해서 INSERT 한다.
그러다가 PCTFREE 10% 데이터가 90%넘게 채워질 경우에는 이상 데이터가 들어가지 않고 블록에 여유공간을 남겨둔다.
FILE HEADER
에서 FREELIST라는 것을 관리하는데 이것은 SEGMENT 들어갈 빈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의 경우에서 데이터 기록량이 90% 넘기면 (, PCTFREE공간이 10% 이하가 된다면) 블록을 FREELIST에서 제거를 하고 블록은 INSERT 중단하고 다른 FREELIST 등록된 블록에 데이터를 넣을 것이다.
나중에 데이터가 UPDATE 경우를 블록의 10%만큼 미리 준비하는 것이다.

만약, 블록의 데이터마저 줄어든다면?
90%
보다 줄어들 경우 계속해서 0까지 줄어든다면, 블록을 FREELIST에서 삭제된 상황이니 이상 INSERT 되지 않는다.
경우를 대비하여 어떤 기준을 마련해두어야 한다.
PCTUSED
이렇게 BLOCK 데이터가 없어질 경우의 최소값을 말한다.
, 최소한 PCTUSED 만큼은 데이터가 들어가서 DB BLOCK 낭비를 최소화 하자 것이다.
이것이 PCTUSED 필요한 이유이다.

90%
이상으로 데이터를 채운 블록에서 데이터가 삭제되어 90% 미만로 떨어지게 되었다.
PCTFREE값이 10% 보다 여유공간이 생기는 것이다. 하지만 오라클은 PCTFREE 10%보다 여유공간이 생겨도 FREELIST 블록을 추가하지 않는다. , 데이터가 점점 줄다가 60%정도의 데이터가 되더라도 FREELIST 등록하지 않는다.

PCTUSED
보다 적어지는 상황이 생길 경우는?
PCTUSED 40%
보다 적어지는 상황이 생길 경우가 되어서야 비로소 데이터를 넣을 있도록 FREELIST 등록한다. 
하지만 9I에서는 PCTFREE, PCTUSED 방법은 권하지 않는다.
SEGMENT SPACE MANAGEMENT AUTO
절을 넣어서 AUTO 관리하도록 한다.

AUTO방식
AUTO
방식의 경우는 PCTFREE 관리한다.
블록을 25% 4개로 나눠 관리하는 방식이다. AUTO 쓰면 데이터 블록의 낭비를 막고 ROW MIGRATION 해결해준다. 수동은 권하지 않음!!!

STORAGE ( INITIAL 16384 NEXT 471556096 PCTINCREASE 80 ))
이상에서 STORAGE 절은 EXTENT할당 방식을 말한다.
두가지 방식이 있는데, 8I에서는 DEFAULT EXTENT 할당할 때에 DICTIONARY EXTENT MANAGED TABLESPACE 사용했다.
물론 이때도 LOCALLY EXTENT MANAGED TABLESPACE 만들 수는 있다.
9I
에서는 LOCALLY EXTENT MANAGED TABLESPACE DEFAULT값이다.

이상의 차이는 EXTENT 할당하는 방식에 따른다.
DICTIONARY EXTENT TABLESPACE
생성할 경우엔 테이블스페이스의 EXTENT 할당시에 정보를 SYSTEM TABLESPAE BASE TABLE에서 가져온다.
지만, EXTENT할당을 여기저기서 하다보니 SYSTEM TABLESPACE 조회해서 EXTENT 어디를 할당하면 것인지 확인하고 EXTENT 할당 할당정보를 SYSTEM TABLESPACE 저장한다. (병목현상 심함!)

그러나, LOCALLY EXTENT MANAGE TABLESPACE 경우엔 그렇지 않다.
SYSTEM TABLESPACE
BASE TABLE에서 EXTENT 여유공간 정보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해당 데이터파일 헤더에 직접 BITMAP BLOCK으로 저장된다.
그래서 EXTENT할당시에 SYSTEM TABLESPACE에서 찾아서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테이터파일의 헤더의 BITMAP BLOCK에서 찾겠죠. (경합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오라클사에서는 DICTIONARY 방식을 사용하지 말고 LOCALLY TABLESPACE 사용하도록 권한다.

9I
에서 SYSTEM TABLESPACE LOCALLY TABLESPACE 경우, 일반 TABLESPACE생성시 DEFAULT STORAGE(DICTIONARY 방식) 사용되지 않는다. (에러발생!)
하지만 SYSTEM TABLESPACE DICTIONARY TABLESPACE 경우엔 DEFAULT STORAGE(DICTIONARY 방식) 통해서 CREATE TABLESPACE 사용할 있다.

만약, CREATE TABLE 절에 STORAGE 준다면 어떻게 될까?
이런 경우 EXTENET MANAGEMENT LOCAL 방식의 경우엔 질문사항인 STORAGE 절을 주게 되면 모두 무시된다. , TABLESPACE에서 정한 UNIFORM SIZE대로(DEFAULT라면 1M 만큼) EXTENT 할당한다. 

SYSTEM TABLESPACE
DICTIONARY TABLESAPCE라면?
경우에는 일반 TABLESPACE 만들 경우에 DEFAULT STORAGE절을 지정할 있다. 하지만, CREATE TABLE 명령에서 질문과 같이 STORAGE절을 주게 되면 TABLESPACE 설정은 모두 무시되고 CREATE TABLE 설정을 따른다.

STORAGE ( INITIAL 16384 NEXT 471556096 PCTINCREASE 80 ))
무엇을 뜻하는가?
SYSTEM TABLESPACE
LOCALLY EXTENT MANAGED TABLESPACE에서는 이상의 절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DICTIONARY EXTENT MANAGED TABLESAPCE라고 있다. 또한 TABLESPACE DICTIONARY EXTENT MANAGED TABLESAPCE이다. 

CREATE TABLE TEST ( ID NUMBER ) STORAGE STORAGE ( INITIAL 16384 NEXT 471556096 PCTINCREASE 80 ));
기에 테이블에 EXTENT 16384 바이트만큼을 미리 할당한다. EXTENT안에 DB BLOCK들에 데이터가 들어갔는데 데이터가 많이 들어가서 모두 데이터가 찼을 경우 새로운 EXTENT 할당 한다. 이때에 NEXT 만큼을 할당하는 것이다.
PCTINCREASE 80
다음의 경우, 80% 만큼 크게 늘어난다는 것이다. 

EXTENT1
에서는 16384
EXTENT2
에서는 16384 + 471556096
EXTENT3
에서는 (16384 + 471556096 + 471556096 ) * ( 1 + 0.8 )

이렇게 PCTINCREASE 쓰게 되면 쓸데없이 한꺼번에 EXTENT 할당받으므로 다른 TABLE에서 만큼 공간을 쓰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PCTINCREASE 쓰면 안된다!
그리고, DICTIONARY방식은 쓰지 말고 LOCALLY 방식으로 UNIFORM SIZE 지정하라!
UNIFORM SIZE
대부분의 경우 10M 정도로 UNIQUE하게 주면 적당하다. (너무 크면 안됨!)

여러 테이블의 데이터가 들어가는데 너무 많은 EXTENT 생겨서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와 섞이지 않나?
SMON
이라는 오라클 프로세스가 알아서 하므로, 고려할 없다.


최종 정리

PCTFREE 20
: UPDATE
위해서 DB BLOCK 최소한 20% 정도의 공간을 남겨두겠다.

PCTUSED 80
: PCTFREE
인한 공간낭비를 막기 위해서 최소한 80% 만큼의 데이터는 넣겠다.

INITRANS 1
: SEGMENT
트랜젝션이 최소 한개 이상 걸릴 있도록 한다.

MAXTRANS 255
: SEGMENT
트랜잭션이 최대 255개까지 걸릴 있도록 한다.

INITIAL 1064960
:
초기의 EXTENT 크기

NEXT 1048576
:
초기 EXTENT할당후 EXTENT 부족할 경우 다음 EXTENT 할당 크기

PCTINCREASE 0
: 0%
늘이겠다. (무시됨!)

MINEXTENTS 1
:
최소한의 EXTENT 할당하겠다.(INITIAL 10K 인데 MINEXTENTS 2 라면? TABLE 생성하면서 20K 미리 할당. 20부터 시작.)

MAXEXTENTS 2147483645
:
최대한의 EXTENT. (현재값은 데이터가 커지면 문제있다)

FREELISTS 1 FREELIST GROUPS 1
:
데이터블록의 SEGMENT관리에서 한개 FREELIST에서 FREE BLOCK 찾고 데이터를 넣는 것에 많은 트랜잭션이 처리를 경우 성능이 나빠지게 된다. 그래서 FREELIST 경우에 여러개가 있으면 분산이 가능하다. FREELIST GROUP FREELIST 몇개를 FREELIST GROUP으로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EXTENT : 보조 기억 장치에서, 파일이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일련의 블록
 

반응형
Posted by [PineTree]